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을 어찌해야할까요..?

먹짱이   
   조회 4554   추천 0    

안녕하세요 먹짱이입니다.

공장현장에서 사용중인 PC가 있는데 이 놈이 특이하네요.

일단 마우스 키보드는 작동하는데.. USB 포트가 죽은건지 어떤 USB를 꼽아봐도 아무 반응이 없습니다.

마우스 키보드 자리에 꼽아도 마찬가지구요..

USB 드라이버의 문제인가 싶지만 인터넷을 쓰지 않는 PC인데다가 허브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상황이라 유선 연결도 어렵습니다.

무선으로 하자니 usb 인식을 못하구 있고요...

안에 있는 파일들을 백업하고자 하는데 생각나는 방법이 공HDD를 연결한 다음 그 HDD에서 다시 빼내는? 그런 방법을 생각중입니다만 과연 이게 괜찮을까요..?

혹시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먹짱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밥한끼 2021-02
허브로 현장PC와 노트북을 연결해서 자료 전송해 보심이...
     
무아 2021-02
+1
내부 네트워크가 된다고 하니 별도의 PC에 공유폴더나 FTP 서버를 열어두고 필요한 자료만 현장 PC에서 밀어 넣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합니다.

다시 읽어보니 허브와 멀리 떨어져 있다는 거지 인트라네트워크 연결은 아닌거 같군요.
그냥 랜선으로 노트북과 다이렉트로 연결하고 IP만 설정해줘도 공유폴더 연결이나 FTP는 쓸 수 있을 거 같은데요.
          
먹짱이 2021-02
그럼 노트북을 통해서 현장PC를 IP 연결하게 되는 셈인가요..?
               
무아 2021-02
네. 현장PC랜포트와 노트북 랜포트를 그냥 랜선으로 1:1 연결하고
두 PC의 아이피를 동일 대역으로 다르게 셋팅하면 연결됩니다.
예를 들어 현장 PC는 192.168.0.2 / 255.255.255.0
노트북은 192.168.0.3 / 255.255.255.0
이런 식으로 연결하고 서로 PING 해보면 PING 이 될 겁니다.
그다음 현장PC에서 \\192.168.0.3\노트북공유폴더명
이렇게 접근하면 될거예요.

단, 공유폴더 설정이나 삼바설정, OS 버전 등등 고려해서 공유폴더 접근 셋팅하는게 어렵다면
그냥 노트북에 ftp 서버 하나 실행시키고 현장PC에서 커맨드라인 명령어로 ftp 클라이언트 실행해서
bin,hash 명령 넣고 mput *.* 이런 명령어 넣어서 폴더단위로 필요한거 밀어넣으면 됩니다.
하나하나 밀어넣기가 귀찮으면 ftp 서버쪽에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하나 복사해두고 현장 PC에서 그거를 get 으로 받은 후
설치해서 GUI 되는ftp 프로그램으로 쉽게 작업해도 되구요.
                    
먹짱이 2021-02
감사합니다. 알려주신 방법이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DD 분해해서 다른 컴퓨터에 서브로 붙여서 백업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빠르지 않을까요?
     
먹짱이 2021-02
그거 생각중입니다만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싶어 여쭤보는겁니당 ㅎㅎ
          
USB DATA Cable 로 컴퓨터 : 컴퓨터 연결하면, 양 컴퓨터에서 외장하드?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 가능하기도 합니다.
AS 할 때, 하나 가지고  있으면 편리해서 한 두개 가지고 있긴 합니다.
속도는 빠르지 않습니다.
그래도 데스크탑이든 노트북이든 뜯지 않고, 연결해서 데이터 이동하긴 좋습니다.

https://www.lotteon.com/p/product/LO1457204952?sitmNo=LO1457204952_1457204953&ch_no=100071&ch_dtl_no=1000227&entryPoint=pcs&dp_infw_cd=CHT
https://www.carousell.com.hk/p/%E5%8F%AF%E8%AD%B0-usb-data-link-cable-crw-usblk-005-137893139/
1:1 백업후 같은보드를 수배한다 > 쉽다
데이터만 백업후 새보드 새OS > 어렵다

공장컴의 경우 com/serial 포트 세팅 미리 빼두시고
키락/드라이버 잘챙기시면 따로 어려운건 프로그램 호환성정도
회사 가남아있고 유지보수되고있으면 그나마 다행인데 없어졌으면 맨땅 해딩해야죠뭐....
     
먹짱이 2021-02
어렵군요 ㅠㅠ
          
전에 근무했던 회사에서는 98 xp 가 주류인 컨트롤러였고.... 작업자는 7 쓰면 신형이였는데.
팬티엄이 죽거나 하면.... 머리좀 아팠습니다. (돈이면 쉽게 해결되던데요 ㅠ 회사가 돈을 안씀.)
               
먹짱이 2021-02
돈이면 무엇이든...
정의석 2021-02
바이오스에서 USB버전을 1.1로 고정시키거나 USB 저장장치 기능만 막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USB특성에 따라 연결이 안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는 당연히 USB 메모리는 인식이 안되고요.
     
먹짱이 2021-02
그런것도 있군요... 전자의 경우라면 현재 연결되어있는 마우스 키보드는 가능한데 다른 USB은 인식이 안되는건가요?
임상현lsh 2021-02
usb 접점 청소가 먼저일걸요..

쓸데없이 컴퓨터간 네트워크로 뭘 연결할 필요도 없어보이는데..
     
먹짱이 2021-02
현재 연결되어있는 키보드 마우스 쪽으로 연결해보았는데도 무반응이더라구요.


QnA
제목Page 2255/5699
2015-12   1638909   백메가
2014-05   5102356   정은준1
2013-11   4550   Leptonic
2007-08   4550   최마루
2021-03   4550   소주한병
2014-11   4550   윈디안
2018-03   4551   팥빙수
2020-07   4551   을지문덕
2007-04   4551   최용석
2016-08   4551   izegtob
2020-06   4551   늘파란
2007-03   4551   조정우
2018-10   4551   교교교
2008-09   4551   김승현
2017-01   4551   Gooos
2015-09   4551   테돌아이
2012-12   4551   1김In1
2007-04   4551   김상일
2014-09   4551   데자와
2018-03   4551   죠슈아
2013-12   4552   조국진
2020-10   4552   VS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