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6873 |
0 |
2014-05
513687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1646 |
25 |
2015-12
1671646
1 백메가
|
44277 |
Raid Controller의 Cache Memory 와 Cache Battery 및 Write Policy 정리 (3) |
찌록 |
2021-07 |
5786 |
0 |
2021-07
5786
1 찌록
|
44276 |
왕쿨러로 모톤 mp 개조 버전이 커버 될까요? (5) |
윤현덕 |
2005-04 |
5786 |
6 |
2005-04
5786
1 윤현덕
|
44275 |
scsi card 중에 커넥터 수리를 할 수 있을까요? (2) |
한상천 |
2005-06 |
5786 |
13 |
2005-06
5786
1 한상천
|
44274 |
MPX2보드에 .......증상이 여러가지 |
조항주 |
2005-06 |
5787 |
6 |
2005-06
5787
1 조항주
|
44273 |
가장 저렴한 amd 중고 듀얼보드 하나 선택해 주시겠습니까? (4) |
최승현 |
2005-05 |
5787 |
10 |
2005-05
5787
1 최승현
|
44272 |
100MB 네트워크 시스템에 10Mb 연결속도 (9) |
방혁준 |
2006-11 |
5787 |
29 |
2006-11
5787
1 방혁준
|
44271 |
솔라리스 sendmail에 대해서 잘 알고계시는분 있나요? (4) |
아세닉 |
2015-08 |
5787 |
0 |
2015-08
5787
1 아세닉
|
44270 |
XP에서 멀티 모니터 사용하려면 (12) |
박문형 |
2011-09 |
5787 |
0 |
2011-09
5787
1 박문형
|
44269 |
이번에 텔레비젼을 사야는데 제품선정이? (5) |
song05 |
2009-03 |
5787 |
0 |
2009-03
5787
1 song05
|
44268 |
이 하드가 이상이 있는것일까요 아닐까요? (3) |
6툴 |
2011-09 |
5787 |
0 |
2011-09
5787
1 6툴
|
44267 |
[네트워크] S-Ring 방식 에 대해서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
우앙뿌앙 |
2012-10 |
5787 |
0 |
2012-10
5787
1 우앙뿌앙
|
44266 |
컴팩 구형하드 스펙은 어디서 찾나요. (3) |
최경민 |
2005-06 |
5787 |
37 |
2005-06
5787
1 최경민
|
44265 |
파워 추천부탁드립니다. (25) |
슬루프 |
2016-03 |
5787 |
0 |
2016-03
5787
1 슬루프
|
44264 |
듀얼포트 기가비트 랜카드...pci 에서 잘 돌아갈까요? (6) |
s김종화z |
2014-02 |
5787 |
0 |
2014-02
5787
1 s김종화z
|
44263 |
g 6800 ultra 쿼드로 개조 해 보신분... (2) |
김진용 |
2008-05 |
5787 |
21 |
2008-05
5787
1 김진용
|
44262 |
고스트나 트루이미지 사용하고 계신분 질문드립니다. (11) |
이문흠 |
2006-04 |
5787 |
3 |
2006-04
5787
1 이문흠
|
44261 |
레이드 카드의 부팅 우선순위 (4) |
최창혁 |
2006-01 |
5787 |
4 |
2006-01
5787
1 최창혁
|
44260 |
서버호스팅 대기업 제품의 장점? (3) |
김한주 |
2007-08 |
5787 |
21 |
2007-08
5787
1 김한주
|
44259 |
HP 플로터를 지지하는 지지대 나사(별모양) 를 구할수 없을까요? (2) |
정은준1 |
2009-02 |
5788 |
0 |
2009-02
5788
1 정은준1
|
44258 |
싱글시스템 구축관련 질문입니다. (4) |
장병두 |
2005-10 |
5788 |
14 |
2005-10
5788
1 장병두
|
link fail은 리부팅하거나 이럴경우 카운트 되는거니 많치 않으면 무시하셔도 됩니다. 단 많이 나거나 다른 error와 같이 표시된경우 봐도 되고요
brocade 16Gbps switch는 sfp 버그가 있기 때문에 유의가 필요합니다. sfp 시리얼에 세번가 f는 피니셔꺼라 버그로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tx광량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리고 disc c3도 많은 경우 장애가 발생한 경우도 있습니다. loss sig는 그다지
Disc c3: 장치가 FLOGIing없이 프레임을 보내거나 대상이 잘못된 프레임을 보낼 때 스위치에서 클래스 3 오류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이 오류는 삭제가 발생했다고보고하는 것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프레임을 버릴 수 있습니다. 시간 초과, 대상에 도달 할 수 없음, 영역 삭제 또는 기타 폐기 이유.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초과되어 버퍼의 프레임이 E_D_TOV보다 깁니다. 디스크 / c3는 문제를 일으키는 프레임을 항상 버리는 포트가 아니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는 데 쉽지 않습니다
.
Link-fail: 포트가 시간 초과 기간 (R_A_TOV)보다 긴 시간 동안 LR 수신 상태로 유지되면 링크 재설정 프로토콜 시간 초과가 감지되어 링크 장애 조건이 발생합니다 (NOS 전송 상태로 들어감). 또한 링크 실패는 R_ATOV 값보다 오래 지속되는 신호 손실 또는 동기화 손실을 나타냅니다.
오프라인 상태가 아닌 동안 감지되었습니다
전 16기가면 300이하, 8G는 200이하면 장애가 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porterrshow를 캡쳐후 한달후 어느정도 올라갔는지를 확인해보세요...disc c3와 link fail도 늘렸다면 문제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