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time(가동시간) 해소를 위한 reboot 작업에 대해...

집구석   
   조회 3714   추천 0    

안녕하세요

가끔 uptime(가동시간) 해소를 위한 서버 reboot 작업을 한다는 것을 종종 보는데요(일반 PC도)

uptime 즉 서버 가동시간을 해소하면 좋은게 뭔가 있는걸까요??

재부팅을 하게 되면 뭐가 좋은건지 감이 안와서요..

아시는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온프로 2021-08
뭇엇에 대한 질문인지 잘 모르겠네요..

라우터
스위치
윈도우서버
리눅스서버
DB서버

월1회나 2달에 한번정도씩 정상 리부팅을 해주면 좋습니다.

메모리관리
가비지(스레기처리) 지우기
임시파일 정리등..
라우터와 스위치는 IP 테이블이나 DHCP 정리등 해 주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오래된 서버는 간혹 못 깨어나는 경우가 있으니 이점도 양지 하시고..

질문이 좀더 구체적이고 자세하면 좋겠습니다..
스위치나 공유기. 라우터 이야기 같은데.. 
이정도 정보로는 모르겠습니다.
     
집구석 2021-08
답변 감사합니다

개발자들이 만들어놓은 서비스들이 올라가 있는 리눅스 서버 기준으로 말씀드렸습니다...

네트워크 장비도 재부팅을 하는군요...
네트워크 장비도 ip테이블이나 dhcp관련 데이터가 많이 쌓이면 메모리를 많이 먹게되서 그런건가요??

메모리 관리같은 경우는 메모리 누수 등이나 좀비프로세스 정리 등의 문제로 재부팅함으로써 메모리가 초기화 되고
프로그램한테 반환받지 못한 메모리 자원을 회수하기 위함일까요??

이런 작업을 종종 하길래 왜 하는걸까 궁금해서 질문드렸습니다
dateno1 2021-08
작동에 문제가 없다면 내버려둬도 되요

리소스 부족이나 작동 이상이 보이는넘만 그러면 됩니다

특히 네트워크장비같은건 제대로 된 설계라면 1년쯤 안 껏다켜도 아무일 없습니다

특히 위에 적힌대로 오래된넘은 가끔 리부트만 했는데, 영면에 접어들 수 도 있습니다 (아니더라도 뭔가 서비스같은거 안 올라오기도 합니다)

잘 도는걸 건드는게 아닙니다
     
집구석 2021-08
그렇군요 재부팅을 하면 메모리나 cpu 자원이 해소가 되나보군요... 신기하네요
          
dateno1 2021-08
주로 윈도 서버계열이 그런 부분 좀 심각합니다
박문형 2021-08
메모리 누수라는 말이 있습니다

구글링해보시기 바랍니다..

서버 하드웨어적으로 리부팅하는 것은 절대적인 법칙은 없습니다..

IDC에서 심한것들은 몇 년이상 논스톱으로 돌리기도 합니다..

재부팅을 했던 안했던 간에 5년이상 10여년 정도씩 돌아갔던 서버들은 하드웨어적으로 재부팅을 하거나 완전히 전원 껐다가 키면

서버가 재대로 올라오지 않고 고장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그런 것을 방지하고자 운영자의 경험에 의하여 1년에 한번 정도 완전히 껐다 키거나

스토리지 서버는 3년정도 되면 완전히 껐다 키고 내부 청소 하고 펌웨어 업데이트 풀로 하고 레이드 하드 다 바꿔 버리고

하는 식으로 상황과 여유 자금이 되면 메인터넌스를 합니다..


QnA
제목Page 1344/5706
2014-05   5131789   정은준1
2015-12   1666534   백메가
2020-09   3649   헌터D
2017-04   3649   봉봉이
2015-05   3649   뉴클래식
2018-04   3649   나나나나나
2020-01   3649   캔위드
2017-08   3649   늘파란
2015-07   3649   morus
2020-06   3649   봉래
2019-01   3649   dogbull
2020-03   3649   keros
2014-03   3649   여주이상돈
2017-10   3650   윌라멧
2018-08   3650   일론머스크
2019-02   3650   원상현
2020-07   3650   블루영상
2020-12   3650   니포
2018-04   3650   정의석
2015-09   3650   jabez033
2018-08   3650   시골노인
2015-10   3650   아름다운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