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1483 |
25 |
2015-12
1781483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6537 |
0 |
2014-05
5256537
1 정은준1
|
99952 |
레이드 빌딩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3) |
천외천oo노… |
2014-10 |
6750 |
0 |
2014-10
6750
1 천외천oo노…
|
99951 |
삼성 SSD 정품/병행수입 관련 질문입니다 (12) |
MinGi |
2020-07 |
5976 |
0 |
2020-07
5976
1 MinGi
|
99950 |
마더보드 사양관련 질문드려요 (3) |
김대평 |
2021-11 |
2053 |
0 |
2021-11
2053
1 김대평
|
99949 |
레노버 노트북 어떤가요? (15) |
제스퍼즈 |
2016-01 |
14531 |
0 |
2016-01
14531
1 제스퍼즈
|
99948 |
kt 인터넷 전화 팩스 사용 가능할까요? (3) |
inquisitive |
2021-11 |
6710 |
0 |
2021-11
6710
1 inquisitive
|
99947 |
종류가 다른 그래픽카드 2개 이상 하나의 메인보드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3) |
twopaik |
2020-07 |
3888 |
0 |
2020-07
3888
1 twopaik
|
99946 |
중국산 x99 메인보드 바이오스 질문요 (1) |
얍뿅 |
2023-07 |
2514 |
0 |
2023-07
2514
1 얍뿅
|
99945 |
BNC PCI 카드라는것이 이 카드인가요??? (5) |
김동현58768 |
2014-10 |
4800 |
0 |
2014-10
4800
1 김동현58768
|
99944 |
PCI 규격 및 서버 장착에 관한 궁금증 (6) |
프랑 |
2021-12 |
4504 |
0 |
2021-12
4504
1 프랑
|
99943 |
슈마보드 x9dri-f 부팅 먹통 문제(b2 멈춤) (6) |
황원석1 |
2017-01 |
6023 |
0 |
2017-01
6023
1 황원석1
|
99942 |
스위치 이중화 관련 문의드립니다 (4) |
L2스위치 |
2021-12 |
3070 |
0 |
2021-12
3070
1 L2스위치
|
99941 |
보드 제조사가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세대의 cpu를 지원해줄때, 구 세대… (10) |
제스퍼즈 |
2017-01 |
6547 |
0 |
2017-01
6547
1 제스퍼즈
|
99940 |
엑셀 잘 아시는 분 (4) |
한남규 |
2010-03 |
7364 |
0 |
2010-03
7364
1 한남규
|
99939 |
VoIP 게이트웨이(라우터?) 라는 놈은 대체 무슨 원리일까요? (9) |
dragoune |
2014-10 |
7167 |
0 |
2014-10
7167
1 dragoune
|
99938 |
hp ml350g6 윈서버 2012r2 설치 (11) |
프랑 |
2020-07 |
4814 |
0 |
2020-07
4814
1 프랑
|
99937 |
삼성 매직스테이션 DM-X40/h303 모델입니다. (4) |
자연인 |
2017-01 |
5469 |
0 |
2017-01
5469
1 자연인
|
99936 |
튜시피유에서는 왜 유튜가 항상 웹 유튜브로 나오는겁니까??? (4) |
행복하세 |
2020-07 |
1953 |
0 |
2020-07
1953
1 행복하세
|
99935 |
통신사에서 특정 MAC 차단이 가능한가요??? (4) |
DOSS |
2021-12 |
2181 |
0 |
2021-12
2181
1 DOSS
|
99934 |
혹시 Supermicro에서 이메일로 기술지원 받아보신 분 계신가요? (3) |
박준용 |
2010-04 |
6948 |
0 |
2010-04
6948
1 박준용
|
99933 |
[될수도있음] 레노보 공홈구매 품이라도 as절대 안되나요? (4) |
QS왕통키손… |
2018-03 |
3687 |
0 |
2018-03
3687
1 QS왕통키손…
|
유지보수를 업으로 하는 사람으로써 말씀드리자면...
현재 그 장비를 건들여서도 건들일수도 없으신 상태인듯한데
나중에 다른사람이 만지려고 하면 한숨만 나오는 상황이 종종 벌어집니다.
동일 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데이터는 서버에 있을텐데 타회사로부터 받아온 서버에 저장된 정보는 전혀 다를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이 안되리라 생각되는데요.
error 명은 unknown database Alias : DBSVR2. 입니다
그 프로그램이 db연결이 안되는거 아닐까요
db connection 파일에 db서버 ip가 박혀있다던지 등 db연결부분을 확인해보심이..
아마 그 서버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인거 같은데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바로 DB서버에 다이렉트로 붙는?
그래서 설정만 어떻게 변경하면 이어서 사용 가능 할거 같아서 ... 해봤는데... 저 error가 발생하고 접속은 안되고
서버에 따로 IP를 넣어 줘야 하는게 있는가 했는데 그쪽으론 지식이 없고...
네트워크 어댑터에 IPv4 인가 에 기존에 저희가 쓰던 IP와 DNS를 넣어 봤는데 동일한 error가 발생합니다.
차라리 프로그램에서 IP설정 해주는게 있으면 좋은데 그런건 없는거 같구요
서버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 재 설치 해봤는데도 안되서 DHCP인가? 그 글을 보고 역할 주면 될까 싶어 시도 하려다가
기존에 설치 된 DHCP있는가 검색 해봤는데 그것도 없더라구요...DHCP에 범위 넣고 IP설정 해주면 될까요?
네 안됩니다. 보통 서버에 자신의 ip를 설정하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서버에 1개의 프로그램만 도는게 아니라 주변 다른 프로그램도 같이 돌겁니다. 예를 들어 db 라든지..)
>>ip도 우리가 쓰던걸 넣어 줘 봤고...원래 ip로도 해봤고...ip 미 지정도 해봤으나, 서버에서 조차 프로그램이 실행이 안됩니다.
그런 ip 관련 설정할 부분이 한두 군데가 아니라 전체적으로 다 맞춰줘야 잘하면 동작합니다.
DBSVR2라는 이름의 데이터베이스가 붙어있는지 살펴보세요
그리고 해당 프로그램에서도 환경설정부분에 모회사떄 사용하던 IP 어드레스, DB포트 로그인ID, 패스워드가 있을겁니다. 두개가 모두 합이 맞아야합니다
즉, 운용하기위해서 가져온 서버에서 121.111.111.111로 지정했다면, 프로그램상에서도 121.111.111.111로 아이피를 변경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어짜피 포트야 아이피만 바뀐거라 동일한테니 MSSQL 기본포트라면 1433이거나 그런식으로 동일하게 써주시면되겠습니다
일단 서버는 IBM이며 운영체제는 2008 r2 입니다.
첨엔 비번이 있어서 인터넷을 찾아서 운영체제 받고 설치 usb 만들고 여차 저차 해서 패스워드는 저희것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윈도우가 되서 첨에 프로그램 실행 해보니 저 error 발생으로 실행이 안되었구요
저희가 사용하던 IP를 넣어 주어도 실행이 안되더군요....(서버에서)
저희가 사용하던 IP넣으면 대신 어댑터가 식별중으로 뜹니다.
전부 지우면 인터넷사용중이라고 뜨고요 식별중이라고 떠도 랜선 2개 꼽아서 인지 인터넷은 잘됩니다.
프로그램은 간단하게 설치 & 사용 프로그램 밖에 없구요 중간에 뭐 변경하는 부분이 없습니다.
서버 자체에서 변경해서 식별중을 연결됨으로 바꾸던지 해야 할거 같은 느낌만 있는데....
이게 많이 어렵네요....
기존 pc는 윈도우 부팅이 안되고 ... 어쩌다 부팅되도 몇분있다 꺼져버려서....이건 못살릴거 같고
하드도 기존 sata 하드와 달라서 (이름도 sas라고 오늘 처음 알았네요....) 가지고 있는 도크로는
복사도 안되고....백업도 안되고....복구도 안되고.....우리꺼 CD찾아서 해봐도 ... 마찬가지고...
아랫분 말씀처럼 전산담당을 찾거나 업체를 찾으시는게 이로울거라 생각이되네요 세팅바뀌면 나중에 외주맞기셔도 정신건강에 해롭습니다
무튼 답변 감사 드리고...더 파봐야겠네요....
2. 그 서버는 단독으로 동작하나요? 아니면 DB서버라던가 스토리지가 따로 연결이 되어야 동작하나요?
3. 혹시 로그인을 관리자권한으로 하셨나요? 아니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해도 안되나요?
4. 기존 컴퓨터가 몇분정도 후에 꺼진다고 했는데, 윈도우 정상종료가 아니라 전원이 바로 꺼지는 건가요? (이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은 파워가 노후화 됐거나 CPU쿨러에 먼지가 많이 끼인경우 입니다.)
Ms-SQL 문구는 많이 봤습니다.
2. 단독 작동 여부는 모릅니다. DB서버는 없지만 스토리지는 있었습니다. 외장하드에 데이터베이스 저장해뒀더라구요 근데 저희껀 외장은 아니지만
내장 하드 디스크 달아서 저장 했던거 같습니다.
외장 하드도 연결 되어 있는 상태구요... (이건 제가 별도로 챙겼다가 사용 하려고 하니 혹시나 해서 연결 해둠)
3. 윈도우 로그인은 관리자 입니다. admin 비번 변경해서 admin밖에 접속을 못합니다. 별도 계정이 두개 있긴한데 PW몰라서 접속 안했습니다.
4. 지켜보진 않았지만 다운되거나 (먹통되는거)아예 꺼지거나, 자동 재부팅같습니다.
→ 말씀하신대로 FAN하나는 고장 난 상태고 C-MOS도 기존 일반 PC와 달라서 설정 못했구요...
또 최소 2008년도 PC거나 그 이전으로 추정 되며 SERVER도 2003년 R2 입니다. (CD도 예전 사무실 대정리때 버려질 뻔한거 제가 따로 챙겼습니다)
아무래도 아랫님들 말씀처럼 업체 부르는게 나을 거 같습니다. 부도 나서 변경한거 같은데 ... 모르겠네요...
간단한 글 몇줄로 끝낼 문제가 아닙니다.
답변한다고 해도 또 질문 또 답변 이런식으로 하면
소설한권 가볍게 쓸수 있습니다 ^^
손대다가 잘못되면 다 날리는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새로받아온 서버는 그쪽회사에서 쓰던거구요.
어쨌든 DB연결 정보를 제대로 세팅한다 하더라도 그쪽회사 데이터가 나올거고 또한 사용자 정보도 그쪽회사 사용자 정보만 있을텐데 어떻게 그 서버를 사용한다는건지요?
일단, unknown database Alias 에러로 검색해보니 델파이 EDB 라는거 같은데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뭔지를 알아야겠네요.
dBASE Plus 인 경우 BDE 별칭 작업을 해주어야 하는거 같습니다.
https://www.dbase.com/Knowledgebase/INT/BDEAliases/BDEAliases.htm
→ 제가 a 회사에 2005년도에 입사 했는데 그 때 인원 명부가 다 들어 있더라구요 아무래도 그때 쓰던거 준거 같아요...
→ 그걸 2008년도에 a회사가 부도 나면서 현장 통채로 저희가 인수했고 직원도 고용승계로 넘어 왔습니다.
→ 그때부터 계속 쓰고 있었구요....동일 프로그램이지만 서버 버전은 다릅니다.
2. a회사 1현장은 b회사가 인수하고 2현장은 저희가 인수했었는데 .. (a회사가 서버 두대 다 갖고 있었고) b회사도 결국 부도나서 그걸 가지고 온겁니다.
3. 보내주신 거 들어 가봤는데 ... 일단 제 능력을 벗어나네요 ^^; 죄송합니다. 나이가 먹다보니 이젠 머리 회전이 안되는거 같아요...ㅠ.ㅠ
신경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IP가 아니라 Alias 이름으로 접근하는거 같은데..
컴퓨터 명일수도 있을듯한데요.
시스템 구성이 명확하지 않아 제대로 답변 드리기 어렵네요.
단순 Client 프로그램 - DB서버 인지...
웹브라우저 - Web서버 - DB서버 인지...
제생각에는 DB의 특정 테이블을 Alias(별칭)를 걸어놓고 사용중인것 같습니다.
근데 해당 Alias가 걸어진 DB 테이블이 안올라와서 그런 에러가 뜨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원인으로는...
1. DBMS 자체가 아예 안올라왔다
DBMS가 안올라왔으니 DB 테이블이 안올라 오겠죠.
2. DBMS는 올라왔으나 서버프로그램과 DBMS간 커넥터 문제로 연결이 안됨
보통 서버와 DB간 중간에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있는데 여기에 서버IP나 포트, ID, PW 등을 기재합니다.
서버IP를 같은 서버내에 있으니 localhost 또는 127.0.0.1 식으로 넣는경우도 있고, DNS로 넣는경우도 있고, IP로 넣는 경우도 있습니다.
IP를 바꿔서 안되는 경우는 이 경우 같습니다.
3. DB자체가 서버안에 있는게 아니라 외부에 별도의 서버에 있는데 접속이 안됨
모회사가 부도나서 서버를 받아왔다고 하셨는데 해당 서버 운영에 필요한 모든 서버를 받지 못하셨을수도 있습니다.
해당 서버는 응용서버이고 별도의 DB서버가 있어 해당 서버가 있어야 제대로 운용될수도 있습니다.
일단 생각나는 케이스는 요정도 입니다.
주욱 읽어보았는데 그냥 사람 쓰는게 맞지않나 싶습니다..
첨엔 비번이 있어서 인터넷을 찾아서 운영체제 받고 설치 usb 만들고 여차 저차 해서 패스워드는 저희것으로 변경하였습니다.
--->>> 여기서 기존 비밀번호와 다르게 비밀번호 설정하면서 DB의 SA 패스워드가 틀려져서 그런건 아닐런지요....
2008이 설치 되어 있다면 대략 10년은 넘게 돌아갔다고 봐야 합니다..
이정도 되면 쓰래기 폭탄 상태로 켰다 껐다만 해도 고장이 날 수 있습니다..
만일 데이터 복구 같은 것을 하게 되면 수리비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클 것입니다..
서버나 컴퓨터 모르시면 물건을 보고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전문가를 찾아서 알아보는게 맞습니다..
설사 돈이 들더라도요..
서버 하드웨어는 사진이라도 찍어 올리면 대략적으로 어떤 서버이다 라고 댓글은 올라 옵니다..
단 이 사이트는 가격 문의 같은 것은 금지합니다..
제 생각에는 델파이로 예전에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라면 ODBC로 DB에 접근 했을 수 있을거 같습니다.
윈도우 로그인 패스워드가 바뀐다고해서 ODBC접속 상황이 달라질거 같지는 않지만, 혹시 모르니 ODBC 설정화면에서 해당 Database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 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