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ESP32를 i2c slave 로 써 보신 분 계신가요?

isaiah   
   조회 2751   추천 0    

  제조사 재공 i2c 슬레이브 드라이버가

 마스터의 전송 종료 비트를 같은걸 따로따로 알려주지 않고 받은 내용을 줄줄이 RX 버퍼에

 보넬 내용을 줄줄이 TX에 넣는 식으로 만들어져 있던데..


 드라이버내의 인터럽트 처리 루틴에 I2C_INTR_EVENT_TRANS_DONE 같은 인터럽트 타입을 확인하는 부분이 있고

 마스터 쪽은 이걸 구분해서 따로 처리하는데..

 슬래이브 쪽은 I2C_INTR_EVENT_TRANS_DONE 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하드웨어 i2c의 퍼버가 가득찾을 와 마찬가지로 그냥 매모리에 복사하고 버퍼를 비워주는 루틴을 돌리던데...

 이게 그냥 드라이버를 덜(?)만들어서 그런걸까요?

 아니면 하드웨어 특성상 슬래이브 쪽은 I2C_INTR_EVENT_TRANS_DONE 플레그가 의미가 없는 걸까요?

 하드웨어 특성인가 하고 데이터 시트도 살짝 봤는데 자세하지가 않아서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QnA
제목Page 755/5707
2015-12   1669756   백메가
2014-05   5134777   정은준1
2021-02   2750   니즛
2019-10   2750   비워두기
2019-09   2751   페선생
2023-09   2751   달광이
2022-05   2751   L2스위치
2020-11   2751   그린
2021-01   2751   apuburner
2018-09   2751   공알이
2022-02   2751   집구석
2023-09   2751   텔이
2020-11   2751   불타는쑥대밭
2019-08   2751   김건우
2019-05   2752   잘하자
2019-09   2752   나라뜨
2023-07   2752   isaiah
2021-05   2752   isaiah
2022-02   2752   meviesta
2022-03   2752   일반유저
2019-06   2752   통통9
2020-08   2752   산지직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