Ȥ½Ã ESP32¸¦ i2c slave ·Î ½á º¸½Å ºÐ °è½Å°¡¿ä?

isaiah   
   Á¶È¸ 2757   Ãßõ 0    

  제조사 재공 i2c 슬레이브 드라이버가

 마스터의 전송 종료 비트를 같은걸 따로따로 알려주지 않고 받은 내용을 줄줄이 RX 버퍼에

 보넬 내용을 줄줄이 TX에 넣는 식으로 만들어져 있던데..


 드라이버내의 인터럽트 처리 루틴에 I2C_INTR_EVENT_TRANS_DONE 같은 인터럽트 타입을 확인하는 부분이 있고

 마스터 쪽은 이걸 구분해서 따로 처리하는데..

 슬래이브 쪽은 I2C_INTR_EVENT_TRANS_DONE 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하드웨어 i2c의 퍼버가 가득찾을 와 마찬가지로 그냥 매모리에 복사하고 버퍼를 비워주는 루틴을 돌리던데...

 이게 그냥 드라이버를 덜(?)만들어서 그런걸까요?

 아니면 하드웨어 특성상 슬래이브 쪽은 I2C_INTR_EVENT_TRANS_DONE 플레그가 의미가 없는 걸까요?

 하드웨어 특성인가 하고 데이터 시트도 살짝 봤는데 자세하지가 않아서요...

ªÀº±Û Àϼö·Ï ½ÅÁßÇÏ°Ô.


QnA
Á¦¸ñPage 754/5707
2014-05   5137790   Á¤ÀºÁØ1
2015-12   1672515   ¹é¸Þ°¡
2022-06   2756   ¸¸»ç¿ÀÄÉÀÌ
2020-04   2757   Doker
2019-08   2757   °Ü¿ï³ª¹«
2019-05   2757   susemi
2020-03   2757   ¹èº´·Ä
2021-07   2757   ¹é¸¸½º¹°Çϳª
2020-12   2757   ¸¶½ºÄÚÆ®
2023-08   2758   pwater
2019-09   2758   ³ª¶ó¶ß
2021-05   2758   isaiah
2019-07   2758   ¦´©´Ï
2019-02   2758   suban
2022-06   2758   ¿Ã´Ð½º
2022-08   2758   ¹Ù·¥¾²
2022-08   2758   PCMaster
2018-11   2759   ¹ü¹üÀÌ
2018-09   2759   °ø¾ËÀÌ
2018-12   2759   Áø½ÅµÎ
2020-01   2759   ÁØÄÄ´ö
2019-04   2759   Oc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