Ȥ½Ã ESP32¸¦ i2c slave ·Î ½á º¸½Å ºÐ °è½Å°¡¿ä?

isaiah   
   Á¶È¸ 2971   Ãßõ 0    

  제조사 재공 i2c 슬레이브 드라이버가

 마스터의 전송 종료 비트를 같은걸 따로따로 알려주지 않고 받은 내용을 줄줄이 RX 버퍼에

 보넬 내용을 줄줄이 TX에 넣는 식으로 만들어져 있던데..


 드라이버내의 인터럽트 처리 루틴에 I2C_INTR_EVENT_TRANS_DONE 같은 인터럽트 타입을 확인하는 부분이 있고

 마스터 쪽은 이걸 구분해서 따로 처리하는데..

 슬래이브 쪽은 I2C_INTR_EVENT_TRANS_DONE 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하드웨어 i2c의 퍼버가 가득찾을 와 마찬가지로 그냥 매모리에 복사하고 버퍼를 비워주는 루틴을 돌리던데...

 이게 그냥 드라이버를 덜(?)만들어서 그런걸까요?

 아니면 하드웨어 특성상 슬래이브 쪽은 I2C_INTR_EVENT_TRANS_DONE 플레그가 의미가 없는 걸까요?

 하드웨어 특성인가 하고 데이터 시트도 살짝 봤는데 자세하지가 않아서요...

ªÀº±Û Àϼö·Ï ½ÅÁßÇÏ°Ô.


QnA
Á¦¸ñPage 779/5727
2014-05   5255207   Á¤ÀºÁØ1
2015-12   1780123   ¹é¸Þ°¡
2023-04   2166   ÇູÇѸÁÄ¡
2014-07   12001   ûÁÖÀÌ»óö
2021-09   2736   °Ü¿ï³ª¹«
2020-05   4146   galaxyfamily
2020-05   3154   isaiah
2012-12   8420   Twin
2014-08   9452   Nikon
04-01   601   ¹Ú
2012-12   9339   ÀÌ¿øÀçK
2014-08   5201   ¹Ú
2023-05   1891   °Ü¿ï³ª¹«
2009-11   8260   »õ·Î¿îÂ÷¿ø
2013-01   7887   °³¹Ì´Ãº¸
2013-01   4827   ÇѼºÅÃ
2013-01   6362   ¸¶ÀÌÄÚÄÚ
2013-01   8104   ÀÌ¿øÀçK
2014-08   3663   ¾Æ¸§´Ù¿î³ëÀ»
2016-11   5119   µþ±â´ëÀå
2009-12   22687   ¹Ú»ó¹ü
2015-12   4666   ´ëÇѹα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