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859 |
0 |
2014-05
513985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4465 |
25 |
2015-12
1674465
1 백메가
|
46642 |
듀얼코어 애슬론... (2) |
남기호 |
2005-08 |
5714 |
16 |
2005-08
5714
1 남기호
|
46641 |
케이스 상단에 120mm 홀 하나를 뚫고싶습니다 (6) |
김대성 |
2009-01 |
5714 |
1 |
2009-01
5714
1 김대성
|
46640 |
[질문] 하이닉스 메모리 수입 업체 '파인인포메이션' (3) |
선철 |
2008-02 |
5714 |
4 |
2008-02
5714
1 선철
|
46639 |
SHG2 서버보드가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
이성환 |
2006-07 |
5714 |
62 |
2006-07
5714
1 이성환
|
46638 |
원격 제어에 대해서... (10) |
함문수 |
2005-10 |
5714 |
9 |
2005-10
5714
1 함문수
|
46637 |
노트북용 DDR3 메모리 신형과 구형? (10) |
블릭 |
2017-08 |
5714 |
0 |
2017-08
5714
1 블릭
|
46636 |
운영체제 데드-카피 경험자분 없으세요?.. (4) |
송미선 |
2005-11 |
5714 |
3 |
2005-11
5714
1 송미선
|
46635 |
저희 집 인터넷 단자함...어떻게 해야할까요.... (9) |
박문형 |
2018-12 |
5714 |
0 |
2018-12
5714
1 박문형
|
46634 |
내키보드... (2) |
윤호용 |
2006-04 |
5714 |
43 |
2006-04
5714
1 윤호용
|
46633 |
윈도우 업데이트 실패후 용량이 하드 잔여 용량이 줄어들었습니다. 어떡게 복구할 수… (3) |
한가람돌이 |
2016-04 |
5714 |
0 |
2016-04
5714
1 한가람돌이
|
46632 |
자동차와카메라 (2) |
윤호용 |
2008-06 |
5714 |
33 |
2008-06
5714
1 윤호용
|
46631 |
공유기 SIP 설정을 꼭 해야할까요? |
Shosta |
2014-11 |
5714 |
0 |
2014-11
5714
1 Shosta
|
46630 |
택배가 잘못오면 어떻게 하시나요? (5) |
JandD |
2017-12 |
5715 |
0 |
2017-12
5715
1 JandD
|
46629 |
좌절모드입니다만.. 하나만 더 여쭙겠습니다. (2) |
김민성 |
2006-05 |
5715 |
14 |
2006-05
5715
1 김민성
|
46628 |
하드디스크 일부 영역만 사용하기.. (4) |
이성재 |
2006-03 |
5715 |
18 |
2006-03
5715
1 이성재
|
46627 |
레이드시 하드용량이 부족해서... (6) |
김상현 |
2006-03 |
5715 |
14 |
2006-03
5715
1 김상현
|
46626 |
웹, 파일서버 질문드립니다. (6) |
권희석 |
2006-06 |
5715 |
14 |
2006-06
5715
1 권희석
|
46625 |
windows server 2008 r2 질문있습니다. (5) |
서현석 |
2012-01 |
5715 |
0 |
2012-01
5715
1 서현석
|
46624 |
hyper-v 사용시 VHDX 랑 물리 디스크 잡는 것의 속도 차이가 있나요? (4) |
TLaJ3KtYGr |
2018-07 |
5715 |
0 |
2018-07
5715
1 TLaJ3KtYGr
|
46623 |
WINDOWS XP 64 에서 한글(HWP) 사용하기? (5) |
우판석 |
2008-08 |
5715 |
13 |
2008-08
5715
1 우판석
|
https://forum.ansys.com/discussion/16731/ryzen-threadripper-3990x-problem
인텔이라면 HT를 끄셔야하고 AMD라면 SMT를 끄셔야 합니다. 64쓰레드 이내여도 엔시스는 HT/SMT를 껐을 경우 더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준다고 알고 있습니다.
6248은 20코어40쓰레드이며 듀얼 구성시 40코어80쓰레드라 코어 하나 전체가 놀 겁니다. 코어수를 줄이시거나 HT를 끄셔야하며 3990x는 SMT off시 64코어를 풀로 활용할 수는 있으나 꽤나 심한 메모리 병목 현상이 있을 겁니다. amd 스스로도 병목현상 있으니 메모리 대역폭이 많이 필요한 작업인 경우 에픽을 가라고 합니다. 대신 쓰레드리퍼는 메모리 클럭을 높일수록 성능이 꽤나 좋아지며 인텔은 메모리클럭 올려봐야 별 차이가 없습니다. amd 에픽이든 인텔 제온이든 물리 64코어에 최대한 가깝게 셋팅을 하고 그 중 가장 높은 cpu클럭과 메모리 대역폭을 지원하는 제품이 좋습니다.
https://quasarzone.com/bbs/qn_hardware/views/359830
https://www.servethehome.com/amd-ryzen-threadripper-3990x-review-64-cores-for-a-workstation/2/
현재로서는 가격이 비싼 에픽보다는 쓰레드리퍼 프로 3995wx가 좋은 대안이 될 것 같기도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대략보니 AMD CPU가지고 테스트 된 자료는 없는 듯합니다..
PC는 가성비라 생각합니다
벤치마크는 내가 직접 하기전에는 믿지 못하죠.
CPU만 달라지는게 아니라 Memory Clock, HDD 및 Controller 등 다양한 변수가 있기 때문에 모릅니다.
견적은 서버 벤더에서 직접 받아보세요
7742가 1300만원인지는 모르겠지만 저희가 사용하는 7702P (64Core @ 2.0GHz)를 넣은 서버가 1000만원 (+-100) 수준이었습니다.
EPYC 3세대가 나온다고 달라질껀 별루 없을텐데요
맞습니다. 결국 벤치마크는 ansys에서 제공하지 않는 이상, 다른 웹사이트들의 자료는 저에게 큰 의미가 없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나와 및 컴퓨존에서 최저가 검색 시 나온 가격이 1300만원이였습니다. 코인채굴때문인지, 고성능 그래픽카드처럼 가격을 심히 덧붙여서 팔고 있어서... 구매는 어려워보입니다.
그냥 수요가 많지않기 때문에 비싼겁니다.
하루에 100개씩만 팔리면 20~30% 내려가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1300은 적정한 금액일 겁니다.
AMD EPYC의 최대 고객은 CRAY 같은 슈퍼컴퓨터 제조사입니다..
국내에서 리테일은 거의 안 팔린다고 보시면 되고요..
보통 AMD EPYC 은 벤더를 통해서 시스템과 CPU 한꺼번에 구매합니다..
그렇다면 에픽 3세대가 만약 출시되더라도, 현재 에픽 2세대의 상황과 동일한 가능성이 농후하겠네요. 에픽 2,3세대는 제외하고 생각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1300만원 이면 미국 출장 가서 사와도 돈이 남을텐데.
ㅎㅎㅎ
전체 비용이 크다보니, 연구비 사용을 위해서는 산학협력단을 통해 중앙구매를 해야합니다.
중앙구매를 하게되면 보통 항운사를 거치게 되는데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국내에서 수급하는 방향으로 생각하고있습니다.
epyc2 세대에서 수율 선발해서 클럭 끌어 올린놈들로 알구있습니다.
epyc3 세대가 젠3 기반이고 일반 PC 상황에 비교해보면
IPC가 상당히 올라갔습니다.(3000 -> 5000번대)
epyc3도 기존 2세대보다 클럭도 올라갔구요.
epyc 3세대가 나온다면 같은 코어수 에서 더 빠른 처리가 가능 할거 같습니다.
epyc3가 출시는 했지만 아직 막 풀리고 그런 상황은 아니기에
약간 기다릴수 있으시다면 기다려보는것도 좋아보입니다.
다시 한 번 생각해보니, epyc 3세대가 출시를 한다고 하더라도, 국내에서 소매로 공급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 같습니다.
3990x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나, 가장 걸리는 점이 인텔 제온 6248에 비해 낮은 메모리 채널수와 대역폭입니다.
위에서 지니컴님이 3990x의 메모리 병목 현상의 가능성을 말씀해주셔서 고려해서 조금 더 고민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쓰레빠 프로가 진짜 epyc 2세대의 끝판 왕들입니다.
메모리도 8체널이고 메모리 클럭도 3200으로 빠르긴합니다.
근데 이 쓰레빠 프로도 결국 젠3 기반의 쓰레빠가 나오면 찌발릴거 같습니다.
쓰레빠 프로가 메모리 채널수 및 메모리 대역폭 측면에서 쓰레빠보다 낫은 성능을 보이는 군요. 제가 고민하던 부분이 해결된 것 같아서, 쓰레빠 프로로 마음을 굳혀가고 있습니다.
젠3기반 쓰레빠, 쓰레빠프로, ... 이렇게 가다보면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ㅎㅎ 기다릴 수 있으면 기다리면 좋겠지만, 다음 달 말까지는 워크스테이션을 맞춰야해서 쓰레빠프로 3995wx로 가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문제는 epyc에 밴더 락이 걸린다 합니다.(Dell 전용 Dell 외의 보드에서 작동 안함)
밴더에 직접 견적 받아서 물건 받으시면 상관없겠지만
저 처럼 취미로 저렴하게 하는 상황이면 상당히 좋지 않네요..
슈마 보드를 일단 질러는 놓은 상태인데...
이 추세라면 epyc 3세대가 밴더 락없이 풀리는건 한참 후 일거 같아 일단 2세대 밴더 락 없는 제품을 알아보는 중입니다.
2세대 까지는 dell만 있고 hp는 없다 하던데 3세대부터는 어떨지 모르니까요..
실제로 ebay에 3세대 에픽이 몇개 올라왔다가 싹 사라졌습니다.
혹시 조립도 생각하고 계신다면 참고 하시라 주저리 주저리 써봅니다.
말씀해주신 벤더락 문제를 고려하면, epyc은 당장 힘들어보이네요. 감사합니다.
3세대는 언제 풀릴지 모르겠는게 함정입니다..
요게 언제나 나오나 보고 있긴 합니다..
슈마에서 웤스 자체로 판매를 할줄은 몰랐네요..
탐스럽긴 합니다.
그럭저럭 쓸만해 보이지 않습니까??
그런데 에픽이랑 소켓이 달라서..
젠3 쓰레빠프로가 같은 소켓으로 나오겠지만 지금 당장은 에픽3가 더 나아보이긴 합니다
거지인지라..
그리고 시스템 구축해도 집에서 동영상 보기와 인터넷 돌아댕기기 외 할 일이 없습니다..
제품 설명에도 280W TDP를 지원하는 쿨러가 요구되며, 280mm 이상의 라디에이터가 장착된 수냉쿨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nzxt의 크라켄 x73모델을 고려중입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0467378&keyword=nzxt+kraken+x73&cate=112798
올려주신 제품 확인해보니, 쓰레빠 쿨러 권장사항보다 낮은 250W TDP라고 나와있습니다.
수냉은 선택지가 많은 편이지만 공냉은 선택지가 별로 없긴 합니다.
저는 공냉으로 할지 수냉으로 할지 아직 결정을 못했습니다 ㅠ
링크 찍어드린건 풀로드시 80도 정도 유지가 가능 하다는 댓글이 있기에..
공냉이라면 선택지가 없어보이더라구요.
온도 감당할 수 있을까요 ?
안정적인 시스템 구성하신다면..
제온 6248 듀얼 더 좋겠죠...
3990x의 TDP가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제품 설명에도 최대 280W TDP를 지원하는 쿨러가 요구된다고 나와있습니다.
280mm 이상의 라디에이터가 장착된 수냉쿨러를 장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글 이후의 진행과정이 궁금합니다.
ansys를 이용한 fluent. cfx등을 활용하고자 합니다
인텔이나 AMD냐 결정해서 직접조립하고요.
케이스와 쿨링시스템도 직접 설계와 제작을 해보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