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질문을 다른곳에 올렸지만 내용을 좀 다시해서 여기에 다시 올려봅니다.
----
10700 z490 보드 그래픽 1660s에 전력해제하고 케이스도 쿨링 잘되고 그래픽도 갈굴 일 없고..
현재 사용하는 공랭이 트리니티 예전버전입니다.[화이트 팬 아닌 일반 검정색 팬]
거의 가벼운 작업만 하다가 오늘 잠깐 동영상 인코딩 해봤는데 아이들시 30~40도 찍히는데 96도까지 올라가네요.[shotcut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 했습니다.]
전력을 180w 가까이 먹더군요.
그래서 트리니티에다가 델타 고풍량 서버용120mm 팬 한개를 더 붙였지만 효과가 없네요.
이 팬에는 풍량을 풀로 넣기위해 보드가 아닌 별도 팬컨트롤러로 연결 했습니다. 그런데도 효과가 없습니다.
인코딩 할 때 방열판을 손으로 만져보니 미지근한 수준이었습니다.
이것으로 볼 때 트리니티의 방열효과가 좋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시퓨가 90도가 넘는 상황에서 방열이 잘된다면 일단 방열판은 뜨거워져야 된다고 보는데 시퓨는 뜨거운데 방열판이 미지근하다면 결국 이런 고전력 시퓨에는 맞지않는것 같습니다.
올 여름이 오기전에 아무래도 쿨러 갈아줘야 할 것 같은데 트리니티도 나름 괜찮은 쿨러라 공랭 대장급으로 간다고 해도 10도 이상 떨어질 것 같지않은데 수냉으로라도 가야하는건가요?
수냉은 해본적도없고 전에 유튜브에서 방송중 고가 시스템에서 누수 되는걸 보고 어지간 하면 수냉 꺼려지긴 하더라구요.
혹시 편집 프로그램 중 시퓨 부하를 좀 덜먹는 그런 프로그램은 없을까요?
이게 전력제한 해제를 해서 그런지 96도가 되도 스로틀링이 걸리지않네요.
자꾸 이러면 시퓨 타버리는것 아닌가요?
또는 후에 냉납으로 문제 생길 것 같기도 하네요.
이제껏 시퓨 온도 때문에 걱정 해보긴 처음이네요.
방열판에 열 전달이 잘 안될수도 또는 온도센서 문제가?
보통 공랭 3대장 꼽는데..
녹투아 NH-D15, 딥쿨 어쎄신3, 크라이오릭 R1 울티메이트(요즘은 잘만 CNPS20X를 꼽는듯합니다.)
상급으론 비콰이어트 다크락프로, 그랜드 마초 RT 정도 더 뽑습니다.
이정도 쓰시면 어느정도는 해결되실겁니다.
쿨러 바꿔도 그렇다면 장착 상태나 써말 상태가 문제로 보입니다.
이 정도면 쿨링 조건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pc는 작년 9월에 조립 한 것으로 서멀을 재도포 할만큼 시기는 안된것 같고 그렇다고 그동안 시퓨 온도가 극도로 올라갈 만한 작업을 하지않았습니다,
얼마전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 한번 써보고 기겁했습니다.
제 컴 역사상 96도라는 온도는 본적이 없거든요..
트리니티가 그래도 중급 정도 성능이라 대장급으로 간다고 해도 극적인 온도하락 그러니까 10도 이상씩이 과연 떨어질까요?
정말 멋지게 쓰시는군요..
뜨겁고 하려하게.. 내일은 없다..
오늘만 산다..
CPU를 사랑해 주세요.. 그러다가 메인보드 죽겠네요..
하나만 죽어도 속상하고 돈이 날라가는데..
좀 심하시네요..
고속도로에 이런말 있습니다.. " 5분 먼저 가려다 50년 먼저 간다."
시간 날때 다 뜯어내야겠습니다.ㅠㅠ[아우 하기싫어..]
혹은 전력공급 제한을 다 푸는게 아니라 PL2 리밋을 조금 남겨두면 발열 부분은 덜해질 듯 합니다.
10600이 K만 솔더링이구요.
해당 cpu가 전력이 150w로 매우높은편에 속하는데 솔직히 공랭으로 처음써보는거라 불안했었거든요.
그런데 이게 물건인지 온도를 매우잘잡네요.
이글을 보니 지금 제 상황이 크게 잘못된건 아닌것 같고 트리니티가 고부하가 걸리는 작업에는 맞지않는것 같네요,
리플에서 본문 글쓴이가...
---
2. 친구에게 sos하여 농협15, cnps17x를 빌려서 장착...(리뷰어도 아니고 이게 무슨짓인지..)
온도가 80도까지 내려가네요..하지만 소음은 트리니티의 2~3배
전원부 온도는 55도로 비슷.
---
트리니티 95도에서 80도까지 내려갔다고 썼는데 이정도면 상상이상이네요.
기쿨에서 사제 넘어갔다면 납득하겠는데 트리니티가 그렇게 떨어지는 수준도 아닌데 대장급이 엄청나게 온도 잘잡네요.
역시 글쓴이의 언급대로 트리니티에서 90도 넘는 온도가 방열판에서 미지근 하게 느껴진다는것은 그만큼 열전도가 이루어지지않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역시 트리니티에 팬을 추가해도 온도 변화가 없다고합니다.[저역시 델타 고풍량 팬을 추가로 붙였음에도 온도 1도도 못잡더군요.]
공랭쿨러는 팬성능보다는 방열판 성능이 좌우하는것 같습니다.
너무 온도 상승이 심하다면 쿨러 장착상태나 서멀 도포 상태도 의심해보세요
이외에 시퓨만으로 냉각이 부족하면 케이스팬의 도움도 빌려보세요
그걸로 모잘라면 진짜 최상위인 D15같은 빅타워중에서도 일부 케이스에서만 들어가는 초대형 쿨러 가시던지 3열 수냉밖에 없어요 (그걸로 모잘라면 2열은 미묘함)
시퓨 성능이 부족한게 아니라면 전력 제한도 고려해보세요
이건 tdp가 170w좀 넘는것 같았었는데...
동영상 인코딩 할 때 180w 가까이 먹었고 이때 96~7도까지 치솟더군요.
이미 포화상태를 넘어선거죠.
서멀을 재도포해도 시퓨가 버틸 수 없을겁니다.
어제 시퓨에 부하 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200w를 넣어보니 100도 가까이 나오더군요.
수냉 가던지 대장급 가야 할 것 같습니다.
초대형은 케이스가 받쳐줘야하고, 나중에 작업할떄 케이스 안이 비좁음
10, 11세대 시퓨는 정말 첨 경험 해보는 온도를 보여주네요.
빨리 공정 개선이 되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