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61534 |
25 |
2015-12
1661534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26559 |
0 |
2014-05
5126559
1 정은준1
|
58329 |
미국의 인터넷 속도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5) |
권경열 |
2009-01 |
5256 |
3 |
2009-01
5256
1 권경열
|
58328 |
CCNA 실습용 장비가 어떤 것이 필요한가요? (4) |
오성기 |
2009-03 |
5256 |
0 |
2009-03
5256
1 오성기
|
58327 |
HDMI 케이블에 대해 궁금합니다. (3) |
이상룡 |
2008-07 |
5256 |
21 |
2008-07
5256
1 이상룡
|
58326 |
노트북에 Windows Server 2012 를 설치했는데... (3) |
빠나나우유 |
2016-10 |
5256 |
0 |
2016-10
5256
1 빠나나우유
|
58325 |
메모리가 많을땐 가상메모리 없애는 것이 좋습니까? (8) |
이동재 |
2006-08 |
5256 |
19 |
2006-08
5256
1 이동재
|
58324 |
타이완 서버&기타 서버보드 수리할만한 용산업체 추천좀 해주십시요. (4) |
우명훈 |
2008-10 |
5256 |
11 |
2008-10
5256
1 우명훈
|
58323 |
화폐 표시? (5) |
여주이상돈 |
2013-01 |
5256 |
0 |
2013-01
5256
1 여주이상돈
|
58322 |
옵태론 오버용보드 추천해주십시요 (5) |
김대성 |
2006-01 |
5256 |
8 |
2006-01
5256
1 김대성
|
58321 |
인터넷 사용시 다운 ? (4) |
송영오 |
2007-10 |
5256 |
15 |
2007-10
5256
1 송영오
|
58320 |
xp에서 cd-rom 이 ! 로 나올때 (1) |
장은환 |
2005-09 |
5256 |
23 |
2005-09
5256
1 장은환
|
58319 |
[질문] 아래 두 메인보드중에 어느것이 나은 선택이 될지..어렵네요 |
장현모 |
2005-11 |
5256 |
14 |
2005-11
5256
1 장현모
|
58318 |
39160의 SCSI 하드 sync, bus가 제대로 잡혔는지 궁금합니다. (4) |
이동관 |
2008-12 |
5256 |
3 |
2008-12
5256
1 이동관
|
58317 |
메모리 1GB 놋북에서 램디스크하고 수퍼캐쉬 둘 중 어느게 좋을까여? (1) |
김현호 |
2007-04 |
5256 |
5 |
2007-04
5256
1 김현호
|
58316 |
NT-N310 넷북에 XPENOLOGY 설치하려는데 랜카드가 안잡히는것 같습니다. ㅠㅠ (2) |
1CPU지창훈 |
2015-09 |
5256 |
0 |
2015-09
5256
1 1CPU지창훈
|
58315 |
혹시 오버드라이버의 코드명을 아시는분 계신가요. (2) |
최경민 |
2006-03 |
5256 |
18 |
2006-03
5256
1 최경민
|
58314 |
HP 프로데스크 600 G3 Mini-DMI7WD 소음 문의 (4) |
나우마크 |
2017-09 |
5256 |
0 |
2017-09
5256
1 나우마크
|
58313 |
인텔 stl2 보드 (1) |
이희원 |
2005-10 |
5256 |
4 |
2005-10
5256
1 이희원
|
58312 |
LED 플리커링 (7) |
돌아온푸우 |
2016-04 |
5256 |
0 |
2016-04
5256
1 돌아온푸우
|
58311 |
[질문] 귀에 거는 작업 기록용 카메라 찾습니다. (구글글래스 같은 제품) (12) |
일반유저 |
2018-05 |
5256 |
0 |
2018-05
5256
1 일반유저
|
58310 |
옵테론 듀얼 보드에서 메모리 클락이 상이하게 잡히는 경우.... (2) |
FreeBSD |
2013-09 |
5256 |
0 |
2013-09
5256
1 FreeBSD
|
말씀하시는 1) 1배속 라이저 카드가 사진의 왼쪽것으로
USB 케이블로 연결해서 외부 라이저 보드와 연결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른쪽이 2) 4in1 카드 이고요
결론적으로 라이저 카드에 연결된 그래픽카드 인식에 문제가 있는것이고요
1)번의 경우 원인이 다양한데 일단 되게 하려면 케이블이 USB 3.0 이 되는 케이블을 써야 하고, 외부 라이져 카드 에 따로 전원을 넣어 줘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선 전원이 12V/5V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USB로 전원 하나는 간다고 했을때)
2)번은 그냥 카드만 꼽고 라이져 카드는 연결 안한것이 아닌지요? 그럼 그냥 되겠죠.
1번카드도 라이져 연결안하면 그냥 부팅되야 하고요. 1번 카드만 꼽았을때 부팅이 안된다면 사진상의 보드에 문제가 있는 겁니다.
4in1 카드로 연결할때든 1배속 라이저로 연결할때든 이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보드는 신품인데, 보드가 이 라이저 카드와 안 맞다고 봐야하는 걸까요 ?
안 맞는 이유는 뭘까요 ......
원인 분석에 대한 비용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보드가 동작이 똑같지 않습니다..
같은 보드라도 바이오스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이 엄청 바뀔수 있습니다..
IBM 호환기종 컴퓨터라고 하는 범주안에서는 모든게 다 알아서 동작할것 같아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테스트해보지 않은 영역으로 넘어가면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훨씬더 높아집니다.
그 카드를 승인하고..
전기 넣고..
응답 기다리고
OK 사인 해주고..
통신 연결해주고..
불량인 겁니다.. 꼽지 마세요.. 괜한 메인보드만 잡습니다.
모양만 맞는다고 꽂으면 않되요..
그 메인보드의 Bios가 인정을 해주고 받아줘야 인식하고 되는 것이지.
모양만 같다고 되는 것은 아닙니다.
1배속 꽂은 곳을 bios 상에서 Gen2 로 지정하시면 따란~ 하고 부팅이 됩니다.
+ 4G decording 도 켜주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그래픽카드 인식은 되는데 장치관리자에서 ! 뜨면서 리소스 부족이라 뜹니다.
4G decording의 역할은 64비트 pci-ex 장비의 주소를 저장하는 메모리 값의 크기를 늘려주는거고
이 주소 저장용 메모리의 크기 제한 때문에 그래픽카드 리소스 부족이 발생합니다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서 얻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라며,
지금 설정은 됐는데, 이게 웃긴게 껐다켜면 또 인식 못하고 또 다시 설정하면 되고... 됐다 안됐다 하네요. 똑같은 설정인데요.
아마 AMD 제조사가 그래픽 카드 여러장 꼽았을 때 윈도우 테스트를 충분히 하지 않은거 같아요.
근데 한방에 되는 방법을 알았는데, 4in1 라이저 카드 2장 쓰면 특별한 CMOS 설정 없이도 됩니다.
GEN1 으로 하고 오디오 USB 시리얼 다 끄고... 이딴 설정들 안해도 그냥 됩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이 1x 라이저 카드 인거 같아요.
그래서 성공은 했지만 윈도 리부팅하면 또 언제 안될지 모르기에 (이렇게 되면 먼거리에선 관리하기 힘드니...)
7만원 짜리 4x 또는 8x 추가로 달린 보드만 구매하면 4in1 카드 2장 써서 CMOS 삽질없이 될거 같은데 이거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두제품 다 테스트 해봐야겠네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