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 인두기 납에 따른 정적 온도는 얼마일까요?

늘파란   
   조회 9880   추천 0    

 하코쨉 인두기를 써서 그런지 440도 정도 되야 기존 기판에 납이 녹습니다..


그런데 보통 400도 넘지 말라고 하시죠...


이게 가변온도 인두기가 나타내는 온도가 정확한것인지...


실제 인두기 팁 부분의 온도는 다른것이 아닌지 궁금 합니다..


952D 열풍기 포함 모델을 쓰는데...


인두팁은 기존것에서 알리 칼인두팁으로 바꾸었

습니다..


요즘기판은 전보다 온도를 높여야 한다고 아는데 납종류에 따른 적정온도는

어떻게 되고...


이거 온도센서로 직접 재보고 자신의 기기의 온도 차이를 알아가야 할까요?

늘파란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늘파란 2021-09
팁을 갈았는데 이게 기존 팁하고 약간의 0.2-0.5미리 정도의 차이가 난다고 해도
실제 온도 차이는 상당히 나는 걸까요?
늘파란 2021-09
요즘 lcr 메타 보고 있는데 비싼 제품이 오히려 측정범위가 더 적더군요...

쩝 뭘 사야 하는지...

정ㅎ학성보단 그냥 고장여부등등이 중요하기에...전에 질문글 남겼는데..
제온프로 2021-09
인두기의 온도 440도가 ==> 메인보드 온도를 100 ==>400도 까지 시간에 따라 올릴 것입니다..
메인보드에 언제가 적당한 온도인지는 하시면서 알아내셔야..
접촉면도 중요하고..
박문형 2021-09
구글링하면 납의 종류에 따라 납땜 적정 온도가 나옵니다..

저는 오리지날 하코 936 ( 907 핸들 50W) 으로 희성 일반납 사용합니다..

보통 350도에 맞추어 두고 사용합니다.. (특별히 온도 보정 같은 것은 안했습니다..)

칼팁 사용중이고 일반적인 거의 모든 작업에 사용 가능했었습니다..

무연납은 사용할 기회가 없어서 아직 해본 것은 없네요..

넓은 면적을 납땜 할때는 와트가 높은 것이 편합니다.. 대신 오래 대고 있으면 타버릴 확률도 높아집니다..
유연납은 350도, 무연납은 380도입니다.
     
늘파란 2021-09
짭 짭에 허환팁이라 그런듯 합니다...
     
미니TM 2021-09
형 혹시나 이전에 하코팁 들어갔던 DC 인두기 만들었던 모델...이 요즘에도 알리에서 파는가요? 워낙 많아서;;

https://front.wemakeprice.com/product/1716726710?utm_source=google_ss&utm_medium=cpc&utm_campaign=r_sa
이전에 이거 쓰고 있긴 했는데 호환 팁도 그렇고 불편해서..

사무실에는 웰러꺼 있긴 한데 이녀석도 상태가 좋지 않네요. 흑
집구석에는 888용 팁만 굴러다니고..
알란 2021-09
하코 fx-888 350정도에 맞춰놓고 거의 변경한적이 없는것 같아요.
파렌하잇 2021-09
혹시 T12 인두팁 호환품을 쓰고 계신다면 실제 온도를 한번 확인해보셔야 할듯 싶습니다
알리에서 인두팁을 구매해서 사용하다보면 설정온도와 실제 온도와의 갭차이가 큰 제품들이 있다보니 가능하다면 온도를 확인해보시는걸 추천드리며 STM32 인두기라면 온도보정이 가능하니 한번 확인해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저는 kester 유연납 0.8을 쓰고있고 칼팁으로 온도 280~300도로 설정하여 사용중입니다 330~350도를 설정하면 빠르게 작업은 가능하지만 패드에 손상을 주는경우가 있고 똥손이라 작업속도가 느리다보니 280도가 딱 맞습니다 SOP타입 IC같은경우에는 유연 크림납으로 300도로 올려서 한번에 밀어내는식으로 작업하구요
     
늘파란 2021-09
역시 팁이 문제였던듯...
테스터기 온도센서로 400도 이상 측정가능랄지...
서범석cpuman 2021-09
하코 세라믹 인두기.
220V-20W/50W(퀵스위치 누르면50W )에  칼팁장착.
이거하나면 메인보드,그래픽카드 온갖것 다됩니다.
콘덴서 뺄때는 50W로 동작시키면 다 빠집니다.
그외에  일반용에는  하코 926온도 조절용 인두기로사용합니다.
진영준 2021-09
인두기 온도야.. 사용하는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게 정상입니다
Pb free 용으로 300도 정도로 맞추고 쓰더라도(잘 안녹갰지만) gnd 작업할 때는 400도이상도 올려쓰시도하고.. 부품 죽지 않는 범위에서 조절해서 써야죠.
고정돤 정답은 없습니다
일반인두기면 작업부위 온도가 주변부로 전달되서 바로안녹아서 그런거아닌가 합니다...새로운 납을 조금녹여추가하면 온도가 조금빨리올라가죠...
the촌놈 2021-09
납 자체가 녹는 온도는 정해져 있죠. 유연이건 무연이건 300도가 채 안됩니다.  하지만 납만 녹는다고 이종금속간 본딩이 이루어지는 게 아니거든요. 납땜의 기본은 깨끗한 표면과 모재의 적절한 온도입니다. 이 두가지가 납땜에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죠. 인두 온도를 높이는 건 모재의 온도를 쉽게 올리기 위한 것이지 납을 녹이기 위한 게 아닙니다.
PCB에 납땜하는데 인두 온도는 400도를 넘을 이유가 없습니다. 400도 조차 PCB에 붙어 있는 부품과 도금에는 꽤 치명적인 온도입니다. 모재의 온도를 측정할 방법이 없으므로 일단 인두를 모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납을 인두가 아닌 모재에 접촉시키면 모재의 온도가 적절할 지 가늠할 수 있죠. 온도가 적절하다면 납이 바로 녹으면서 모재와 결합됩니다. 모재의 온도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두로 납을 녹여버리면 소위 말하는 냉납이 발생됩니다. 모재의 온도가 잘 안올라가는 이유는 바로 동판을 통한 열전도 때문입니다. 그래서 GND와 연결되어 있는 곳에 납땜이 잘 안되죠. 물론 그런 경우도 요령이 있고요.
납땜은 생각보다 연습을 많이 해야 합니다.


QnA
제목Page 702/5731
2015-12   1793670   백메가
2014-05   5268657   정은준1
2010-05   6913   아담수
2013-06   9287   박중석
2022-01   4463   인생의로망
2023-08   1805   Psychophysi…
2020-08   3087   SugarCube
2013-06   6050   회원K
2014-11   7775   dlcjfgjs
2022-01   1922   통신버필
2023-08   2674   미친감자
2014-11   4153   나파이강승훈
2022-01   5693   무쏘뿔처럼
2017-02   5846   마나아
2016-02   6516   정관장홍삼톤
2017-02   4095   2FluF
2020-08   3670   GPGPU
2014-12   3706   빠시온
2010-08   8607   과거지사
2023-09   10375   뚜뚜김대원
2013-07   6020   강영식
2018-04   3716   이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