|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258 |
0 |
2014-05
526525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250 |
25 |
2015-12
1790250
1 백메가
|
97521 |
기가바이트 메인보드에 sur_cen 커넥터 연결부분에서 aux_l, aux_r이라는건 스테레오… (2) |
김건우 |
2015-08 |
4535 |
0 |
2015-08
4535
1 김건우
|
97520 |
인텔 2세대 제품이면 현역으로 볼 수 있을까요? (13) |
나비z |
2020-02 |
5279 |
0 |
2020-02
5279
1 나비z
|
97519 |
인텔 서버보드... s5000vsa.. 팬 없이는 사용 불가? (7) |
김황중 |
2015-08 |
5222 |
0 |
2015-08
5222
1 김황중
|
97518 |
hp Z420 윈도 암호를 해제할 방법이 있는지요? (13) |
메가날백 |
2017-09 |
5203 |
0 |
2017-09
5203
1 메가날백
|
97517 |
사진첨부용 (3) |
삐돌이슬픔이 |
2024-10 |
754 |
0 |
2024-10
754
1 삐돌이슬픔이
|
97516 |
SAS 하드 드라이버 설치 (3) |
오홍학 |
2009-02 |
10702 |
0 |
2009-02
10702
1 오홍학
|
97515 |
퇴직금 세금... (5) |
Rich |
2024-10 |
1132 |
0 |
2024-10
1132
1 Rich
|
97514 |
75*75*15mm 저소음 팬 (5) |
푸이잉잉 |
2019-01 |
3104 |
0 |
2019-01
3104
1 푸이잉잉
|
97513 |
lg 일체형 컴퓨터 부팅 불가입니다 (6) |
부산초보 |
2024-10 |
1340 |
0 |
2024-10
1340
1 부산초보
|
97512 |
알리에서 결재한 금액은 언제 인출되나요? (2) |
장동건2014 |
2016-09 |
4381 |
0 |
2016-09
4381
1 장동건2014
|
97511 |
레이드 구성 질문입니다 (9) |
Commander |
2023-02 |
1611 |
0 |
2023-02
1611
1 Commander
|
97510 |
레이드0 콘트롤러에서 파티션 나누기 (8) |
로그아웃 |
2009-03 |
8148 |
0 |
2009-03
8148
1 로그아웃
|
97509 |
DVD/BD 레코딩 프로그램을 추천부탁드립니다. (7) |
심바트 |
2017-10 |
4954 |
0 |
2017-10
4954
1 심바트
|
97508 |
마우스 사용해보고 구매할 수 있는 방법 없나요? (4) |
고양시 |
2021-06 |
2968 |
0 |
2021-06
2968
1 고양시
|
97507 |
Sata 데이터 포트를 늘릴 수 있는지요? (9) |
Win31 |
2015-09 |
4842 |
0 |
2015-09
4842
1 Win31
|
97506 |
HP서버 fan failed 메시지가 나옵니다. (4) |
권희석 |
2014-05 |
5361 |
0 |
2014-05
5361
1 권희석
|
97505 |
우분투에서 하드디스크 SATA포트 번호(위치)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1) |
zestyus |
2021-06 |
2253 |
0 |
2021-06
2253
1 zestyus
|
97504 |
하드 용량이 이상합니다. (5) |
이종원 |
2009-03 |
6122 |
0 |
2009-03
6122
1 이종원
|
97503 |
hyper-v vmbus 문제가... (2) |
두리안 |
2012-06 |
5362 |
0 |
2012-06
5362
1 두리안
|
97502 |
슈퍼마이크로 부품은 어디서 팔아요? (4) |
김황중 |
2015-09 |
4947 |
0 |
2015-09
4947
1 김황중
|
인터넷이 막혀서 한동안 윈도우 업데이트가 불가능했지만,
보안이슈가 있어서 인터넷은 안되도 보안 업데이트는 가능하게 열어주었습니다.
어떻게 이렇게 셋팅이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인터넷은 안되도 윈도우7 업데이트는 주기적으로 꼭 필요한 시점에만 열어서 가능하도록 제어받고 있습니다.
저희는 IDC 센터에서 이걸 운영하는것 같네요.
https://windowsforum.kr/info/14869572
윗링크가 필요로 하는 것이 맞는지는 잘 모르겠는데..하간 여기좀 둘러보거나 질문 올려보시면 뭔가 실마리라도 찾을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사양이 틀리면 드라이버만 설치해주면 되니..
윈도우10 패치는 어떻게 보면 강제기 때문에,
고립망이라면 wsus 로 패치를 강제로 내려서
개인이 업데이트 하게 해야합니더.
어차피 처리 과정이 똑같기때문에 시간 많이 걸려요
<-- 아니면, 백그라운드로 처리할 수 있는 다른 방도가 있나요?
시간은 당연히 많이 걸립니다. 패치서버가 빨리 패치를 하려고 하는 것 보다 자동화된 관리를 하기 위함이고,,
PC야 어느정도 사용자에게 맡겨야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아래 PMS 라고 하는 서버들이 전부 WSUS 를 패키징 해서 넣은 것입니다.
USB 들고다니면서 할꺼 아니면 방법이 없어요.
그리고 PMS 쓰는 다른 이유 중에 하나는 패치중에 우리가 사용하는 다른 APP와 호환성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 중간 검증 후 배포하려는 목적도 있습니다.
그리고 WSUS 자체는 프리웨어 입니다.
유포판 버전업을 백그라운드에서 처리 가능한 운영체제 현제 존재 안 합니다
아찌됐든,
이도저도 안되면 USB 들고 하나씩 하는 수 밖에 없죠.
야간에요. 200대 정도면 금방 할꺼 같은데요....
윈도우 7->10 으로 올리는 것도 아니고 10->10 으로 올리는 거니,,,
예전에 7->10으로 올릴때 하도 이상한 문제를 많이 겪어서..
(1) ISO를 USB로 가져와서 하는건 말 그대로 맨땅에 헤딩, 삽질하는거구요. 알바생 고용해서 해야하는데 혼자서는 하루에 불가능하죠.게다가 업데이트하다보면 꼭 트러블 생기는 놈들이 있어서 그거 문제 해결하고 대응하느라 하루 다 가는 수가 있어요. 진짜 진 빠집니다. 직원들한테 왜 나 일못하게 하냐고 나중에 욕 먹을 소리까지 들어야하구요
(2) 두번째 방법은 PMS 프로그램 같은걸 사용해야합니다. 노트북이나 PC한대 붙혀서 거기에 이미지 넣어놓고 일괄적으로 패치 업데이트 작업하는거죠 (대신 네트워크 부하량 계산은 미리 하셔야합니다. 레이어2급 스위칭 달아놓고 200대 돌리겠다는 생각을 하시면 말 그대로 무리수입니다)
문제는 귀사에서 그런 PMS에 투자할 생각과 의지가 있는지 여부이겠네요. pms 쓰려면 (원칙대로보자면) CAL라이센스 문제도 걸립니다. 그러나 하룻밤 사용하고 그냥 PMS 지우는거라면 문제 없을수도 있지만 법대로 하면 이것도 걸리죠. 다 흔적이 남으니까요. 고로 cal라이센스 생각한다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문제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뭐 회사에 돈이 남아돈다라든가 아니면 저작권 단속와도 우린 걱정 안할래한다면야 걱정 없겠지만요.
(3) 그외의 작업이라면 마스터PC와 슬레이브PC형태로 일일히 원격접속해서 해야하는데 이것도 엄청나게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네트워크 부하량 계산도 필요하구요.
(4) 그외 물리적 방법이라면 디스크 듀플리케이터 기계 써주는 겁니다. 제가 예전에 즐겨 쓰던 방법이구요. 그러나 각각 config가 있는 상황이라면 이것도 일일히 백업하고 듀플리케이팅 해야하니 엄청나게 시간 낭비죠. 듀플리케이터 이외에 sata(인터널) 2 sata(익스터널) 카핑 케이블을 사다가 하는 것도 방법인데 이것도 케이블 사다가 작업하면 한도 끝도 없습니다. e-sata 사용하는 것도 한계가 있구요
(5) 200대 독립망으로 구축할 정도라면, 최소한 디스크 가상화 정도는 해줘야합니다. 윈도 서버가 아니라 리눅스 서버 기반으로 돌아가는 가상화 업체도 제가 알고 있구요. 그러면 cal라이센스 걱정도 없구요. 안그러면 그렇게 관리하다가 예전 ytn 털린 것처럼 털리게 됩니다. 분리망이라 하더라도 바깥에서 usb 가져와 걸리는 랜썸은 막을 방법이 있겠어요? 그러다 랜썸은 램썸대로 당할수 있구요. 쓸데없이 V3 같은거 사다가 프로세스만 먹을 바엔 차라리 디스크 가상화라도 하라고 얘기드리고 싶네요.
제가 아는 방법 다섯 가지 입니다. 아마 대부분 이 방법들중 하나 추천하지 싶겠네요.
cf) 직원 개인이 일일히 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 나중에 직원들이 "바쁜 내가 왜 당신이 해야하는걸 왜 이걸 대신 내가 해야하느냐" 소리 나올 가능성 80% 이상이라고 봅니다. 물론 하다가 안되면 또 지원 나가야 되구요.
특히 말씀대로면 바쁜 부서의 경우 업무시간 중 방해받는다고 불만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미리미리 각 부서와 연락을 주고받아서(만약 스스로 짬이 낮다면 상사의 협조를 구해서) 언제쯤 방문이 가능하고 언제 작업하면 될 지 미리 스케줄을 짜두시는게 좋습니다.
기술적인 문제가 어떻느니 해도 보통 타 부서나 윗사람들은 그런 문제에 관심이 없고, 잘 알지도 못합니다. 그러니 그 문제만 처리하는 부서가 있는거고, 그 부서(나 담당자)가 알아서 하라는 쪽이지요..
아무리 좋고 효율적인 방식이라도 그 과정에서 사내 다른 분들을 불편하게 하지 않도록, 특히 in front 부서의 업무가 매끄럽게 진행되도록 하는게 우선입니다. 그게 백오피스 부서가 하는 일이기도 하고요.
WSUS Offline Update 를 이용하고 자료는 삼바로 연결 머
근데 이것도 PC에 접근해야하고
WSUS 이것도 내부적으로 서버 만든다하더라도 문제는 PC접근해서 설정 해줘야하고 (당연히 상위 관리쪽에서 팅굴꺼고)
재들도 모르게 할려면 WSUS 구축 설정 하고 DNS Spoofing 해서 하면 되겟지만 이건더더욱 허락 안해줄꺼고 허락해줄거 같았드면 그냥 업데이트 시간 동안만 업데이트 서버 트래픽만 열어 두면 될텐데 그것마저 안하는건 다른건 다싫다로 보면 됩니다.
어찌되었건 네트웍으로 자료두고 업데이트 하면 USB꼽는 수고로움은 덜하겠지만 속도 측면에서 느립니다. 동시에 작업할경우 PC를 새로 싹다 설치하는 경우는 다름
그건 다른 방법이 있으니
그냥 USB작업 하세요 ..한번에 한부서 할만큼 USB만들어서 ^^ 네트웍으로 받는거 보다
그게 제일 빠릅니다. ..고민 하는 시간에 ....이미 100대는 했을듯 ~~
제가 보기에 위에서 해달라는대로만 해주면 됩니다..
느리다 어쩌구저쩌구 하면
다른 방법 없다..위에서 내려온 지침대로 한다 이런 작업은 끝나야 끝나는 것이다.. 나도 빨리 끝내주고 싶다..
이렇게 대처하시면 될 듯합니다..
비슷한 경험을 해본적이 있는데, 작업전 부서별로 직원 안내와 부서장 교육을 실시해서, 스케쥴을 조율하고 개인 PC내의 데이터 백업도 직원 각자가 할수 있도록 하고 바이러스, 말웨어 점검도 각자 실시할수 있도록 합니다.
부서별 업무 일정에 따라서 업데이트 일정을 잡고, 그중에 샘플 PC를 선정해서 미리 시험 업데이트를 실시 합니다.
회사 업무 사정에 따라서 업데이트 방법, 일시를 결정해야 하는데, 본문 내용대로 라면, USB 업데이트가 가장 적절해 보입니다.
회사 업무용 PC의 관리는 일차적으로 사용 직원에 있습니다.
귀중한 업무 데이터를 관리하는것은 옛날로 치면 회사 업무 장부 관리와 마찬가지이고, 이에 대한 업데이트는 단순한 OS 업데이트가 아니고, 개별 PC의 안정성, 보안성, 최적화에 대한 점검이자 업무 업데이트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전산 직원한테만 미룬다 하면, 이는 회사 경영진의 마인드 자체가 떨어진다고 볼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업무 보고가 있어야 할것 입니다.
1번 PC 에서 부터 -> 200번 PC 까지 클릭 클릭 하다 보면, 1번은 끝나 있겠죠.
우선 1대 시험삼아 클릭 횟수와 완료 되는 시점 까지 Time Chart 만드셔서 일괄 하세요. ^^
CD 보다는 USB 가 빠를껍니다..
USB 200개는 너무 심하니, 한 20개 정도로 로테이션 하셔서 해보심이.
꼭 USB 3.0 으로
많은 답변감사합니다
P2P처럼 다 받아가게 하는 기능이 있어요. 배달 최적화
제가 쓰는 방법은 마스터 이미지(디스크 스냅샷 http://www.drivesnapshot.de/en/index.htm )를 만들고, 이 이미지를 lan으로 전파합니다.
각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순서입니다.
사전에 OS 파티션외에 1개 파티션을 만들어두어야합니다.
드라이버셋팅은 별도로 진행합니다.
개인별 셋팅도 별도
등등
혼자서 20대 작업하는데 대략 4시간정도 걸립니다. (마스터 이미지 제작은 별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