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409 |
25 |
2015-12
179240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410 |
0 |
2014-05
5267410
1 정은준1
|
100820 |
화장실 곰팡이 안 슬게 하려면... (14) |
김영기 |
2018-08 |
8980 |
0 |
2018-08
8980
1 김영기
|
100819 |
시놀로지 OpenVPN관련 내부->외부클라이언트 접근 방법이 궁금합니다. (2) |
양시열 |
2022-07 |
1838 |
0 |
2022-07
1838
1 양시열
|
100818 |
제온시퓨를 이번에 사보려고하는데요.. (6) |
5450 |
2015-04 |
4692 |
0 |
2015-04
4692
1 5450
|
100817 |
X3550 M5 서버 cpu 사용률 50%만 올라갑니다.. 해결사분 있으실까요? (5) |
랑랑랑 |
2021-01 |
5865 |
0 |
2021-01
5865
1 랑랑랑
|
100816 |
컴퓨터 파워 24핀(전원??) 전원 들어오게 접지 할려면 뭘로 해야할까요? (13) |
강한구 |
2024-03 |
2380 |
0 |
2024-03
2380
1 강한구
|
100815 |
[질문] 비스타에서 SSD의 Trim지원여부 (3) |
일반유저 |
2011-06 |
10488 |
0 |
2011-06
10488
1 일반유저
|
100814 |
중딩나라에서 C602 서버보드를 하나 샀습니다. (25) |
가온누리I강… |
2018-08 |
5113 |
0 |
2018-08
5113
1 가온누리I강…
|
100813 |
firefox (linux 또는 윈도우) 에서 웹페이지에 embed 된 링크 내용 보기 (3) |
나파이강승훈 |
2015-04 |
3491 |
0 |
2015-04
3491
1 나파이강승훈
|
100812 |
보드 소켓에 써멀이 녹아들어가 부팅에 실패하는것같은데 청소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4) |
FSOnline |
2018-08 |
4172 |
0 |
2018-08
4172
1 FSOnline
|
100811 |
넷기어 R7000의 NAT Filtering 옵션 관련 질문 (1) |
아마데우쓰 |
2018-08 |
6105 |
0 |
2018-08
6105
1 아마데우쓰
|
100810 |
곤덴서는 삼영 삼화 루비콘 중 어느것이 제일 좋은것인가요? (5) |
늘파란 |
2016-06 |
5449 |
0 |
2016-06
5449
1 늘파란
|
100809 |
빕스 오프라인 상품권 같은게 있나요? (5) |
무아 |
2018-08 |
3726 |
0 |
2018-08
3726
1 무아
|
100808 |
구형 스맛폰에 최신 안드OS를 설치하는 방법(?) (5) |
NiteFlite9 |
2018-08 |
6229 |
0 |
2018-08
6229
1 NiteFlite9
|
100807 |
Vmware player 하드웨어 물리주소 (10) |
봉주룡 |
2015-04 |
7455 |
0 |
2015-04
7455
1 봉주룡
|
100806 |
라왕 각재 가공하는 방법문의 (10) |
정은준1 |
2016-06 |
5659 |
0 |
2016-06
5659
1 정은준1
|
100805 |
esxi 가상머신에서 고정아이피 어떻게 주나요? (4) |
행복하세 |
2018-08 |
4349 |
0 |
2018-08
4349
1 행복하세
|
100804 |
이거좀 알려주세요...ㅠㅠ (3) |
시오훅이 |
2015-04 |
5891 |
0 |
2015-04
5891
1 시오훅이
|
100803 |
SSD IOPS 속도 관련 질문드립니다 (4) |
i12u |
2016-06 |
5147 |
0 |
2016-06
5147
1 i12u
|
100802 |
회원님들은 정전 대비를 어떻게 하십니까? (8) |
newretrowave |
2018-09 |
3822 |
0 |
2018-09
3822
1 newretrowave
|
100801 |
렘16기가에서 32기가로 증축할려고하는데 사양좀 봐주세요~ (6) |
르나풀스 |
2018-09 |
4362 |
0 |
2018-09
4362
1 르나풀스
|
각 받데리 셀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저 질문에서는 모르기에 어느 정도 전압이 정상적인 전압인지 모릅니다..
UPS의 BA 단자 ===> 이게 무슨 말인가요??
Ni-cd (KH50P) 157개 ==> 구글에 뒤져 봐도 무슨 받데리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반 테스터기는 일초에 세번 정도 측정하고 화면에 표시합니다. 테스터기의 빠른 측정 모드는 더 빠르게 반응합니다.
장치에 이상이 있으면 전압이 순간적으로 튀는 증상이 있을 수도 있는데 순간적으로 튀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테스터의 일반 측정 모드만 고집합니다.
밧데리는 니켈카드늄을 사용하고 (Ni-cd), 용량이 1.2V 50AH (KH50P)인 벽돌 두개 크기의 밧데리 157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UPS의 BA 단자 : 밧데리 외장형입니다. UPS에 밧데리로 가는 케이블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있습니다.
전류용량이 큰 특수전지인지라 체크시 위험도가 높습니다만 각 157개 받데리 셀 단위의 전압이 일반 테스터로는 어떻게 되나요??
밧데리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각 밧데리는 1.4V로 부동충전 중입니다. 1.4 x 157 = 220V.
Ni-CD 동작 범위 : 대략 1.0V ~ 1.2V x 157ea = 157V ~ 188.4V
구글링 하면 나오지만 부하동작시 1.1V 정도가 나온다고 합니다.. 그리고 0.9V면 위험 수치이기에 무조건 충전해야 한다고 합니다..
CD전압에 저렇게 튀는 것은 충전회로가 연결되어 있고 거기에서 어딘가 잡음(고주파 요소)이 흘러들어가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충전회로는 그 회로의 특성을 잘 알아야겠지만 충전시 CD만 사용하지 않고 펄스 전압을 이용하는 충전회로도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우려 되는 것은 사용 기간이 좀 된 제품일 경우 모든 받데리 셀이 정상이다라고 보기는 힘들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셀하나 하나 테스트 하기도 힘들고요..
테스트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강제로 원 소스 전기를 끊어서 UPS를 동작시켜 받데리를 소모시켰을때 그냥 죽어버리지 않고 재대로 버티는지와
50% 이상 방전시켜도 재대로 동작하는지 그리고 원소스 전기를 원복시켰을때 충전이 재대로 되는지 정도를 테스트 하면 될 듯합니다..
(장비 죽이면 안되는 곳에서 이런 테스트 하면 안되기는 합니다..)
지금 사용중인 받데리가 몇 년 사용하였는지 모르겠지만 받데리도 소모품인지라 사용기간이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PC UPS의 납받데리인 경우 3년 정도 사용하면 새것으로 갈아주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받데리 통째로 갈아치우는 것은 가격 부담이 꽤 되기는 합니다..
오실로스코프 말고 일반적인 DMM으로 DC 전압을 측정하였을시 215V라면 정상 동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가 글에 BMS에 에러가 뜬다고 써서 BMS나 밧데리쪽 생각하게 해드렸습니다. 죄송합니다.
문의 내용은
BMS에 에러가 표시되어서 UPS의 밧데리 출력이 변동이 있는 것을 알았고 밧데리쪽을 끊어도 전압변동이 있습니다.
그 전압변동이 스코프 사진 정도인데 이정도가 정상인지에 관한 것입니다.
UPS업체에서 as나온 사람은 전압 튀는 것은 고려할 필요없다고 합니다.
다른 UPS업체에 문의를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근데 UPS용도가 몬가요??
받데리 모델로만 뒤져 보면 철도나 지하철 관련 장비에 사용되는 특수 받데리가 2가지 검색되던데요..
요즘 실 생활에서 Ni-CD 사용하는데는 거의 없습니다.. Ni-MH 로 거의 대체 되었고 이것들도 사용이 줄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