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cade san switch 써보셨거나 쓰시는분들께 질문드립니다. (porterrshow 명령어)

집구석   
   조회 5865   추천 0    

brocade san switch에 porterrshow 명령어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

porterrshow 명령어를 통해서 실행결과를 보면

disc c3, link fail, loss sig 부분에 숫자가 표기되어있는데요

혹시 이 부분이 조치가 필요할 만큼의 문제로 봐야하는지 판단이 안서서요

구글 검색해서 번역해봐도 무슨 의미인지 정확히 이해가 되지않아 알고 계신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 경우 crc error는 당연히 문제로 보구요
link fail은 리부팅하거나 이럴경우 카운트 되는거니 많치 않으면 무시하셔도 됩니다. 단 많이 나거나 다른 error와 같이 표시된경우 봐도 되고요
brocade 16Gbps switch는 sfp 버그가 있기 때문에 유의가 필요합니다. sfp 시리얼에 세번가 f는 피니셔꺼라 버그로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tx광량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리고 disc c3도 많은 경우 장애가 발생한 경우도 있습니다. loss sig는 그다지

Disc c3: 장치가 FLOGIing없이 프레임을 보내거나 대상이 잘못된 프레임을 보낼 때 스위치에서 클래스 3 오류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이 오류는 삭제가 발생했다고보고하는 것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프레임을 버릴 수 있습니다. 시간 초과, 대상에 도달 할 수 없음, 영역 삭제 또는 기타 폐기 이유.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초과되어 버퍼의 프레임이 E_D_TOV보다 깁니다. 디스크 / c3는 문제를 일으키는 프레임을 항상 버리는 포트가 아니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는 데 쉽지 않습니다
.
Link-fail: 포트가 시간 초과 기간 (R_A_TOV)보다 긴 시간 동안 LR 수신 상태로 유지되면 링크 재설정 프로토콜 시간 초과가 감지되어 링크 장애 조건이 발생합니다 (NOS 전송 상태로 들어감). 또한 링크 실패는 R_ATOV 값보다 오래 지속되는 신호 손실 또는 동기화 손실을 나타냅니다.
오프라인 상태가 아닌 동안 감지되었습니다
sfpshow -all | grep TX, sfpshow -all | grep RX 로 광량을 체크후 확인 판단하다는 좋을 듯합니다
전 16기가면 300이하, 8G는 200이하면 장애가 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porterrshow를 캡쳐후 한달후 어느정도 올라갔는지를 확인해보세요...disc c3와 link fail도 늘렸다면 문제가 있습니다


QnA
제목Page 3494/5707
2014-05   5136430   정은준1
2015-12   1671263   백메가
2008-06   5786   박종성
2007-12   5786   조재현
2018-05   5786   Psychophysi…
2006-07   5786   한태동
2014-02   5786   s김종화z
2008-01   5786   방효문
2012-06   5786   싱어송라이터
2020-08   5786   들고양이
2008-08   5786   박지호
2022-11   5786   블랙
2012-04   5786   김건우
2005-04   5786   윤현덕
2009-02   5787   정은준1
2005-06   5787   조항주
2016-03   5787   딩굴이
2012-04   5787   2CPU최주희
2016-10   5787   Everyharu
2011-09   5787   박문형
2009-03   5787   song05
2012-09   5787   이해하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