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10 의 Disk 2개를 하나로 묶어서 단일 볼륨으로 만들 시 안정성 문제

무아   
   조회 6288   추천 0    

 8T 엔터프라이즈 급 HDD 2개를 Windows 10 OS 에서 지원하는 단일 볼륨으로 묶는 기능을 써서 1개의 드라이브로 잡아 쓰고 있습니다. (JBOD 같은 기능인듯)

CrystalDiskInfo 같은 툴로 각 디스크의 상태를 보면 모두 좋음으로 나오고

CrystalDiskMark 로 밴치를 돌려봐도 묶인 드라이브의 속도는 잘 나옵니다.

그런데 대용량 파일 또는 다량의 파일을 복사해보면 읽기는 잘 되는데 쓰기의 경우 속도가 처참하게 안나옵니다.

혹시 HDD 여러개를 레이드 카드 없이 SW 단일 볼륨으로 묶어 쓰시는 분 계신지요? 

제가 말한 증상 같은 것이 발생하지 않나요?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crow 2021-04
차라리. 메인보드상의 RAID 0로 쓰심이 좋을 듯요.. 메인보드 거진.. 0, 1은 기본 지원하지 않나요????
     
무아 2021-04
해외 장비인데 현지 엔지니어가 셋팅할 수 없을 것 같아서 (작업 동안 제가 팀뷰어로 해야할 거 같아서..)
일단은 USB 외장 disk에 파일들을 백업 받은 후 디스크를 단일로 풀어서 새로 잡아주는 작업을 진행할 까 하는데..
윈도우 디스크 관리자에서 지원하는 디스크 묶는 것이 믿음이 안가서 문의드려 봅니다.

p.s. JBOD 방식으로 묶이는 것 같아서 그냥 디스크 관리자에서 묶은 걸 풀어주면 각각의 볼륨으로 파일들이 다 살아나면 좋겠지만.. 모험은 금물이라..
박문형 2021-04
제가 보기에 SW-RAID로 묶는 것은 이래나 저래나 해답은 안될 듯합니다..
     
무아 2021-04
MS 엔지니어들이 똘아이가 아닌 이상 문제가 있는 기능을 자랑스럽게(?) 넣어놓진 않았을 듯 해서 뭔가 잘못 쓰고 있는 건가 싶기도 하고...
역시 그들은 똘아이 맞나? 라고 생각이 들기도 하고.. 하하.
          
dateno1 2021-04
고성능 필요한곳에 쓰라고 만들어준건 아니라고 봅니다
시도니 2021-04
os에서 묶나 rst에서 믂나 어짜피 캐쉬없는 불륨에서는 그게 그거입니다.

제가 SSD가 비싸던 시절 하드의 일부공간을 4개로 스트라이프볼륨으로 묶어 사용한적이 있습니다.

당연히 ssd보다는 느리지만, 그럭저럭 게임을 할 만하긴 하더군요.

안정성은 날리는 순간까지 깨지지 않아서 검증이 안되네요.

저 윈도우에서 만든 볼륨은 윈도우를 밀고 다시 윈도우를 붙여도 데이터는 날아기지 않습니다.

저 윈도우 볼륨이 좋은 점도 있는데 스트라이브/미러 볼륨을 디스크의 용량이 맞지 않아도 규격이 달라도 구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부팅디스크로는 쓸 수 없는 단점이 있지요.

고속 엑세스 임시 볼륨으로 쓸만합니다.




그리고, 저 기능은 원래 자체 윈도우 기능은 아니고 verias 애들한테서 얻어온 겁니다.  veritas 애들이 이 바닥에서는 쫌 합니다.
쭈쭈봉 2021-04
윈도 내장 레이드로 잘쓰고있습니다.
몇년썼는데 풀ㄷ리거나 한적없습니다.
속도도 느리진않았고요
캔위드 2021-04
윈도우 저장소라면 용량도 모델도 다른 잡다한 hdd들  8개 정도 패리티모드로 묶어서
한 3년동안 매우 만족하며 잘 사용했었습니다.
애초에 전부 상태 안좋은 hdd들이여서 한 3번 정도 물리 hdd 장애가 발생했지만 정말 편리하게 hdd교체가 되더군요.
심지어 시놀로지 shr 에서조차 지원하지 않는 "용량축소"기능까지 있어서 정말 잘 사용했었습니다.
화정큐삼 2021-04
윈도우 내장 레이드 저도 사용해 봤는데,
절대 저 PC에서 저 HDD는 계속 두고 딴 보드로 옮기거나 할 생각만 안한다면 괜찮을것 같습니다.
저는 다른 보드로 붙여본다고 시도했다가 레이드 풀려서 망한적이 있습니다.
동영상 자료들 많이 넣어두었던 HDD인데 백업도 없이 대책없이 시도했다가 데이터 날려먹었습니다.
     
술이 2021-04
소프트레이드는 어디를 붙여도 잘 올라옵니다. 기존볼륨 삭제나 물음표나 경고 뜬거 무시하고 없애버리면 그냥 날라가는건데 다른데 붙일데 그냥 가져오기 절차만 거치면 데이터는 그대로 올라오는게 맞는겁니다.
술이 2021-04
저장소풀 쓴거 맞죠?
동적디스크 미러링 썼다면 동기화 되는 도중에 데이터 넣은건 아닌지...
미러링 방식은 읽기는 두배속도 나오지는 쓰기속도는 단일디스크 속도입니다.
     
무아 2021-04
저장소 풀을 쓴게 맞고 미러링이나 그런 건 아닙니다. 그냥 용량이 큰 단일 볼륨이 필요해서 JBOD 처럼 2개의 8T 디스크를 묶어서 16T로 만든 형태 입니다.
쓰기 속도가 여러개의 파일을 동시에 붙여넣기 해보니  처음에 램에 캐시될 때 엄청 빠르게 나왔다가 일정 시간 후 쑥 떨어지는데 그 이후로 무지 느리더군요. 1MByte/sec 도 안나오고 가끔 0 Bps 로 떨어져서 한동안 멍 때리기도 하고..
          
술이 2021-04
디스크 둘다 풀 체크 해봐야 할거 같습니다. 특정 섹터에 배드블럭 있는게 존재하는거 같아요. 아니면 지연율이 심한 블럭이 있거나...
          
제온프로 2021-04
이런 경우는 드라이브에 논리적인 Bad나 물리적인 Bad가 있는 경우 같습니다.
mongodb 2021-04
저거보단 stabldbit drive가 낫더군요. 그냥 14tb짜리 8개 연결해서 jbod방식으로 쓰고있습니다. 가격은 40달런가 50달러정도...
박문형 2021-04
혹시나 가능하시면 디스크 캐슁 프로그램 올려보시기 바랍니다..
캔위드 2021-04
확실히 이상하네요 저는 평균 350M/s 느려도 200M/s이상은 나왔는데..
뭔가 다른 문제가 있는게 아닐까 합니다.
sw방식이라 특성 타는것도 아닐테고;;
이상하네요;
배드체크부터 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gmhddscan 같은걸로요.
the촌놈 2021-04
심지어 윈8.1에서도 2개를 하나로 묶어서 잘 쓰고 있습니다. 어떤 작업을 해도 성능 저하 같은 건 없고요.
제온프로 2021-04
윈도우 Dynamic Drive로 잡아서 SPAN 합니다..
그러면 2개의 드라이브를 단일 드라이브로 만들 수 있죠.
단순 연결이며 JBOD와 비슷한 구성이고
어떠한 잇점은 없습니다.. 다만 단일 드라이브로 쓸 수 있다는 것.
용량이 모자랄 때 많이 사용합니다..
하드가 죽으면 부분적으로 죽습니다.

이 경우의 드라이브는 SMR 이나 CMR이나 그 차이 같습니다..
쓰기 성능이 떨어진다면...


QnA
제목Page 796/5730
2014-05   5266463   정은준1
2015-12   1791375   백메가
2021-10   2765   이득영
2010-01   7864   akfalles
2016-12   4995   김건우
2016-01   4976   삐돌이슬픔이
2020-06   7369   봉래
2023-06   1789   negativete
2019-04   13546   꾸띠웍
2019-04   5067   엠케이
2020-06   3208   병정개미
2016-12   6217   스스디
2010-01   14115   김재식
2014-09   7344   캡틴아메리카노
2016-01   4124   전설속의미…
2018-02   5731   김건우
2021-11   2680   프랑
2013-03   5683   장동건2014
2018-02   8829   진혼
2010-02   6871   노성호
2020-06   4713   트렌드
2018-02   14202   반성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