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6428 |
0 |
2014-05
513642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1261 |
25 |
2015-12
1671261
1 백메가
|
39594 |
[질문] 제가 s2466-m4 구입했거든요 근데 os 설치시 블루스크린이...[사진첨부] (9) |
조민우 |
2006-10 |
6053 |
16 |
2006-10
6053
1 조민우
|
39593 |
dv랩터rt 사용하시는 분 있나요? (5) |
정명현 |
2005-07 |
6054 |
17 |
2005-07
6054
1 정명현
|
39592 |
노트북에 외장 HDD 를 달고 부팅 가능? (3) |
이윤성 |
2005-06 |
6054 |
19 |
2005-06
6054
1 이윤성
|
39591 |
20320 이 설정이 잘 안되네요 도와주세요 (2) |
김장원 |
2005-05 |
6054 |
6 |
2005-05
6054
1 김장원
|
39590 |
chicony 파워가 어느 정도 급인가요? (6) |
댕댕이 |
2020-05 |
6054 |
0 |
2020-05
6054
1 댕댕이
|
39589 |
일본에 계신 회원님들께 문의드립니다. (1) |
굴다리교 |
2013-02 |
6054 |
0 |
2013-02
6054
1 굴다리교
|
39588 |
PCI-Ex 슬롯을 꽉 채울 경우에 성능 저하가 있을까요? (5) |
GoodWolf |
2009-07 |
6054 |
0 |
2009-07
6054
1 GoodWolf
|
39587 |
카티아,. 프로이,, NX등의 3D CAD 그래픽카드 고민 (8) |
3D서포터즈 |
2017-04 |
6054 |
0 |
2017-04
6054
1 3D서포터즈
|
39586 |
IBM 5014에서 5015로 교체할 경우 다시 볼륨을 잡아야 하나요? (4) |
회원K |
2013-04 |
6054 |
0 |
2013-04
6054
1 회원K
|
39585 |
[질문] ASRock 970 Pro3 R2.0 보드 TPM칩 내장되어있나요? (6) |
e5472 |
2016-03 |
6054 |
0 |
2016-03
6054
1 e5472
|
39584 |
mac mini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4) |
서현석 |
2012-07 |
6054 |
0 |
2012-07
6054
1 서현석
|
39583 |
연산처리용 컴퓨터 조언 부탁드립니다. (5) |
언제나바부 |
2014-08 |
6054 |
0 |
2014-08
6054
1 언제나바부
|
39582 |
파워 퓨즈(fuse) 암페어 문의 드립니다.. (6) |
박재영 |
2006-09 |
6054 |
8 |
2006-09
6054
1 박재영
|
39581 |
LSI 21320-R의 Windows XP 32bit 용 Driver를 찾습니다. (4) |
overtrue |
2009-05 |
6054 |
0 |
2009-05
6054
1 overtrue
|
39580 |
2U/8Bay 서버에 하드 9개 장착 (하드 전원 케이블이 부족해요..) (2) |
최승희 |
2013-03 |
6054 |
0 |
2013-03
6054
1 최승희
|
39579 |
레노버 씽크패드 시스템 업데이트 오류 (1) |
조병철 |
2015-03 |
6055 |
0 |
2015-03
6055
1 조병철
|
39578 |
6400T 2.2 짜리는 A0 스테핑만 있나요? 아님 Q0 도 있는지요? (2) |
늘파란 |
2016-06 |
6055 |
0 |
2016-06
6055
1 늘파란
|
39577 |
[전기] 이걸 뭐라 부르나요? (8) |
정은준1 |
2013-07 |
6055 |
0 |
2013-07
6055
1 정은준1
|
39576 |
워크스테이션 하드디스크 가이드 (3) |
우우씨씨씨 |
2012-11 |
6055 |
0 |
2012-11
6055
1 우우씨씨씨
|
39575 |
일반 NAS 에서 NFS 이용해서 "HP-ux mount" 가능할까요? (2) |
jsuny |
2015-01 |
6055 |
0 |
2015-01
6055
1 jsuny
|
특히 겨울처럼 온도가 낮을때 방전속도가 빠르기때문에 주기적으로 볼트체크하시면서 충전도 해주세요
6개월에 한번만 충전해주세요
보편적으로 2년 보관시 밧데리 불량나서
대부분 AS 기준은 1년입니다
하나쓰면서 하느는 장기보관후 교체하는 방법이랑 어떤게 더 오래쓸수 있을까요?
정상 밧데리의 경우 수명은 100% 완충기준 1000회 입니다
6개월에 한번씩 하는 노가다 할바에는 만충시켜놓고 케이스에 넣어서 충전지 봉투에 1년 반이상 짱박아놓는게 유익하죠
아끼다 🚽 되는 게 배터리이니 그냥 함께 꼽아서 사용하세요.
배터리 완전방전시키거나 완충하는것도 별로 안좋다고 알고있는데
그러면 몇퍼센트정도에서 충전하고 충전은 몇프로까지 하는게 효율적일까요?
제 댓글의 링크에 보시면
궁금하신 내용들은 왠만큼 다 있습니다
윈하시는 답은 30~80%를 계속 유지해 주는것입니다
언젠간 마무리 해야 될텐데..
http://www.2cpu.co.kr/PDS/13971
만충해서 보관하면 스웰링이 생기고 셀이 파괴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리튬 충전기에는 스토리지모드 충전이 있습니다.
아마 70% 정도 용량의 충전일껍니다.
저전압 떨어져서 보호회로 잠긴 후에도 지속적으로 방전이 일어나면
저전압으로 셀이 파괴될 수도 있기 때문에
1년 정도에 한번은 충전해주시는게 좋습니다.
근데 어차피 쓸꺼면 두개 함께 번갈아가며 운용하는게 좋지 않나요?
운용하면 배터리 수명을 더 늘릴 수 있긴합니다.
근데 많이 불편한 일이죠.
열화되면 리필하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둘다 만충해놓고 하나 떨어지면 충전 걸어놓고
다른 배터리 끼워서 쓰고 하는게
편의성도 좋고 ... 이걸 안할 이유가 없어보입니다.
그리고 확실히 이름이 있는 제조사의 셀이 오래 가긴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썩은 소니 18650을 재일 좋아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