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디코딩과 플루이드모션용 VGA를 나누어 동시 사용

봉래   
   조회 5394   추천 0    

안녕하세요.


AMD HD7750과 NVIDIA GT1030을 동시에 장착하여, GT1030으로 UHD급 동영상의 디코딩을 처리하면서 동시에 HD7750으로 플루이드 모션을 적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왜 이런 특이한 구성을 여쭙느냐면.. 현재 제 거실 컴퓨터에는 구형 AMD그래픽카드인 HD7750가 달려있습니다. 거실에 두기 위해서 일부러 팬리스 제품으로 구입해 사용하고 있었고,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에서 플루이드 모션을 잘 쓰고 있습니다.


근데 이 VGA로는 근래 나온 UHD급 영상의 재생에 문제가 있습니다. HEVC나 VP9의 가속을 지원하지 않는 구형 VGA기 때문에 그런 거 같더군요. CPU교체도 물론 고려해보긴 했습니다. 근래 나온 CPU들은 내장그래픽으로 제가 필요한 동영상 종류들을 거의 다 디코딩할 수 있더라고요.


근데 CPU를 교체하려니 CPU, 메인보드, 메모리를 모두 교체해야 되는지라 일이 너무 커지는거 같아 맘편하게 GT1030 같은 동영상 재생용 그래픽카드를 하나 추가해주려고 합니다. 이 VGA가 저전력, 저성능의 제품이라 게임용으론 부적합하지만 동영상 재생용으로는 안되는게 거의 없습니다.


다만 이렇게 하려니 기존에 사용하던 HD7750의 플루이드 모션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지라 상기 질문을 드리게 된 것입니다. 혹시 이런 구성을 사용해보신 분들이 계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chis 2021-02
가능은 하지만 딱히 추천하고싶지는 않은 조합이네요..
gmltj 2021-02
차라리 플루이드 모션 비슷한 드미트리 렌더러를 써보시는게...
     
Qsup 2021-02
그건 1030으로 턱도 없습니다.
1080Ti에서 영상재생시 GPU 점유율 30~40%먹고 4K는 거의 풀로드 돕니다;;
그리고 지원중단됐습니다. 개발자가 튀었다는 소리가...
          
gmltj 2021-02
아... 그런가요... ㄷㄷ
               
Qsup 2021-02
네 GPU자원을 이용하여 모션블러효과를 주기때문에 GPU파워가 상상이상으로 들어갑니다.
비슷하게 보이지만 플루이드랑 전혀 다른 기술입니다.

플루이드모션은 프레임에 사이에 생성한 장면을 추가하여 프레임을 올리는 방법이고,
드미트리랜더는 대기업 TV에 들어가는 모션블러 기술과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TV에 보면 60Hz인식인데 240Hz로 강제 뻥튀기하는 그런 기술)
          
지원중단은 처음 듣는 얘기네요... 불과 한달전에 공개 베타버전도 나왔습니다만...
다만 드미트리렌더 개발자 태도보면 언제라도 먹튀할 가능성이 없지는 않아서 그렇긴하죠...
               
Qsup 2021-02
이전에 튀었다는 얘기가 있었는데 다시 나타났나보군요...
유료로 팔면서 한동안 지원이 없어서 튀었다는 이야기가 레딧에서 많이 돌았었습니다.
                    
최근에 빅나비 지원 관련 문의도 넣어봤었는데 올해 중순쯤이나 지원해줄 수 있을 것 같다고 답변이 왔었습니다..만 전혀 기대가 안됩니다...
워낙 개발자 태도가 맘에 안들어서요... 라이센스 정책도 개판이고.

라이센스 2개 구매해서 사용하다가 열받아서 그냥 플루이드용 RX 580 하나 구해다 쓰고 있습니다..
               
봉래 2021-02
지원중단 썰은 이전에 돌긴 했었습니다. 저도 그래서 관심 끊었었고요. 말씀 들어보니 아직도 개발을 하고 있긴 한거같은데 확실히 관리가 좀 개판인 느낌입니다.
Qsup 2021-02
1. 사용은 가능합니다.

2. 7750의 GPU Power는 4K를 보간할 정도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4K영상 보간은 최소 3400G~4350G급 내장그래픽 ~ RX560 4G 정도의 그래픽카드가 필요합니다.(RX550, HD77xx~HD7850급에선 프레임 드랍)
4K를 보기 위해선 결국 돈을 또 쓰게 될겁니다.
다정리하고
ddr4 8gb나 16gb에
 
3200g나 3400g에
a320 쓰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봉래 2021-02
그냥 플루이드 모션 포기하고 GT1030나 쓰는게 나을 수 있겠네요.. 답변들 감사합니다.
DarknessAng… 2021-02
애초에 저런 유물 그래픽으로 플로이드 모션 저런 해상도 처리 못해요

못해도 460이라도 하나 집어오세요 (아니면 R7)
     
봉래 2021-02
답 감사합니다. 여태까진 1080p정도까지만 본지라 별 문제 없었는데 UHD급으로 오려니 플루이드 모션은 커녕 그냥 재생도 문제가 발생하더군요. 본컴은 별 문제 없이 재생됩니다만 플루이드 모션은 안되니 이런 방안을 생각해봤었습니다.

동영상은 거실이 더 자주 보니 그냥 두 컴 위치를 바꿔버리는거도 생각중입니다. 플루이드 모션은 포기하고요..
mdman 2021-02
intel 내장 HD 530 으로 4k 60 frame  10bit 동영상을 문제없이 감상 했습니다.
7750 이 퍼포먼스가 비슷한것 같은데요.
https://mpc-hc.org/
여기다가 LAV codec 설치해서 한번 시도해 보세요.
영상을 SSD 에 올려서 돌리면 좀더 가벼워 집니다.
NGC 2021-02
제가 쓴글에 관련 내용이 있긴한데
돈 들이실거라면 차라리 RX560 570 급으로 한방에 가거나
아니면 르누아르 또는 3200G, 3400G등으로 내장 + 외장그래픽 조합으로 가는게 나아 보입니다.
     
봉래 2021-02
아래 링크 글인가보네요. 읽어보고 큰 도움 되었습니다. 추후 구성할 때 참조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2cpu.co.kr/freeboard_2011/1374525


QnA
제목Page 835/5730
2015-12   1791043   백메가
2014-05   5266126   정은준1
2016-06   4060   3D서포터즈
2011-07   7558   김효수
2019-10   2831   진신두
2021-01   8398   inquisitive
2018-09   4151   monet
2015-04   5255   최행로
2019-11   3900   자객
2014-01   7759   김상민
2018-09   3462   한효석
2019-11   4154   1김In1
2011-08   15905   전근현
2024-04   1799   우기부기트…
2011-08   6348   우앙뿌앙
2017-06   4823   돌절구
2011-09   8169   나나나나나
2016-07   5858   박남규
2018-09   5885   늘파란
2014-01   4264   사랑이
2015-05   4240   그리폰0
2016-07   4084   big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