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Gbps 네트워크를 구성하려고 합니다.

   조회 4170   추천 1    

10Gbs 전송 속도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케이블 수를 좀 줄여보려는 목적이 강합니다.

애초에 아파트가 낡아서 10Gbps 못받습니다. (심지어 단자함도 없습니다ㅠ)

기존 네트워크 구조는 이런식입니다. KT 반기가를 받아서 PFSense 라우터로 보내고, 거기서 1Gbps*2 를 본딩해서 거실에 있는 8 포트짜리 스위치로 보낸 다음 해당 스위치에서 집 전체로 뿌립니다.

그런데 문제가 pfsense 라우터가 구석에 있다 보니 거실-서버룸까지 1gbps cat6 케이블이 3개 갑니다. (정확하게는 5개 가는데 이 중 2개는 왜 놔둔건지 기억이 안납니다.)

그렇다보니 미관상 별로 좋지 않고 관리에도 문제가 있어 아래와 같이 바꾸고자 합니다.


매니지드 스위치에서 VLAN 을 나눠서 10gbps 케이블 하나로 다 전송하려는 계획입니다. 이렇게 하면 1gbps 케이블 5개를 10gbps 케이블 하나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여기서 질문이 2가지 있습니다.


1. 저 구성이 실제로 가능한가요?
매니지드 스위치에서 VLAN 을 나누면 이론상 될거라고 생각하는데 실제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2. 10Gbps 는 규격이 다양해 아무거나 꽂는다고 되는 것이 아닌 걸로 알고 있는데, 랜카드-케이블-스위치 전부 호환성을 맞춰야 하나요?
가능한 현재 장터에 올라와 있는 것들로 저렴하게 맞추고 싶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1-06
제 생각에는 1G 3가닥의 케이블을 1G 1가닥 10G 1가닥으로 바꾸는 것이 그나마 재일 편해 보입니다..

다시 말해 1G 본딩 2가닥 이 10G 1가닥으로 바뀌는 것이죠..

허브는 10G 2~4포트 1G 24포트 내외로 된 제품이면 될 듯합니다..

1G든 10G든 간에 모든 경로의 장비 호환성은 맞아야 재대로 돌아갑니다..

10G의 기본은 광케이블입니다..

그런데 광케이블 포설 하는게 더 힘들어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10G도 UTP 방식이 있으나 허브나 랜카드가 열이 마니 나고 광에 비해서 퍼포먼스가 떨어집니다..

사용하는데 문제 없다면 그냥 있던 것 (1G 3가닥) 사용하는게 더 낫다라고 생각됩니다..
     
포설... 이라고 할 것도 없는게 케이블을 벽 따라서 본드로 붙여 놓은 것입니다. 이번에 리모델링 하면서 죄다 뜯어버렸는데 UTP 케이블이 손상이 되서 이걸 다시 사서 붙일 생각하니 답답해져서 광케이블 1개만 연결하면 어떨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RIGIDBODY 2021-06
pFsense와 10G 스위치간의 연결 및 하단 다운링크는 이상없어보입니다. 그런데 VLAN 설정은 왜 하시려는지 궁금합니다. 브로드캐스팅 리전을 나누시려는 목적이신지, 보안상 상호 통신을 라우터단에서 제한하시려는 것인지 말이죠.
     
PFSense 가 라우터 역할을 해서 NAT 처리를 해주니 KT 라우터(외부망) - PFSense - 스위치(내부망) 형태인데
VLAN 을 나눠서 KT 라우터 - VLAN 100번(외부망) - PFSense - VLAN 200번(내부망) 으로 구성할 생각입니다.
dateno1 2021-06
1. 가능합니다

VLan 쓰면 네트워크 분리가 되니까요

심지어는 1개의 포트로 PFSense 돌리는분도 있습니다

2. 광은 좀 까다로울 수 있고, UTP는 괜찮을껍니다

다만 비싸요 (발열 대책은 알아서 해주세요)

참고로 지금 수준의 성능으로 괜찮다면 1가닥으로 줄인후 10기가보다 횔씬 저렴한 2.5기가란 선택지도 있습니다

ESXi에 RTL8156@USB3 (발열 주의!) - 2.5기가 5포트 스위치-기존 스위치및 장비 (컴은 PCIe에 RTL8125B@PCIe를 다는걸 추천합니다)

혹시 아직도 6.7을 쓰신다면 8156이 아닌 8125 (B 아님!) 가능합니다

이렇게 하면 2.5기가를 달 컴 1대당 NIC 3만정도 + 스위치 10만원대 후반에 가능합니다


QnA
제목Page 3940/5706
2015-12   1666194   백메가
2014-05   5131416   정은준1
2019-01   4081   Won낙연
2015-04   4081   도라에멍
2017-05   4081   메론
2017-01   4081   김영기
2017-05   4080   늘파란
2017-12   4080   행복하세
2020-11   4080   장동건2014
2020-10   4080   GPGPU
2015-05   4080   건전지
2014-04   4080   파리대왕
2016-07   4080   Landa
2017-04   4080   행복하세
2015-11   4080   슬루프
2016-03   4080   전설속의미…
2015-11   4080   제이든
2020-08   4080   댕댕이
2016-07   4080   박성만
2018-04   4080   삐돌이슬픔이
2016-04   4080   김제연
2015-04   4080   미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