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31412 |
0 |
2014-05
513141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66192 |
25 |
2015-12
1666192
1 백메가
|
50869 |
hp microserver gen8 및 poe cctv 전력소모? (3) |
김승현1 |
2016-04 |
5480 |
0 |
2016-04
5480
1 김승현1
|
50868 |
FTP서버 에러 (1) |
서수봉 |
2007-08 |
5480 |
48 |
2007-08
5480
1 서수봉
|
50867 |
ups 장만해볼려는데요.. (2) |
백승철 |
2008-01 |
5480 |
9 |
2008-01
5480
1 백승철
|
50866 |
인텔 서버샤시 5400과 인텔 제온서버 보드(구형) FRONT PALEL CONNECTOR 호한질문 입… (2) |
김영수 |
2006-09 |
5480 |
12 |
2006-09
5480
1 김영수
|
50865 |
TYAN 보드 모델넘버중 S2882UG3NR-D-RS 에 대한 의문.. (2) |
오강석 |
2006-08 |
5480 |
19 |
2006-08
5480
1 오강석
|
50864 |
옥션발 SAS 카드에서 SAS HDD 연결 케이블. (4) |
김은식 |
2007-12 |
5480 |
10 |
2007-12
5480
1 김은식
|
50863 |
. 체감상 느끼는 정도는 어느정도인가요? (8) |
박종대 |
2005-06 |
5480 |
6 |
2005-06
5480
1 박종대
|
50862 |
Promise FasTrk2000 TX2000 카드 사용(질문 수정) (6) |
김경락 |
2006-05 |
5480 |
20 |
2006-05
5480
1 김경락
|
50861 |
맥스터 a/s 조회하는사이트 있나요? |
김혜진 |
2006-06 |
5480 |
28 |
2006-06
5480
1 김혜진
|
50860 |
MAXTOR Atlas 15K 하드중에서 73G 짜리는 없나요? (6) |
김정달 |
2006-06 |
5480 |
21 |
2006-06
5480
1 김정달
|
50859 |
노트북용 ExpressCard 슬롯용 SCSI 카드가 있나요. (2) |
김준성 |
2006-06 |
5480 |
11 |
2006-06
5480
1 김준성
|
50858 |
CPU 태워먹은 것 같습니다. 크... 살릴 수 있을까요? (4) |
이관호 |
2006-07 |
5480 |
12 |
2006-07
5480
1 이관호
|
50857 |
프리미디어에 사용할 그래픽카드 추천 (3) |
이선규 |
2013-04 |
5481 |
0 |
2013-04
5481
1 이선규
|
50856 |
[질문] 효율 좋은 파워 추천해주세요. (7) |
윤영배 |
2006-02 |
5481 |
22 |
2006-02
5481
1 윤영배
|
50855 |
보드 led및 파워 핀 배열이 이해가 안가서요.. (5) |
이희태 |
2008-03 |
5481 |
6 |
2008-03
5481
1 이희태
|
50854 |
웹서버의 미러링에 관해서 (3) |
방효문 |
2008-05 |
5481 |
15 |
2008-05
5481
1 방효문
|
50853 |
탯줄도장(제대도장) 추천 부탁드립니다. |
박동섭 |
2006-12 |
5481 |
24 |
2006-12
5481
1 박동섭
|
50852 |
mpg를 압축할수 있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6) |
우승엽 |
2008-03 |
5481 |
16 |
2008-03
5481
1 우승엽
|
50851 |
전기/전자 DIY 커뮤니티 추천 (1) |
씨형 |
2014-06 |
5481 |
0 |
2014-06
5481
1 씨형
|
50850 |
저전력 NAS 를 제작 중 Raid Card 선택 문의 드립니다. (5) |
똑딱악어 |
2014-11 |
5481 |
0 |
2014-11
5481
1 똑딱악어
|
초기 불량율 2%에 속하지 않는 뽑기운을 갖더라도
헬게이트의 3년이내에 불량 발생 경험이 가격이 좀 더 낮더라도 구입하지 않는 이유 입니다.
어떤 사이트에서 가격을 비교하셨는지 모르겠지만
New 기준으로 도시바 , HGST 가 Seagate 보다 높은 가격인데
님이 가격차이를 착각하시거나 Seagate 가 도시바 보다 높게 나온 곳을 본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합니다.
HGST < Toshiba << Seagate Drive Failure Rates 를 고려한다면 헬게이트는 비추 합니다.
초기 불량시 새것으로 교환을 해주지만 ... 거의 한달 후에야 교품을 받고 다시 장착하는 수고를 감수할 필요가 있을까요?
교품을 받은 것이 다시 불량이면 .. 화가 나면서 업체에 교품 요청도 미안한 마음이 동시에 들죠.
초기 불량을 어찌 어찌 운좋게게 피하더러라도
헬게이트 디스크는 불량 섹터 alert를 화인하기 위해서 늘 SMART를 확인하는 습관을 갖게 하는 고마운 회사 제품 입니다.
애초에 왜 하드 추천하는데 이 데이터를 들고 나오는 사람들이 많은지부터가 이해가 안 됩니다.
백블레이즈는 데이타 공개 초창기부터 자기네 운영환경은 PC와는 다르니까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된다고 전제했고, RV센서와 발열이 적은 하드가 절대적으로 유리하고 그래서 HGST의 오류율이 적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 이 회사는 동일 모델 동일 로트를 대량 구매해서 무조건 용량 대비 가격을 싸게 하는 정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정 로트에서 에러율이 높다면 전체 에러율이 폭증 해버립니다.
더우기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하드가 돌아간다면 백업용우로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에러율은 계속 올라가고요.
그런 경향을 보라는 데이터이지 단순히 숫자가지고 어느 하드가 더 좋냐 따지는게 아닙니다.
3TB의 문제 모델 ST3000DM001-1CH166 => 개선품(정상) ST3000DM001-1ER166
불량률이 0.0001%라고 해도 내가 하나 산 것이 고장나면 고장률이 100%입니다. 하지만 불량률이 낮은 것을 살수록 불량 당첨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겠지요.
백블레이즈 데이터를 보는 거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드라이브를 만개, 2만개씩 테스트 해볼만한 곳이 얼마나 있겠습니까??
그리고 NAS 환경이면 서버 환경과 큰 차이 없습니다. 많지는 않지만 저도 4TB, 8TB, 10TB 100개 넘개 사용하고 있고, 비슷한 결과값을 보이고 있습니다.
논문에서도 볼 수 있듯 하드디스크 온도와 수명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드라이브 온도가 45도가 넘는 환경에서 3년 이상의 중장기 사용시 불량률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2년차까지는 온도가 30도 미만인 경우에 불량률이 제일 높았습니다.
과학은 통계와 데이터입니다. Backblaze 등의 데이터가 실제 환경과 다르다면 "사실"로써 말씀하시면 됩니다. 불량률이 낮을 수록 좋은 제품이며, 내가 구매했을때 불량이 적게 발생할 확률이지 "보장"이 아닙니다. 그 어떤 연구 또한 마찬가지이구요.
저희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스토리지 회사들이 당연히 거진 같은 LOT를 들여옵니다. 추가주문이 아닌이상 당연한 것이죠. 트레이로 가져오는 CPU와 RAM 또한 마찬가지이고, 홍수로 인한 태국 공장 침수와 같은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LOT에 따라 불량률은 유의미할 것으로 생각하진 않습니다.
과거 시게이트나 WD의 특정 모델 로트에서 불량률이 높았던 것을 백블레이즈에서도 태국 홍수 등으로 인한 문제라고 얘기를 했음에도
그걸 무시하고 해당 회사 전체의 문제로 계속 얘기가 되고 있습니다.
또 하드 수명과 온도의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진동의 경우에는 유의미하다고 보는게 일반적이고,
백블레이즈 역시 자사 운용 환경이 4U 케이스에 하드 40개 이상을 박고 쓰다보니까 RV 센서 유무가 불량율에 크게 작용하며
그게 WD나 시게이트 하드가 HGST 하드보다 전반적으로 불량률이 높은 원인으로 추측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백블레이즈의 데이터를 참조하는걸 탓하는게 아니라 잘못 참조하고 있는걸 문제시 하는 겁니다.
위의 댓글에도 적었지만 백블레이즈에서는 지난 분기에 시게이트 6TB, 도시바 4TB, 도시바와 WD의 16TB가 오류가 없었고,
그 중 시게이트 6TB와 도시바 4TB는 평균 가동 6년이 넘었는데도 잘 돌아가고 있다고 칭찬하고 있는데,
그걸 가지고 와서 시게이트 하드는 비추라는 결론을 내리는 건 이상한거죠.
1. 태국 홍수 피해는 특정 LOT에만 집중된게 아니라 사실상 전 제품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Backblaze 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까지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2. 시게이트 하드가 WD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량률이 높은것은 맞습니다. 100개 사용했을 때 3년 후에 1개 죽느냐 2개 죽느냐의 차이지만요.
3. 솔직하게 얘기해서 시게이트 만큼 불량 터뜨린 기업이 없죠.
4. 저는 3U 12bay 랙을 자주 사용합니다만 4U 40bay 랙에서 진동때문에 자주 죽어나갈 정도라면 일반 소비자는 더 빨리 죽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요즘 케이스들 두께도 굉장히 얇아졌고, 철에서 알루미늄으로 바뀐만큼 진동을 더 못잡습니다. 10~20만원이 넘어가는 케이스들은 1T 이상의 알루미늄을 사용합니다만 일반인들이 쓰기에는 상당히 아쉽죠. 시놀로지와 같은 SMB급, 가정용 NAS 또한 진동이 생각보다 심합니다.
소비자가 통계적으로 불량률이 적은 하드를 선택하는건 당연하다고 봅니다. 시게이트를 많이 사용하는 입장에서 가격적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더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Ultrastar 입니다..
Ultrastar Enterprise ... 가장 좋은 모델일 겁니다. (IBM 기술이 녹아있는... )
같은 SMR을 비교하는것도 아니고 SMR과 CMR 비교라면 무조건 CMR로 가는게 맞습니다.
데스게이트는 분명 잘 죽는 쓰레기 모델들이 있기는 있습니다. 데스게이트 오명을 남긴 1TB, 3TB (ST3000DM001-1CH166).
하지만 누구나 아는 그 모델 아니라면 다른 회사와 비슷합니다.
개인/회사 스토리지에서 시게이트는 4TB, 10TB 위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만족스럽고 내구성도 HGST 보다는 낫다고 봅니다.
그래서 안씁니다.
시게이트 cmr쓰는게 나을겁니다
쓰다 죽는거 이전에 성능적인 부분이 너무 크네요
그냥 약값 더 들어갑니다.
SMR은 적어도 무조건 배제하고 보는게 맞다고 봅니다.
다만 굳이 시게이트 CMR을 고를 필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