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빌딩 때문에 하드웨어 레이드 구성 어떤가요?

   조회 3176   추천 0    

소프트웨어 레이드를 제대로 사용한적이 없습니다.


정확하게 말해서 소프트웨어 리빌딩을 경험해 본적이 없습니다.


주로 하드웨어 레이드카드 장착해서 레이드 깨지고 리빌딩하고


2가지(areca, lsi) 레이드카드 경험이 있습니다.


하드웨어 리빌딩도 시간 꽤 오래 걸리더군요(3테라 raid-5 기준입니다.)


소프트웨어 레이드라면 핵놀로 구성할거 같습니다.


하드웨어 레이드라면 그냥 윈도우 올려서 사용할거 같고요.


8테라 6-8개로 raid 6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안정성은 깨질놈은 깨질거라 어느쪽이든 상관없습니다.

깨지더라도 리빌딩 시간이 어느쪽이 유리한지 알고 싶습니다.

하드웨어 라이드카드는 9260-8i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온프로 2021-02
윈도우 스토리지는 별로 좋은 생각이 아닌 것 같구요..

해놀의 SHR 신뢰성이 약하지 않나요?? 기능은 좋은데..

ZFS 도 있습니다. FREENAS로...  안정성이 좋더군요..

SHR 관리 능력과 LSI-9260 의 레이드 리빌딩 성능은 잘 모르겠습니다..
     
임현제 2021-02
윈도우 스토리지가 어때서 그렇죠.. 회사에서 10년 넘게 스토리지 서버로 잘 쓰고있는데

오히려 SSO 적용하기 편하단 점에서 윈도우 스토리지가 좋죠
          
박문형 2021-02
어떤 방식으로 레이드를 구성하던 잘 쓰는 사람은 잘 쓰고 못 쓰는 사람은 고생과 사고를 많이 겪습니다..

어떤 방식이 절대적이다라는 것은 없습니다..
     
캔위드 2021-02
레이드 분야(?)라고 할까요 순수하게 그쪽 분야로만 본다면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 윈도우 저장소가 압도적 넘사벽 1위입니다.
성능도 크게 안떨어 지면서 아무 HDD나 막 넣어도 적절히 사용가능하고
유일하게 운영중 용량축소가 가능하며 리빌딩 속도도 제법 빠릅니다.
SHR은 용량축소가 불가하죠.
호환성도 사용하던 HDD 그대로 떼어다가
윈도우OS라면 순서 상관없이 그대로 아무데나 붙여도 아무것도 안해도
원래 구성 그대로 자동으로 올라옵니다. 상위호환이 되더군요.

문제는... 그래봤자 윈도우라는 한계 때문에 활용성이 떨어져서 ㅠㅠ
결국 헤놀을 쓰고 있습니다. SHR 용량 축소 안되서 지금 매우 난감해 하고 있어요.
DarknessAng… 2021-02
결론은 큰 차이 없을꺼에요

HDD경우 결국 속도 발목 잡는게 디스크 속도에요
박문형 2021-02
http://www.2cpu.co.kr/freeboard_2011/1379799?&sfl=wr_name%2C1&stx=%B1%E8o%B1%E2o%B9%FC&sop=and

시놀로지/헤놀로지는 소프트웨어 레이드 방식입니다..

하나의 예로 묶는데 시간이 이만큼 걸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리빌딩도 마찬가지입니다.. 시간 많이 걸립니다..


하드웨어 레이드 방식이라도 특별히 리빌딩을 빠르게 하는 것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하고 레이드 카드가 최신일수록 프로세서가 빨라지기에 좀 낫겠죠..

(대신 돈이 많이 듭니다..)

다른 꼼수로는 stripe size (스트라이프 사이즈) 를 크게 해서 묶는 방법이 있는데

요즘 일반적으로 디폴트 스트라이프 사이즈는 256k 정도입니다..

보통 이 사이즈를 크게 하면 큰 파일의 속도가 올라가고  이 사이즈를 작게 하면 작은 파일의 성능이 올라갑니다..
(DB서버용이면 32~64k 로 셋팅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값이 현재 나와있는 최신 레이드 카드에서는 1M 가 최대 크기입니다..

10~15년전 제품인 아레카 1220 카드 경우 128k가 최대입니다..

어쨌던 이 스트라이프 사이즈를 크게 하면 리빌딩속도는 좀 올라갈수 있습니다..

스트라이프 사이즈라는게 레이드 볼륨에서 한 블럭의 사이즈라고 봐야 하기에 이 값을 늘리면 레이드 볼륨의 크기가 좀 줄어 듭니다..



모든게 +가 있고 - 가 있드시 스트라이프 사이즈 잘못 세팅되면 고생만 할 수 있습니다..


QnA
제목Page 995/5708
2014-05   5139121   정은준1
2015-12   1673606   백메가
2019-08   3180   김건우
2017-03   3180   freefree
2019-05   3180   꼬마방
2019-02   3180   이지포토
2019-01   3180   황진우
2020-06   3180   newretrowave
2019-01   3180   늘파란
2020-08   3180   일반유저
2019-09   3180   Steradian
2021-02   3181   조진석
2019-03   3181   호랑이곰
2021-01   3181   Psychophysi…
2018-12   3181   몽타주
2020-09   3181   김영기
2018-08   3181   indolence
2019-04   3181   신은왜
. (7)
2019-11   3181   프링글스
2018-08   3181   김제연
2019-11   3181   맙소사
2015-07   3181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