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S의 밧데리 출력이 이정도면 정상입니까?

pfakdmv   
   조회 2502   추천 0    

안녕하세요...

회사에 UPS 사용 중입니다. 

용량은 7.5KVA 이고 밧데리는 Ni-cd (KH50P) 157개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밧데리에 붙여 놓은 BMS에 에러가 자주 뜹니다.

테스터기 일반 모드로 하면 값이 거의 변하지 않는데 

최대최소 모드로 측정하니 약 10V 차이가 나길래

스코프로 측정하니 피크-피크가 20V 를 넘습니다.

아래는 UPS의 BA 단자에서 스코프로 찍었을때 사진입니다. 

업체에서는 일반 테스터기로 측정하면서 변화가 별로 없으니 이상없다고 하는데 

이정도면 정상입니까?

BMS에서는 BOV (beyond? of voltage) 과전압 에러가 뜹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1-10
UPS 장비 회사에 문의하셔서 점검 받으심이 좋아 보입니다..



각 받데리 셀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저 질문에서는 모르기에 어느 정도 전압이 정상적인 전압인지 모릅니다..

UPS의 BA 단자 ===> 이게 무슨 말인가요??

Ni-cd (KH50P) 157개 ==> 구글에 뒤져 봐도 무슨 받데리인지 모르겠습니다..
     
pfakdmv 2021-10
UPS 제작사에서 AS 나왔는데 UPS의 밧데리 출력을 측정하고 자기 테스터기로 변동없으니 이상없다고 합니다.
일반 테스터기는 일초에 세번 정도 측정하고 화면에 표시합니다. 테스터기의 빠른 측정 모드는 더 빠르게 반응합니다.
장치에 이상이 있으면 전압이 순간적으로 튀는 증상이 있을 수도 있는데 순간적으로 튀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테스터의 일반 측정 모드만 고집합니다.

밧데리는 니켈카드늄을 사용하고 (Ni-cd), 용량이 1.2V 50AH (KH50P)인 벽돌 두개 크기의 밧데리 157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UPS의 BA 단자 : 밧데리 외장형입니다. UPS에 밧데리로 가는 케이블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있습니다.
박문형 2021-10
1.2V 받데리 셀들이 어떻게 연결이 되어 있나요??

전류용량이 큰 특수전지인지라 체크시 위험도가 높습니다만 각 157개 받데리 셀 단위의 전압이 일반 테스터로는 어떻게 되나요??
     
pfakdmv 2021-10
UPS의 밧데리 쪽 NFB를 내려도 비슷합니다.
밧데리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각 밧데리는 1.4V로 부동충전 중입니다. 1.4 x 157 = 220V.
박문형 2021-10
충전 : 1.4V x 157ea = 219.8V

Ni-CD 동작 범위 : 대략 1.0V ~ 1.2V  x 157ea  = 157V ~ 188.4V

구글링 하면 나오지만 부하동작시 1.1V 정도가 나온다고 합니다.. 그리고 0.9V면 위험 수치이기에 무조건 충전해야 한다고 합니다..

CD전압에 저렇게 튀는 것은 충전회로가 연결되어 있고 거기에서 어딘가 잡음(고주파 요소)이 흘러들어가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충전회로는 그 회로의 특성을 잘 알아야겠지만 충전시 CD만 사용하지 않고 펄스 전압을 이용하는 충전회로도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우려 되는 것은 사용 기간이 좀 된 제품일 경우 모든 받데리 셀이 정상이다라고 보기는 힘들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셀하나 하나 테스트 하기도 힘들고요..

테스트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강제로 원 소스 전기를 끊어서 UPS를 동작시켜 받데리를 소모시켰을때 그냥 죽어버리지 않고 재대로 버티는지와

50% 이상 방전시켜도 재대로 동작하는지 그리고 원소스 전기를 원복시켰을때 충전이 재대로 되는지 정도를 테스트 하면 될 듯합니다..

(장비 죽이면 안되는 곳에서 이런 테스트 하면 안되기는 합니다..)

지금 사용중인 받데리가 몇 년 사용하였는지 모르겠지만 받데리도 소모품인지라 사용기간이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PC UPS의 납받데리인 경우 3년 정도 사용하면 새것으로 갈아주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받데리 통째로 갈아치우는 것은 가격 부담이 꽤 되기는 합니다..


오실로스코프 말고 일반적인 DMM으로 DC 전압을 측정하였을시 215V라면 정상 동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박문형 2021-10
받데리 셀 전압은 나중으로 치더라도 BMS에서 에러가 나왔다면 제조사 측에서는 모라고 합니까??
     
pfakdmv 2021-10
관심 감사합니다.
제가 글에 BMS에 에러가 뜬다고 써서 BMS나 밧데리쪽 생각하게 해드렸습니다. 죄송합니다.
문의 내용은
BMS에 에러가 표시되어서 UPS의 밧데리 출력이 변동이 있는 것을 알았고 밧데리쪽을 끊어도 전압변동이 있습니다.
그 전압변동이 스코프 사진 정도인데 이정도가 정상인지에 관한 것입니다.
UPS업체에서 as나온 사람은 전압 튀는 것은 고려할 필요없다고 합니다.
다른 UPS업체에 문의를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박문형 2021-10
UPS가 강전을 다루는 장비이고 받데리 자체도 전류가 높기에 조심해야 합니다..

근데 UPS용도가 몬가요??

받데리 모델로만 뒤져 보면 철도나 지하철 관련 장비에 사용되는 특수 받데리가 2가지 검색되던데요..

요즘 실 생활에서 Ni-CD 사용하는데는 거의 없습니다.. Ni-MH 로 거의 대체 되었고 이것들도 사용이 줄고 있습니다..
     
pfakdmv 2021-10
*비밀글입니다


QnA
제목Page 690/5730
2015-12   1792409   백메가
2014-05   5267410   정은준1
2018-08   8980   김영기
2022-07   1838   양시열
2015-04   4692   5450
2021-01   5865   랑랑랑
2024-03   2380   강한구
2011-06   10488   일반유저
2018-08   5113   가온누리I강…
2015-04   3491   나파이강승훈
2018-08   4172   FSOnline
2018-08   6105   아마데우쓰
2016-06   5449   늘파란
2018-08   3726   무아
2018-08   6229   NiteFlite9
2015-04   7455   봉주룡
2016-06   5659   정은준1
2018-08   4349   행복하세
2015-04   5891   시오훅이
2016-06   5147   i12u
2018-09   3822   newretrowave
2018-09   4362   르나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