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Xi 서버 Windows Server 정품인증 질문

구십평   
   조회 6369   추천 0    

 VMware ESXi 서버에 새로 Windows Server호스트들을 깔아서기존에 운영하던 서버들의 제품키를 등록하려고 합니다.

그냥 기본 Windows와 동일하게, 호스트 추가해서 이미지 파일로 설치 후 기존에 물리서버로 사용중이던 제품키 등록하면 되나요?

Core당 라이센스가 하나씩 필요하다는 글을 어디서 본 것 같은데

그냥 상관없이 VMware에 호스트 추가해서 os 설치하고 기존 키로 인증 받으면 될까요?

(Windows Server 2012 (R2아닙니다) Std, 2016 Std, 2019 Std 설치 예정이며, 서버당 2소켓 8코어~16코어 정도 씁니다.)

그밖에 VM환경이면 필수로 해줘야 하는 작업이라던지 주의할 점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ESXi 버전은 7.0 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Qsup 2021-02
시스템의 CPU / 코어 수 / VM개수가 어떻게 되나요?
일반적으로는 VM에 할당한 코어개수 전체개수만큼 라이선스가 필요합니다.

이전에 8코어 라이선스를 가진 윈도우 서버는 가상머신의 8코어 VM에 할당해서 쓰면 되고
16코어 라이선스를 가진 윈도우 서버는 가상머신의 16코어 VM에 할당해서 쓰면 됩니다.
그리고 VM당 2소켓을 할당하면 2소켓 4코어로 할당된 8코어 서버는 라이선스 금액 손해를 보게 됩니다.(최소가 8코어)

2012는 그냥 한대만 있으면 됩니다.
     
구십평 2021-02
결국은 윈도우 서버의 라이선스에 적용되어 있는 코어에 따라 갈리겠군요. ESXi 물리서버는 18C/36T * 2ea (총 36C/72T) 입니다.
호스트는 5개 올라가있습니다. 2소켓 8~16 코어 할당되어 있습니다.
          
DarknessAng… 2021-02
참고로 가끔 착각하는 경우 있는데 물리 코어 개수=할당 가능한 합계 상한 아닙니다

보통 36코어정도면 300%인 합계 108개정도를 할당해서 돌립니다
     
구십평 2021-02
그리고 기존에 사용하던 윈도우 서버 라이센스를 가상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말씀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구글링을 해보니 VMware용 Windows는 또 다른 라이센스가 필요하다는 글을 본 것 같아서요.
          
Qsup 2021-02
네. 최근 라이선스 정책에서는
VM을 물리서버와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사실 기존 라이선스가 없다면 데이터센터 + 하이퍼V를 추천드리겠으나
이미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지금 이야기한 방법으로 적용하시면 될듯 합니다.
제온프로 2021-02
Windows Server 2012 Std  - 1개
Windows Server 2016 Std  16core  - 1개
Windows Server 2019 Std  16core  - 1개

이렇게만 있으면 됩니다...
윈도우서버 2016, 2019는 Base 기본단위가 16코어 입니다.. 거기에 8코어씩 추가함...

이렇게도 될 것 같은데요..
Windows Server 2012 Std  - 1개
Windows Server 2016 Essential  - 1개
Windows Server 2019 Essential - 1개
     
Qsup 2021-02
에센셜은 직원수가 25명 이하여만 되지 않나용...
          
제온프로 2021-02
네 직원수 25명 이하나.. 연결 디바이스 40대 이하에서..
코어/ 메모리 제안없이 사용가능..
          
DarknessAng… 2021-02
SBS/Essencial은 AD 구성등에 제약이 있는걸 조심하셔야 합니다
     
구십평 2021-02
그럼 일단은 올라가는 가상서버당 1개씩 있으면 된다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논외로 혹시, 기존에 16C를 쓰던 물리서버를 가상화로 만들어서 사용하려면 똑같이 vCPU 16코어를 주면 될까요? 아니면 논리 프로세서 생각해서 vCPU 32코어를 주면 되나요? 서버에 할당된 코어가 36코어 (18코어 2개) 인데, ESXi에서 하이퍼스레딩을 사용해서 인지 할당 가능한 코어가 72코어로 보여서요. 기존 16c 그대로 생성할지, 가상환경에선 32c를 주면 될지 (어떤 구성이 기존 퍼포먼스에서 큰 차이가 없을지) 궁금합니다.
          
DarknessAng… 2021-02
16코어를 안 주고 32코어를 주면 라이센스가 +16코어 필요해집니다

위에도 적었듯이 물리 코어 개수의 개수보다 횔씬 높은 합계 숫자를 할당 가능하고, 스케줄러로 관리되어서 리소스 할당됩니다

할당 코어 개수는 최대 할당 비율을 정하는거라 보면 됩니다
     
구십평 2021-02
그리고 기존에 사용하던 윈도우 서버 라이센스를 가상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말씀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구글링을 해보니 VMware용 Windows는 또 다른 라이센스가 필요하다는 글을 본 것 같아서요.
제온프로 2021-02
vCPU 는  2로 나누어주면.. Physical core 입니다 ♡
김황중 2021-02
1. FPP나  MOLP면 사용해도 되나
이외 라이센스라면 불법입니다

2. 2016부터는 core 라이센스이므로
기존 서버가 가지고 있던 라이센스가 위 라이센스라면
기존 코어 이하로 사용하시면 문제 없고요

3. 가상VM은 호스트의 물리 CPU나 vCPU에 관계없이
실제 VM에 할당된 코어수로 라이센스 맞춰 주시면 됩니다
VM 할당코어의 절반으로 나누면 않됩니다
시도니 2021-02
김황중님 께서 현업에 계시니 확실히 정확한 답변을 주시네요.

일단, FPP 나 Retail 단독으로 혹은 M$와 ELA(사이트 혹은 컴퍼니 단위 전체 계약을 의미..) 계약이 되어 있는 상황이

아닌 모든 상황이면, 절대로 불법입니다.

특히 기존 서버의 H/W OEM 라이선스로 P2V 를 한 VM의 Host를 인증해서 쓰는 분들 계신데(회사에서..),,,

상위에 언급한 ELA 계약이나 ULA(무제한 사용계약)이 없다면,,, 라이선스 위반입니다.

절대로 그렇게 사용하면 안됩니다.

일부 실제 사용자들 중에 심지어 이렇게 따지는 분 계신데... (현업에 있는 사람들 조차도.. )

"기존 서버 OS를 P2V로 그대로 변경없이 옮겼고, 라이선스를 재인증 했는 데 왜 그게 라이선스 위반이냐?" 고요....

왜냐면, M$ 가 그렇게 정해서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원 제작자가 우리는 라이선스 이렇게 팔겠다고 했고, 사용자는 이 라이선스에 대해서 사용권계약을 하고 사용하는 것이니까요.

특히, VM은 HT 인정이 안됩니다. VM을 할당할때 Core 와 Socket 만 설정할 수 있을 뿐 HT 설정은 없지요. 그렇기 때문에,,,

할당된 Core에 대해서 전체 산정합니다.

그리고 2016/2019 의 경우 기본 16core 기준입니다. 이것이 넘어가는 경우 Core당 별도 라이선스를 구매해야 하구요. User Cal 은 별도 입니다.



단, 한가지 예외가 있는 데 Hyper-V를 사용하고 Host OS가 DataCenter Edition 을 사용하는 경우..

그 서버에 Hyper-V를 통한 VM의 경우 AVMA 키를 통해서 Windows Server OS(Guest OS는 안됨..)에 대해서 자동인증이 가능합니다.

DataCenter Edition 이 적용된 그 한대의 시스템에서 그 시스템 자원이 허용하는 VM 전체다요.

Standard Edition 의 경우 2개의 VM에 대해서만 인정됩니다.



물론,  ESXi 에 올린 VM은 전혀 해당사항이 없구요.


QnA
제목Page 3671/5725
2014-05   5246029   정은준1
2015-12   1771362   백메가
2006-03   6106   손재훈
2009-04   6106   기영
2005-10   6106   심규상
2016-06   6106   푸하히
2017-02   6106   이지포토
2020-10   6106   프리키드
2016-01   6106   유영근
2005-07   6106   김형주
2016-12   6106   노가리강추
2007-10   6106   백승철
2005-06   6107   유이동
2015-10   6107   소푸
2009-08   6107   장동건2014
2022-11   6107   헥사코어
2018-01   6107   햇살한스푼
2016-04   6107   태성기김
2011-05   6107   오준호5
2005-08   6107   한동훈
2014-06   6107   박문형
2005-06   6107   이진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