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1281 |
0 |
2014-05
5141281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916 |
25 |
2015-12
1675916
1 백메가
|
53187 |
사타 전원케이블... 처음 보는거라서 잘모르겠는데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24) |
토리 |
2016-03 |
5419 |
0 |
2016-03
5419
1 토리
|
53186 |
오늘좀 실망스런 말을 들었네요 =---> 안드로이드5.0 (4) |
김건우 |
2015-11 |
5419 |
0 |
2015-11
5419
1 김건우
|
53185 |
윈도우가 안 깔리는 컴퓨터. (12) |
도동우 |
2007-11 |
5419 |
11 |
2007-11
5419
1 도동우
|
53184 |
김선규님 답변 감사합니다. (14) |
김창윤(k) |
2006-04 |
5419 |
2 |
2006-04
5419
1 김창윤(k)
|
53183 |
PCI 타입으로 나온 USB3.0 카드는 없는가요? (6) |
무아 |
2014-01 |
5419 |
0 |
2014-01
5419
1 무아
|
53182 |
939 소켓용 셈프론에 관한 질문입니다. (1) |
신재상 |
2005-09 |
5419 |
30 |
2005-09
5419
1 신재상
|
53181 |
10TB 하드가 인식 가능한 PCIe to SATA3 확장 카드가 있을는지요? (23) |
빅너굴맨 |
2020-01 |
5419 |
0 |
2020-01
5419
1 빅너굴맨
|
53180 |
GPL을 따르는 소스코드 수정 후 상업적 사용 (18) |
무아 |
2016-07 |
5419 |
0 |
2016-07
5419
1 무아
|
53179 |
리눅스서버에 관한 질문 하나드립니다. (2) |
박이준 |
2005-10 |
5419 |
21 |
2005-10
5419
1 박이준
|
53178 |
고스트9에 관해 (8) |
이성준 |
2005-12 |
5419 |
12 |
2005-12
5419
1 이성준
|
53177 |
저기 렉케비넷 중에서 (1) |
방효문 |
2007-10 |
5419 |
6 |
2007-10
5419
1 방효문
|
53176 |
트리플모니터 한번 해보려는데....(이것보단 vga바꾸고 차라리 쿼드가 나을까요?) (14) |
김건우 |
2015-11 |
5419 |
0 |
2015-11
5419
1 김건우
|
53175 |
전산관련 잡지 추천해주세요. (5) |
김준성 |
2008-06 |
5419 |
30 |
2008-06
5419
1 김준성
|
53174 |
BOOT.INI 질문 (1) |
이창형 |
2005-07 |
5419 |
4 |
2005-07
5419
1 이창형
|
53173 |
[질문] 네이버PC그린 'ScanningProcess'가 2개 존재? |
한동훈 |
2008-12 |
5419 |
9 |
2008-12
5419
1 한동훈
|
53172 |
듀얼코어인 X2나 펜티엄D와 XP Home (3) |
유승길 |
2006-01 |
5419 |
17 |
2006-01
5419
1 유승길
|
53171 |
wildcat 사용하시는분께... (5) |
박찬혁 |
2006-02 |
5419 |
19 |
2006-02
5419
1 박찬혁
|
53170 |
SAI2 보드의 패치 (5) |
김경락 |
2006-05 |
5419 |
22 |
2006-05
5419
1 김경락
|
53169 |
Matrox 파헬리아 AVPe 랑 밀레니엄 P650이랑 차이가 많이 나나요? (6) |
김승권 |
2007-09 |
5419 |
11 |
2007-09
5419
1 김승권
|
53168 |
리눅스와 윈도우 (4) |
현진 |
2008-05 |
5419 |
10 |
2008-05
5419
1 현진
|
ssd 24개 raid f1사용중이고요. 패러티 구조는 raid 5처럼 동작하는데 약간변형된것이 똑같이 사용을 하지않고 가장 수명이 짧은 ssd만 좀 많이 사용 합니다.
ssd 24개 사용하면 ssd 1개만 내구도가 좀 빨리 다는것처럼 보입니다.
어떻게 테스트 하신지는 모르겟지만.. 씨게이트 emmc ssd 2tb모델로.. 단일파일 전송은 9.5Gbps 유지 합니다.
내부에서 내부파일 복사는 피크로 초당 20기가 복사하는것도 보입니다.
아직 다이렉트 전송 테스트는 안해봤습니다.
서버들은 총 4대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버들은 os용 ssd 250기가 또는 500기가 2개로 raid1로 구성되어 있고.. 실제 자료저장은 fs3400에 iscsi로 연결해서 사용중입니다.
900MB/s면 초당 8Gbps로 이상있는 수준은 아닌거 같습니다.
ssd 같은경우 1개만 갈구다가 고장나면 1개만 바꾸면 되기 떄문에 이렇게 만든거 같습니다. 다같이 쓰다가 다같이 죽으면 돌릴수 없기 때문에 이렇게 만든거 같네요.
https://global.download.synology.com/download/Document/Software/WhitePaper/Firmware/DSM/All/enu/Synology_RAID_F1_WP.pdf
관련자료입니다
캐시 리밋없이 그래도 10기가 파일을 쭉~ 뽑아주니 성능은 확실히 괜찮은듯한데 사실 이정도면 꼭 올플래시 아니라도 충분히 뽑을수있는 수치이다보니 가성비 용량손실 보면서까지 올플래시 해야할 이유가 있나 좀 고민하고 있습니다.
SAS나 SATA하드에서도 raid 6 정도 해도 가능한 수치다보니 .. 혹시 HDD가 아니라 올플래시 도입하신 이유는 어떻게 되세요?
hdd를 시놀로지에 사용하면 hp나 dell의 레이드랑 비교할수 없을 만큼 느립니다. ssd로 하니 좀 쓸만해진거지.. hdd로 사용하면 hdd 사용률 계속 100% 찍고 있어서 느려서 못씁니다.
실제로 fs시리즈들 쓸려면.. 40gbe 연결해서 써야 제속도 나옵니다.
아 저는 32기가 4개 넣어서 램을 128기가로 쓰고 있습니다. 어짜피 남는 메모리 캐시로 쓰니깐 램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겟지 해서.. 램 많이 넣고 사용합니다.
혹시 3200 시리즈도 제조사 락이 걸리나요? ㅜㅜ
intel 8TB SSD를 장착할 생각 하고 있었는데..
시놀 최대 용량이 4TB던데(아직 출시도 안한듯한데요ㅜㅜ..) 24개 해도 용량이 넘 작네요..
시놀로지가 자기네 하드만 사용하게 한다는 기사인데
이것을 보고 느끼는 것은
시놀로지 회사가 커졌네, 이제 벤더라고 우길 것인가 ??
정도입니다..
https://www.synology.com/ko-kr/dsm/feature/storage_technology
https://global.download.synology.com/download/Document/Software/WhitePaper/Firmware/DSM/All/enu/Synology_RAID_F1_WP.pdf
RAID F1 이 무엇인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이미 이런식의 시장패턴을 이들도 우리랑 똑같이 느끼나봅니다.
대략 반응은 이렇네요.
1. 워런티 끝나고 단종될때까지 해당 하드스펙의 시장 가격이 떨어져도 가격을 유지한다.
2. 단종 후 새제품을 구매하고 싶어도 구매하지 못하며 새로운 시스템 폼팩터를 구매하라고 유도한다.
3. 대체 장비를 구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엔터프라이즈 제품에 대한 논스톱 서비스 유지가 어렵다.
4. 시놀은 이제 구매대상에서 제외다.
5. 큐냅이 반사이익을 얻겠다.
6. 시놀 너네는 엔터프라이즈가 아니다 뭔가 대단히 착각하고 있는듯하다. 이런 행보는 시장에서 자살하는거나 다름없다.
뭐 이렇네요.. 근데 딱히.. OS UI UX 가 편리한건 정말 갑인데.. 대체품이 제가 알기론 없긴 합니다.
하드웨어만 보면 아직은 PC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시놀로지가 자기네 하드 가격을 고정한다고 해도 국내에서는 얼마에 팔지 어떻게 지원할 것인지 그런게 더 문제 되겠죠..
지금도 시놀로지는 단종 되면 부품 구하기 힘든데 말이죠..
큐넵 엔터프라이즈 제품 보면 서버쪽에서 온거 같은 느낌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