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769 |
25 |
2015-12
167576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1117 |
0 |
2014-05
5141117
1 정은준1
|
54567 |
팬 날개가 옆면에 긁히네요. (5) |
장동건2014 |
2014-10 |
5344 |
0 |
2014-10
5344
1 장동건2014
|
54566 |
윈도우2003 질문인데요;; 동영상이 검게보이는데 해결방법이 (3) |
홍성진 |
2006-09 |
5344 |
21 |
2006-09
5344
1 홍성진
|
54565 |
서버 보드의 그래픽 카드는 어느 것을 써야 하나요? (9) |
문주현 |
2005-09 |
5344 |
5 |
2005-09
5344
1 문주현
|
54564 |
레이드5 디스크 교체 질문 (8) |
서미 |
2017-02 |
5344 |
0 |
2017-02
5344
1 서미
|
54563 |
무선 헤드폰 추천좀... |
klein |
2012-12 |
5344 |
0 |
2012-12
5344
1 klein
|
54562 |
ZIPPY EMACS R3G-6650P 파워 대용품이 있을까요? (10) |
권오준 |
2012-10 |
5344 |
0 |
2012-10
5344
1 권오준
|
54561 |
Vmware Tool 설치 관련 (4) |
김정식 |
2006-01 |
5344 |
17 |
2006-01
5344
1 김정식
|
54560 |
[re] SAS 카드 질문입니다. (2) |
김용수 |
2007-07 |
5344 |
17 |
2007-07
5344
1 김용수
|
54559 |
CPU업그레이드시에 고려하여야하는 사항 (3) |
김영수 |
2005-11 |
5344 |
2 |
2005-11
5344
1 김영수
|
54558 |
HDD의 파티션과 플래터에 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2) |
조민혁 |
2008-03 |
5344 |
9 |
2008-03
5344
1 조민혁
|
54557 |
투알라틴 cpu를 사용하는 방법과, 그 효율은 어느정도입니까? (4) |
류기중 |
2006-07 |
5344 |
9 |
2006-07
5344
1 류기중
|
54556 |
서버에 PC용 VGA 추천 부탁드립니다. (9) |
복부비만 |
2014-10 |
5344 |
0 |
2014-10
5344
1 복부비만
|
54555 |
Network 퀴즈 서술형-답안지 제출 |
김윤술 |
2014-05 |
5344 |
0 |
2014-05
5344
1 김윤술
|
54554 |
cctv관련 멀티플랙서 |
이충희 |
2007-01 |
5344 |
39 |
2007-01
5344
1 이충희
|
54553 |
VGA 카드 교체후 블루스크린 발생 (2) |
송재훈 |
2007-09 |
5345 |
15 |
2007-09
5345
1 송재훈
|
54552 |
Ubuntu 14.04 ...데스크탑이 날아갔습니다... (4) |
윈도우10 |
2014-07 |
5345 |
0 |
2014-07
5345
1 윈도우10
|
54551 |
제온 쿨러에 대해서... (11) |
신유호 |
2006-08 |
5345 |
24 |
2006-08
5345
1 신유호
|
54550 |
제온CPU해체 방법 및 요령이 궁금합니다. (7) |
박종대 |
2005-12 |
5345 |
17 |
2005-12
5345
1 박종대
|
54549 |
문의드림니다?? (3) |
불무골 |
2012-01 |
5345 |
0 |
2012-01
5345
1 불무골
|
54548 |
파일서버(윈도우2012R2 활용) (6) |
황성진 |
2014-02 |
5345 |
0 |
2014-02
5345
1 황성진
|
그게아니면, 환풍기 전선쪽에서 따오면 되고요.
전기, 물, 사람 조합이 되는 관계로 안전에 유의해야할 겁니다.
천장에서 전등 (스위치로 가는 선이 아닌 전원선) 전원선을
벽을타고 설치 하시면 됩니다.
벽면에는 전선 매립용 몰딩 처리 하시면 깔끔 합니다.
주의 하실것은 콘센트로 전선 들어가는 방향이
아래로 향하도록 해야 합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7112818
벽노출콘센트 박스는 양면테이프와 실리콘으로 타일에 붙였구요
전선은 화장실 타일 모서리를 타고 내려오도록 하니 크게 티안나고 깔끔했습니다.
몰딩은 저렴한것을 써고 되고...
인테리어 전선몰딩이라고해서 좀더 고급스럽고 예쁘장하게 생긴것도 있습니다.
물방울이 맺혀서 흐를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감안하지 않으면...
운 좋으면 누전으로 인한 누전 차단기 작동
운 나쁘면 감전으로 인한 인명사고로도 이어질 것 같은데요..
애매하면 돈이 조금 들더라도 업자에게 요청하는 게 나을듯요..
제가 직접 하는것보다 숨고에 올려봐야겠네요
^^
집에서 누전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곳이 화장실이고..
오래된 아파트나 주택일 경우 전선의 굵기가 얇은 경우가 많습니다. 1.6인가도 쓰더군요... 요즘 감지기 선이...
화장실 천장에 점검구가 있어야 하구요.. 점검구 열고 복스 안에 N,L 선에서 따와야 합니다.. 전등이나 환풍기 선에서 따오면... 스위치를 끄면 비데도 꺼지기에...
아니면 환풍기를 전등 라인에 물리고 환풍기 스위치는 상시 연결로 바꿔주면 되기도 합니다.. 방법은 대략 2가지 정도.. 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