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 나스 세팅 관련 질문 드립니다!

양차우   
   조회 4161   추천 0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사무실 라우터 관련해서 여쭤봤는데,
너무 친절하게 다들 잘 알려주셔서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래서 여기 계신 유저분들의 전문성에 한번더 조언을 구하려 합니다
조만간 세팅하게될 나스 관련해서요.

현재 보고있는 모델은 시놀로지 RS3621xs+ 입니다.
현재 사용중인 RS820+ 모델은 조금 리소스가 부족한거 같고,
10G가 좀 원활하지 않은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간단하게 현재 상태를 그려f습니다


추가적인 정보 몇가지 있습니다.

- 모든 라인은 CAT6 (허브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컴퓨터도 40미터 이내)
- 서버실 내부는 에어컨 18도로 항시 세팅할 예정
- 추후 예상되는 10G 사용자는 30명 정도 / 1G 사용자는 20명 정도 입니다.
- 위 인원중 약 15명 ~20명 정도의 인원이 유선 인터넷 전화기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컴퓨터쪽 10G 이더넷 포트는 PC=10G 카드, 맥=10G선더볼트 이더넷 아답터로 세팅할 예정입니다.
- 10G 주요 이용자는 디자인/영상 계열이고, 나스상 작업도 가능하면 시도해볼 생각입니다.
- RS820+ 를 이용해서 10G 테스트 했을때 500~600M 로 시작하다가 10~20초 뒤부터 150~200정도로 낮아지는 일이 발생했는데,
이게 나스문제인지... 컴퓨터쪽 이더넷 포트 (티피링크 10G UTP) 문제인지.. 허브 (티피링크 10G UTP)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대략 이정도 상황이고 나스를 좀 더 멀리보고 RP3621xs+ 로 업그레이드 예정입니다.
질문은...

1. 위 하드웨어 상황에서 최적으로 나스 환경을 세팅하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2. UTP + CAT6 로는 정상적인 10G 환경 구축이 어렵다고 봐야할까요?
3. 더 안정적인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하다면 뭐가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epowergate 2021-03
"- RS820+ 를 이용해서 10G 테스트 했을때 500~600M 로 시작하다가 10~20초 뒤부터 150~200정도로 낮아지는 일이 발생했는데,"
아미도 10G Test라는데 Network Test가 아니라 파일카피 방식의 테스트로 보입니다.
처음에는 copy를 하면 Memory에 쌓이다가 나중에 DISK로 갑니다.
그러니 몇초후에 속도가 느려지는건 자연스러운 겁니다
     
양차우 2021-03
아하... 그렇군요

그럼 이부분은 고사양 나스로 교체한다고 해서 나아지지 않겠네요?

ssd 캐쉬를 늘리는건 어떤가요? 현재 RS820+의 이더넷 카드에 ssd캐쉬 장착이 가능해서 m.2 500기가짜리 두개 설치해놓은 상태입니다
          
박문형 2021-03
10G 부분에 있어서는 NAS에 캐쉬 넣는 건 기본이고 만일 가능하면 40G로 연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10G라는 대역폭을 작업용 컴퓨터 30대가 나누어 쓰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1대의 컴퓨터에서 데이터 입출력은 그다지

크지 않습니다.. 그렇게 되면 작업자가 느려서 갑갑해 할 수도 있습니다..

만일 작업이 4K 영상 편집이라면 10G로도 부족할 수 있으니 실재 구축하신 분에게 조언 받아야 합니다..
박문형 2021-03
1G 허브와 10G 허브 모델명 가르쳐 주세요..

본래 재대로 된 10G 허브라면 24포트에 돈천만원 정도 들일 각오해야 합니다만 그래도 요즘은 많이 싸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종 장비 및 컴퓨터는 1개의 방인지 아니면 몇 개의 방으로 나뉘어져 있는지요??

TP-LINK 라는 글을 볼 때 NAS만 투자하시고 스위치는 투자하시지 않는 듯합니다..
     
양차우 2021-03
10G 스위치는
TP-LINK 티피링크 T1700X-16TS 10G 12포트 10G 4SFP+ 스마트 스위치
모델이고

1G 스위치는 24포트 HP 허브입니다. (최초 사무실 세팅시 네트워크 설비업체에서 추천해줬었습니다)

컴퓨터는 많은 방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모두 스위치와 다이렉트로 연결되어있습니다)
박문형 2021-03
IP전화기의 랜선들은 그것들만 하나의 허브로 통합해주고 공유기로 물리고

컴퓨터 데이터 선들은 그것들만 하나의 허브에 통합해주고 공유기로 물리면  장애시 관리하기가 편합니다..

IP전화기는 실제는 10/100M라도 잘 동작합니다만  컴퓨터 데이터와 섞어 사용하게 되면 장애 발생시 어느것이 장애인지 파악하기 힘들고

IP전화기와 데이터 선을 분리해서 구성하면 IP전화기가 심하게 고장나서 거기 전체 네트워크가 다운되어도 데이터는 돌아갑니다..

그리고 랜케이블은 스팩상 이론상 100M 가 한계이며 실제로는 80M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그보다 짧아야 데이터 손실이 적고 제 속도가 나옵니다..
     
양차우 2021-03
넵 이부분도 참고하겠습니다.

그럼 들어오는 선이 1G하나라고 했을때 이걸 두개의 라우터로는 어떻게 나누는게 좋을까요?
박문형 2021-03
선 하나를 2개로 나눌 수는 없습니다..
     
양차우 2021-03
그럼 제안해주신건, 메인선 두개가 별도로 들어와야 세팅이 가능한건가요?
박문형 2021-03
공유기 LAN 포트가 4개라면

첫번째 포트는 10G 스위치와 연결
두번째 포트는 기가허브 (데이터 전담허브)에 연결
세번째 포트는 기가허브 (IP전화기및 CCTV 전담허브)에 연결

이런 식으로 연결되면 될 것입니다..

10G 스위치를 제외하고

한 개의 방의 입장에서 본다면

PC 데이터용 랜선 1가닥과 IP 전화기용 랜선 한가닥이 들어와서 따로따로 다른 허브에 물려서 연결되는 식이 좋은데

아마 그렇게 되면 허브가 배로 더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HP 허브가 메니지먼트 허브이고 VLAN을 지원하면 VLAN으로 한개의 허브를 12개 포트씩으로 짤라서 하나는 데이터 하나는 IP전화기 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지원 유무와 사용법을 알아야 합니다..

괜히 햇깔릴 수도 있습니다..
     
양차우 2021-03
넵 그정도 구분은 가능할거 같습니다. 참고하겠습니다
DarknessAng… 2021-03
왜 저렇게 연결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원래 메인을 가장 고성능&고속으로 쓰는게 정석입니다 (트래핑이 몰림)

10기가를 라우터에 물리고, 거기 1포트 각각 기가 스위치를 물리시길 추천합니다

설령 NAT 성능이 충분하더라도 저대로 두면 병목현상을 피할 수 없습니다

아니면 라우터의 포트에 스위치 1개씩 물리기라도 하세요 (포트 모잘라면 전화처럼 대역폭 적게 쓰는 장비가 몰린 스위치는 다른 스위치 하위에 연결)
     
양차우 2021-03
넵 참고 하겠습니다
제온프로 2021-03
네트워크 기술자에게 컨설팅 받아서..
설계를 해야 할것 같네요...

정확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비경험자가 하면... 비효율시스템이 됩니다...
     
양차우 2021-03
혹시 어디서 네트워크 기술자분을 찾아봐야 할지 조언해주실수 있을까요?
제온프로 2021-03
4K / 8K 영상 소스용 공유 파일서버...
10Gbps
사용자 30명

시놀로지로는 약해요..
     
양차우 2021-03
헛 시놀로지로 안되면 뭘로 가야 할까요? ㅠ
          
DarknessAng… 2021-03
뭘 쓰는가 이전에 10기가비트를 30으로 나누면 1인당 330메가비트이므로 40메가 바이트/초가 한계가 됩니다

그조차 디스크가 받쳐줘서 NIC 멕시멀을 뽑아내고, HDD의 구조상 다중 엑서스시 속도 저하되는게 없다는 가정하에서의 수치입니다

30명이 8k 소스 다룰려면 24베이 Storage써도 괜찮을지 미묘한 수준입니다
모스월드 2021-03
저정도를 시놀로지로 감당이 될까요? 10G 스위치가 나스응답
기다리면서 놀듯 합니다 ㅎ
     
양차우 2021-03
헛 시놀로지로 안되면 뭘로 가야 할까요? ㅠ
          
박문형 2021-03
좀 오래된 장비이고 그래도 인증된 장비가 있습니다만 전용 장비인지라 가격이 후덜덜해 질 것입니다..

여기에 영상 장비쪽으로 업을 하시는 분이 몇 분 계시는데 그 분들에게 자문을 구하는 편이 좋습니다..

http://www.accusys.com.tw/kr/ExaSAN/SW16-G3/

https://www.youtube.com/user/AccusysExaSAN

이런게 있다는 정도만 알아두세요..

대략 4K 영상 편집 1개를 하려면 1250MB/S 이상의 속도를 가지는 스토리지 및 전용 네트워크가 필요합니다..

1250MB/S = 10Gb/S 즉 대역폭이 10G가 아니고 실제 속도가 10G 이상 속도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양차우 2021-03
음 나스내 작업은 포기해야겠네요ㅠ

그럼
"1G 보다는 쾌적하게 30명정도의 인원이 각종 디자인/영상 작업물들을 공유한다"
라는 설정에 RS3621xs+ 는 좀 과할까요?
박문형 2021-03
공유가 문제가 아니고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인증이 되는게 중요하죠..

아마도 작업물의 크기가 꽤 클 것 같은데 그렇게 되면 1G는 아무래도 카피하다가 새월아 내월아 합니다..

그리고 작업한 것 보관도 해야 하니 2차 맥업 장비 3차 백업 장비도 생각해두면 좋습니다..

레이드 장비는 작업 하는 공간 정도일뿐

실제 운용하다 보면 별의 별일이 다 일어나는데 그럴때 데이터를 보존하는 길은 백업 밖에 없습니다..


QnA
제목Page 1813/5708
2015-12   1675920   백메가
2014-05   5141287   정은준1
2016-08   4170   겨울나무
2017-03   4170   갓영구
2023-03   4170   딥마인드
2018-02   4170   서울사람
2020-04   4170   모자란트
2015-04   4170   김건우
2018-10   4171   백마보병
2017-09   4171   장동건2014
2016-04   4171   ComAreMot
2016-09   4171   늘파란
2017-03   4171   하양까망
2021-07   4171   liang
2016-07   4171   김건우
2018-06   4171   스모모군
2016-11   4171   유혹낚시꾼
2018-05   4171   삐돌이슬픔이
2015-12   4171   한가한이수진
2021-02   4171   겨울나무
2017-10   4171   SkyBase
2016-08   4171   룰루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