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 허브에 있는 Uplink 포트 에 대해 몇가지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narnarhi   
   조회 15851   추천 0    

 우선 미리 답변에 감사하다는 말씀 전하겠습니다. 현재 허브 스위치를 3개정도 이어서 연결을 할 계획 중인데 Uplink포트와 크로스 케이블과 다이렉트 케이블에 대해서 몇가지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1) 현재 구매 계획중인 스위치 허브가 "리버네트워크 NX-POE1008G"라는 제품인데 구성은 일반적인 포트 8개 + Uplink포트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전에 Uplink포트를 이용하면 그 포트를 이용한 수만큼 다른 포트가 비활성화 된다는 말을 들은적 있습니다. 현재 스위치간의 연결이 꼭 필요하고 만약 쓸수있다면 모든 포트(8포트+2포트)를 써야하는 상황인데 포트수가 더많은 다른 제품으로 다시 생각해보아야 할까요?

(2) "라우터 - 스위치 허브(또는 타기기)" 간의 필요케이블은 다이렉트 케이블인것도 알겠고 "허브 - 허브"간의 케이블 연결은 크로스 케이블을 연결해야 되는 것까지는 알겠습니다. 그럼 위 상품("리버네트워크 NX-POE1008G")을 서로의 Uplink포트에 줄줄이로 연결시에도 꼭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나요?

(3) "스위치 허브 - 스위치 허브 - 스위치 허브" 연결이 과연 좋은 선택인건가요? "스위치 허브 - 허브 -허브" 이런식으로 연결 해야지 좀더 비용절감히며 안정적일까요? 사실 비용적인 측면도 무시 못하지만 회사가 서비스업을 하는 입장에서 고객님들과의 통화가 절대로 끊기거나 하는 상황이 없어야 되기에 최대한 안정적인 방식으로 진행 하고 싶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마왕 2021-06
1.업링크 포트가 광모듈식인경우 utp 포트와 공유하는 경우에는 그렇게 사용하고 공유하지 않는 독립식도 많습니다.매뉴얼을 참고 하거나 스위치 표면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2.요즘은 케이블 자동 체크 기능의 스위치가 많아서 크로스던 다이렉트건 그냥 연결해도 대부분 잘 동작합니다.

3.요즘 허브는 없어요...안 나와요 그냥 스위치 허브 연결입니다.일부러 다 썩은 허브를 찾아 사용한다면 몰라도 말이지요.
박문형 2021-06
1. 진짜 허브라고 불리던 제품이 나올때는 10/100M 제품이 나오던 거의 25년전 이야기 입니다..
    지금의 제품들은 모두 스위치 허브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용 업링크포트 있는 제품도 많이 사라진 편입니다..

    L2 스위치는 확장이 안되는 스텐드 얼론 제품과 확장이 되는 스테커블 제품이 있고 업링크 포트 이야기가 나오려면 보통 스테커블 제품을 이야기합니다..

2. 기가비트 시대에 들어서면서 크로스 케이블 / 다이랙트 케이블 자동인식 기능이 디폴트가 되어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할 일이 거의 없어졌습니다..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은 일종의 엔지니어의 고집 혹은 취향 정도로 보셔도 무방합니다.

3. 무슨 서비스업을 하는데 8포트 허브를 사용하시나요?? 그리고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그런 제품을 ??
    절대적으로 라는 말이 들어갈 정도의 제품을 생각하시면 돈 아끼지 마시고 몇백 들여서 시스코 기업용 제품을 생각하세요..
  (본래는 전원 이중화 / UPS / 서버실 구축 같은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시스코 기업용 제품은 취급하는 곳에서만 취급하고 사용하게 되면 기능확장이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꾸준히 돈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스위칭허브도 퍼포먼스가 있는데요.. 보통은 포트가 많은 제품이 퍼포먼스가 좋습니다..
    L2 스위치 말씀 하시는 것이죠??

  서버랙에 넣고 사용할 기업용 제품이라면 최소 24포트 제품 정도가 표준이다라고 생각합니다..

  L2 스위칭허브에서 유명한 제품은 시스코 , HPE /아루바  정도가 있고 그 밑단계로 넷기어가 있습니다..

4. 혹시 IDC혹은 호스팅서비스를 하는 업체를 아시면 거기서는 백본스위치와 랙용 스위치를 어느 회사 제품을 사용하는지 알아보세요..
 
    그리고 국내에서는 트래픽이 심한 곳은 게임방입니다.. 50~100대급 게임방에서 주로 사용되는 스위치 허브가 어느회사 제품인지 알아보세요..
     
dateno1 2021-06
시스코제 24포트도 몇백까진 안 해요;

그 예산이면 관리 기능 있는 L2를 장비 이중화정도하면 들어갈 수치라고 봅니다 (단순히 로컬 네트워크 구성하는데 L2는 사치)

다만 듣보잡 제품은 저도 절대 비추입니다 (쓰레기 타임등)
dateno1 2021-06
몇년간 크로스 케이블 거의 써본적이 없네요

애초에 그런 장치 타입을 고민하기전에 대역폭 문제부터 고민해보세요

업링크의 대역폭이 더 크지 않은한 저런식으로 물리면 젤 좌측 <->젤 우측의 스위치쯤 되면 고확율로 대역폭 문제에 발목 잡힙니다
정의석 2021-06
1. 요즘에는 uplink포트의 개념이 많이 없어졌습니다. 다만 아직도 굳이 구분을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
 1) 10/100스위치인데 포트 1~2개만 1000이거나. 10/100/1000스위치인데 포트 1~2개만 10G인경우
 2) 매니지드스위치는 아니지만, 간이 VLAN 구성을 위해 업링크를 둔 경우
 3) 위 제품처럼 그냥(?) 구분 해 둔 경우. (위 경우에는 POE가 있는것과 없는것으로 구분한듯 합니다. 위 제품은 스펙을 찾아보니 10port를 다 쓸 수 있는거 같습니다.)

2. 1G의 기본규격에 AUTO-MDIX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1G이상인 경우에는 크로스케이블/다이렉트케이블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해도 됩니다. 그래서 위 제품도 크로스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다이렉트 케이블만 사용해도 됩니다.

3. 스위치-스위치-스위치.... 보다는
          ┌ 스위치
스위치 ┼ 스위치         
          └ 스위치
 형대로 연결하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ZSNET5 2021-06
1. 아니오. 그런건 없습니다.
  대부분 업링크 포트의 공유는 해당 포트가 지빅(광링크)을 끼울 수 있도록 된 경우에 그렇습니다.
  말씀하시는 장비는 실제로 10포트 짜리 스위치인데.... PoE 8포트에 일반 2포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아니오. 크로스케이블로 네트웍 장비 연결은 구세대 이야기 입니다.
    크로스케이블 안찍어 본지 15년 쯤 된 거 같습니다.

3. 아니오. 데이지체인은 추천하지 않는 방식이며, HUB(L1)는 생산되지 않은지 20년은 된 거 같습니다.
  정의석 님 말씀대로의 연결이 좋습니다.
  공유기를 사용하시는 환경이라면... 공유기를 좋은 것으로 넣고 공유기의 각 포트에 스위치를 연결하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저 제품 자체는 괜찮은 물건입니다만, 굳이 스위치 3대를 데이지체인으로 연결하시려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소규모 연결인데 24포트 1대로 가는게 더 합리적이죠.
설치 예정인 사무실? 건물? 의 구성을 그림으로 올려주시면 답을 드리기가 더 수월합니다.
narnarhi 2021-07
다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워낙에 빌딩이 노후화 되있고 저희들이 공사할 방법이나 기술쪽으로 할수있는 사람이 아예 없어서 케이블 찍는것도 못해 케이블을 따로 사야 되는 실정이라... 뭐 결국에는 스위치끼리 연결을 했습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도저히 랜선관리나 랜선이 겹쳐지는 부분의 관리도 아예 못할것같더라구요. 내부를 뜯어 낼수도 없어서 그냥 생각했던 방식대로 쓰기로하였고 이전 부터 궁금하던건데 IP이랑 PC네트워크랑 같은 네트워크 공간을 공유하면 원래 그렇게 잡음이 생기나요?


QnA
제목Page 750/5730
2014-05   5265365   정은준1
2015-12   1790349   백메가
2023-09   2924   정무현
2019-06   30254   어훕
2023-09   1468   종합만물상
2014-12   4451   jiminbape
2016-03   4349   J2Wn
2017-02   4243   나파이강승훈
2019-06   7172   혼자가는길
2010-08   13064   미수맨
2014-12   6590   장동건2014
2018-04   4045   Dedge
2010-08   8362   1김In1
2014-12   4803   햇살한스푼
2017-02   6106   김현우1
2020-09   4375   전진
2010-08   8604   박문형
2010-09   15924   방o효o문
2010-09   8231   알파맨
2010-09   8676   박문형
2013-08   16417   뮤노
2014-12   6288   2cpum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