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에 PCI-e 1배속 만 꼽으면 부팅이 안되나요?

민사장   
   조회 5379   추천 0    

16배속을 비롯한 모든 슬롯은 비어 있는 상태에서

1배속 슬롯 1개에만 그래픽 카드를 라이저 카드로 연결해서 꼽아 놓았습니다.

그런데 컴퓨터 전원을 넣으면 화면이 뜨고 CMOS 넘어가고 부팅이 되야할텐데 화면 조차 뜨지를 않네요... 

화면이 안떠서 CMOS 를 넘어간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이상해서, 1배속에 꼽힌걸 16배속으로 옮겨서 꼽고 부팅해도 동일한 증상입니다.

화면이 뜨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슬롯에 꼽힌걸 빼고 부팅하면 CMOS 로 잘 넘어갑니다.

그런데, 1배속이 아닌 4in1 카드를 16배속에 꼽고 부팅하면 부팅은 넘어가고 윈도우 진입이 됩니다.


이 글에서 명칭을 1) 1배속 라이저 카드 2) 4in1 카드 이렇게 두가지로 지칭하겠습니다.


제가 궁금한 질문은

Q) 왜 1배속 슬롯 1개만 꼽고 부팅하면 화면도 안켜지고 CMOS 진입이 안되나요?

뭔가 제가 간과한 부분이 있을까요 아니면 1배속 라이저 카드가 보드랑 안맞는 걸까요...


며칠째 삽질중인데 메인보드에 대해 잘 알고 계신분들이 계시다면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ikieiki 2021-10
부팅이 안되는게 아니라 메인그래픽카드가 넘어간거어닌가요
     
민사장 2021-10
메인그래픽 카드는 CMOS 에서 IGD 내장그래픽으로 해놓은 상태입니다.
생겼으면 2021-10
일단  좀 유추해서 말씀드립니다.
말씀하시는 1) 1배속 라이저 카드가 사진의 왼쪽것으로
USB 케이블로 연결해서 외부 라이저 보드와 연결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른쪽이 2) 4in1 카드 이고요

결론적으로 라이저 카드에 연결된 그래픽카드 인식에 문제가 있는것이고요

1)번의 경우 원인이 다양한데 일단 되게 하려면 케이블이 USB 3.0 이 되는 케이블을 써야 하고, 외부 라이져 카드 에 따로 전원을 넣어 줘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선 전원이 12V/5V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USB로 전원 하나는 간다고 했을때)

2)번은 그냥 카드만 꼽고 라이져 카드는 연결 안한것이 아닌지요? 그럼 그냥 되겠죠.
  1번카드도 라이져 연결안하면 그냥 부팅되야 하고요. 1번 카드만 꼽았을때 부팅이 안된다면 사진상의 보드에 문제가 있는 겁니다.
     
민사장 2021-10
네, USB 3.0 케이블이고요, 외부 라이저에 전원을 연결했습니다. (HDD/SSD용 전원)
4in1 카드로 연결할때든 1배속 라이저로 연결할때든 이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보드는 신품인데, 보드가 이 라이저 카드와 안 맞다고 봐야하는 걸까요 ?
안 맞는 이유는 뭘까요 ......
박문형 2021-10
재대로 할려면 안되는 것 제조사 보드 개발자로 보내서 원인 분석 시켜야 하지만 보통 개인에게 그렇게 해줄수 있는 PC제조사는 잘 없으며

원인 분석에 대한 비용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보드가 동작이 똑같지 않습니다..

같은 보드라도 바이오스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이 엄청 바뀔수 있습니다..
     
민사장 2021-10
보드 궁합빨이 있다는 것이군요~ 다른 보드 오면 해봐야겠네요
          
엠브리오 2021-10
제대로 동작한다는 보장은 정해진 범위 안에서만 그렇다는 거죠.

IBM 호환기종 컴퓨터라고 하는 범주안에서는 모든게 다 알아서 동작할것 같아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테스트해보지 않은 영역으로 넘어가면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훨씬더 높아집니다.
          
제온프로 2021-10
바이오스를 직접 프로그램 하세요..
그 카드를 승인하고..
전기 넣고..
응답 기다리고
OK 사인 해주고..
통신 연결해주고..
               
박문형 2021-10
바이오스 재대로 다룰 수 있는(문제 해결하고 바이오스 새로 만들수 있는) 사설 엔지니어가 국내에는 있을지가 의문입니다..
제온프로 2021-10
그냥 지원하지 않고..
불량인 겁니다.. 꼽지 마세요..  괜한 메인보드만 잡습니다.

모양만 맞는다고 꽂으면 않되요..

그 메인보드의 Bios가 인정을 해주고 받아줘야 인식하고 되는 것이지.
모양만 같다고 되는 것은 아닙니다.
gmltj 2021-10
라이저 고장일 가능성이... 고장 잘 나는 부품 입니다...
분해맨 2021-10
하하하. 제가 정답을 알죠.
1배속 꽂은 곳을 bios 상에서 Gen2 로 지정하시면 따란~ 하고 부팅이 됩니다.
+ 4G decording 도 켜주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그래픽카드 인식은 되는데 장치관리자에서 ! 뜨면서 리소스 부족이라 뜹니다.
4G decording의 역할은  64비트 pci-ex 장비의 주소를 저장하는 메모리 값의 크기를 늘려주는거고
이 주소 저장용 메모리의 크기 제한 때문에 그래픽카드 리소스 부족이 발생합니다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서 얻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라며,
     
겨울나무 2021-10
애초에 gen2 까지만 지원하는 센디브릿지 보드가 더 적합하군요. 경우에 따라 용도에 따라 구형제품이 더 좋을수도 있네요.
     
민사장 2021-10
Gen2 는 해봤는데 안되던데, 4G 디코딩 켜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분해맨 2021-10
땡글에서도 뵌것같은데, 땡글은 어지간해서 정보 잘 안알려주거나 애매하게 흘려줍니다 ㅠ 결국은 본인이 손수 다 해봐야하는..
               
민사장 2021-10
그런가요... 그래도 땡글은 옛날 글들 검색하면 유용하더라고요. 2cpu 분들이 확실히 관심있게 알려주시고요
지금 설정은 됐는데, 이게 웃긴게 껐다켜면 또 인식 못하고 또 다시 설정하면 되고... 됐다 안됐다 하네요. 똑같은 설정인데요.
아마 AMD 제조사가 그래픽 카드 여러장 꼽았을 때 윈도우 테스트를 충분히 하지 않은거 같아요.
근데 한방에 되는 방법을 알았는데, 4in1 라이저 카드 2장 쓰면 특별한 CMOS 설정 없이도 됩니다.
GEN1 으로 하고 오디오 USB 시리얼 다 끄고... 이딴 설정들 안해도 그냥 됩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이 1x 라이저 카드 인거 같아요.
그래서 성공은 했지만 윈도 리부팅하면 또 언제 안될지 모르기에 (이렇게 되면 먼거리에선 관리하기 힘드니...)
7만원 짜리 4x 또는 8x 추가로 달린 보드만 구매하면 4in1 카드 2장 써서 CMOS 삽질없이 될거 같은데 이거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분해맨 2021-10
저도 1배속 1 to 4 로 속앓이 하다가 4배속 1 to 4 알리에서 구매해서 쓰고있는데, 현재 10대정도 세팅해본결과 상당히 안정적이긴 합니다. 알리에서 1to4 4배속 구매하시면 될것같아요. https://s.click.aliexpress.com/e/_AYB0F9 이제품입니다. 저도 현재까지 12개정도 구매했는데 배송은 빠른것같네요. 셀러가 금방 금방 보내줍니다.
                         
민사장 2021-10
기존에 주문하고 기다리던 x4 4in1 카드도 있었는데, 이것도 주문해 보았습니다.
두제품 다 테스트 해봐야겠네요 고맙습니다.


QnA
제목Page 2789/5705
2015-12   1661534   백메가
2014-05   5126559   정은준1
2009-01   5256   권경열
2009-03   5256   오성기
2008-07   5256   이상룡
2016-10   5256   빠나나우유
2006-08   5256   이동재
2008-10   5256   우명훈
2013-01   5256   여주이상돈
2006-01   5256   김대성
2007-10   5256   송영오
2005-09   5256   장은환
2005-11   5256   장현모
2008-12   5256   이동관
2007-04   5256   김현호
2015-09   5256   1CPU지창훈
2006-03   5256   최경민
2017-09   5256   나우마크
2005-10   5256   이희원
2016-04   5256   돌아온푸우
2018-05   5256   일반유저
2013-09   5256   FreeB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