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133 |
0 |
2014-05
513913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3624 |
25 |
2015-12
1673624
1 백메가
|
97281 |
이런 LC-LC 광케이블 쓰는 곳이 있나요..? (8) |
펠릭 |
2023-05 |
2919 |
0 |
2023-05
2919
1 펠릭
|
97280 |
GA-7PESH2 보드 부팅문의입니다. (3) |
H0ng |
2020-08 |
2919 |
0 |
2020-08
2919
1 H0ng
|
97279 |
이 부품 어디서 구할수 있을까요 (7) |
졸리다 |
2020-04 |
2919 |
0 |
2020-04
2919
1 졸리다
|
97278 |
슈마파워는 꼽기만 해도돌아가나요?? (3) |
행복하세 |
2019-02 |
2919 |
0 |
2019-02
2919
1 행복하세
|
97277 |
장시간 사용시 2670과 4790k의 전기요금 차이가 클까요? (9) |
책갈량 |
2019-12 |
2919 |
0 |
2019-12
2919
1 책갈량
|
97276 |
ipmi 설정 문의 (4) |
뉴자 |
2021-03 |
2919 |
0 |
2021-03
2919
1 뉴자
|
97275 |
X79 듀얼 CPU 메인보드 듀얼 에 cpu i5-8500, 제온 E5-1650V2 SR1AQ 괜찮나요? (2) |
mads |
2021-09 |
2919 |
0 |
2021-09
2919
1 mads
|
97274 |
우분투 intel sgx에 관하여 (10) |
빅픽챠 |
2024-02 |
2920 |
0 |
2024-02
2920
1 빅픽챠
|
97273 |
WS2019에서 gpedit.msc 관련 오류 (7) |
대전김형운 |
2023-04 |
2920 |
0 |
2023-04
2920
1 대전김형운
|
97272 |
비컴) 조리사 자격 / 사시미 칼중에 칼코 사용방법이 따로있나요 ? (13) |
삐돌이슬픔이 |
2021-02 |
2920 |
0 |
2021-02
2920
1 삐돌이슬픔이
|
97271 |
2~5인 정도가 100기가 내외의 자료를 공유 할 만한 서비스가 있을까요? (13) |
나비z |
2021-04 |
2920 |
0 |
2021-04
2920
1 나비z
|
97270 |
TS140 부팅불가시 대처방법 문의드립니다 (8) |
음악사랑 |
2019-12 |
2920 |
0 |
2019-12
2920
1 음악사랑
|
97269 |
775보드e8400 (10) |
불무골 |
2021-02 |
2920 |
0 |
2021-02
2920
1 불무골
|
97268 |
2600 x나스. (9) |
GPGPU |
2020-09 |
2920 |
0 |
2020-09
2920
1 GPGPU
|
97267 |
레노버 X270에 NVME 2개 장착 (4) |
파리대왕 |
2023-01 |
2920 |
1 |
2023-01
2920
1 파리대왕
|
97266 |
시놀로지의 레이드5는 변형된 레이드인가요? |
수퍼싸이언 |
2019-07 |
2920 |
0 |
2019-07
2920
1 수퍼싸이언
|
97265 |
음주측정기 구매 (15) |
뚜뚜김대원 |
2019-11 |
2920 |
0 |
2019-11
2920
1 뚜뚜김대원
|
97264 |
vmware 질문있습니다 (1) |
방법 |
2018-11 |
2920 |
0 |
2018-11
2920
1 방법
|
97263 |
CFD용 중고 워크스테이션(Dual E5-2678 v3) vs 라이젠 5900x 고민중입니다.. (18) |
멘헤라 |
2021-09 |
2920 |
0 |
2021-09
2920
1 멘헤라
|
97262 |
011-2G 번호가 사라진다는데.. (6) |
오성기 |
2020-06 |
2920 |
0 |
2020-06
2920
1 오성기
|
Dell 파트이나 as는 되지 않는 새제품은 국내선 구하기 힘듭니다
위 전제 조건에 as가 필요없는 것이면
국내서 리필해주시는것이 답이죠
18650의 경우 최신 lg나 삼성셀의 경우 크기대비 용량이 증가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배터리 리필료 용량증가의 효과를 보기도 합니다.
정품배터리의 회로는 그대로 사용하고 안에 셀만 검증된 메이커의 최신셀로 대체되는 것이기 때문에
업체에서 작업이 잘된다는 전제 하에 정품보다 좋을 것으로 생각되구요,
단점은 배터리 탈착식 놋북의 경우 하우징을 분해하는게 매우 힘들기 때문에 분해과정에서 흔적이 남을 수 있다는거..
놋북 일체형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 탈착 후 배터리회로에 미리 전압 걸어주고(저전압 혹은 일정 전류 이하로 내려가면 잠기는 회로들이 많은것으로 압니다) 기존 배터리 제거 후 같은 사이즈의 폴리머 셀로 교체하는 과정이라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정품 배터리의 장점은 똑같은 새 제품으로 교환하는 것이기에 문제 발생 여지가 없다는거? 단점은 비싸다는거.. 정도 되겠네요^^;
정품 구매 가격과 비교 후에 선택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아무래도 정품을 구매하는게 가장 안정적인 선택이 되겠지요
배터리 교체가 처음이라 궁금한 점이 많았는데 질문 올리길 잘한 것 같아요. 길고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
그냥 호환 배터리를 교체하는 수준으로 끝난다고 보면 됩니다.
코로나 와 중국 전기 부족란으로 전세계에 있는 거의 모든 컴퓨터 기자재들은 제조도 안되고 해서 다 얼어 붙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우선 점검 정도 하시고 받데리가 부풀어 오르거나 하지 않는 이상은 참고 사용하시는것이 좋아 보입니다..
받데리 충전시 80% 까지 하고 사용하시는 것이 조금이나마 받데리를 오래 사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DELL XPS 13 9350 을 사용중입니다.
저희 장터에서 구입당시의 웨어율이 80%정도라 방전이 빨라서 배터리 교체를 결심했습니다.
처음부터 정품구입은 고려하지 않았기에 알리에서 34불 정도에 구입을 했었고
6각 스크류 드라이버만 있다면 뒷면 분해는 어렵지 않습니다. 헤라가 필요할 정도도 아니구요.
https://ko.aliexpress.com/item/32993046174.html?spm=a2g0s.9042311.0.0.be924c4dEAURCh
유튜브에 분해영상 한번만 참조해 보셔도 분해는 쉽고
배터리 교체도 나사 4~5개 정도만 풀고 전원단자만 다시 물리시면 끝입니다.
이렇게 교체해서 6개월을 사용중입니다만, 별다른 문제는 없습니다.
배터리가 정품에 비해 웨어율이 빨리 떨어진다는 말씀도 있는데,
저는 그냥 이렇게 구입해서 자주 바꿀 생각입니다.
배터리는 중국에서도 OEM생산을 많이 하는데, 정품 배터리와의 기술력은 다 거기서 거기 아닐까요?
리필센터에서 교체해주는 배터리가 정품과 같은 셀을 쓴다는것도 확실한건지는 의문이구요.
정품을 선호하시는 이유가 A/S 와 안정성 떄문이시겠지만,
가성비 따져서는 20만원은 조금 과한 금액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해외 직구라는 번거로움을 감수하고도 호환 제품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었는데...
가성비로는 역시 호환 제품을 사용하는 방법이 좋겠네요. 조금 더 고민해봐야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