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드 질문

네이쳐   
   조회 2327   추천 0    

ASUS PRO WS WRS80E-SAGE SE WIFI
ASUS HYPER M.2 x16 Gen4
SEAGATE 파이어쿠다 530 M.2 2280 NVMe 4TB x4개

=========================================================

위의 SSD 1개에 윈도우10을 설치하고, 또 raid 0으로 4개를 묶어 윈도우10을 설치하고

각각에서 crystaldiskmark를 해보면

속도가 4배까지는 아니더라도 3.5배정도 차이가 납니다.


그런데,

실제로 수십 기가의 파일들로

직접 복사하고, 압축하고 해보면 두 경우에 속도 차이가 거의 없이 동일합니다.

어떤 단순 반복문 연산을 하는 파이썬 코드도 두 경우 각각 돌려봐도 속도가 거의 같습니다.

오히려 레이드 0으로 4개를 묶은 경우가 약간 더 느립니다.


레이드를 처음해봐서 왜그런지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술이 2021-10
레이드의 환상에서 빨리 나오기 바랍니다.
속도라면 이미 한개로도 충분해요.
     
the촌놈 2021-10
+1
     
네이쳐 2021-10
환상이 아니고, 처음 해보는데,

뭐 약간의 차이라도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뭘 잘못했나 싶기도하고 궁금합니다.
박문형 2021-10
https://www.2cpu.co.kr/QnA/811387?&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VROC&sop=and

위의 링크에서 인텔에서 나온 자료 보시면 인텔 서버쪽도 별의 별짓 다해서 겨우 구축해둔게 막말로 모든 SSD는 인텔 것에 인텔의 특수 키를 구매해야

겨우 구현된다 이런 식입니다..

윈도우즈의 드라이버를 쓰고 윈도우즈의 소프트웨어레이드를 사용했는지

보드의 펌웨어에서 RAID 0로 묶고 보드에서 나오는 레이드 드라이버를 사용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현재 구축된 상황에서의 한계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제조사인 ASUS 쪽에 문의해보세요..
     
네이쳐 2021-10
현재 asus에서 제공하는 윈도우 10용 레이드 드라이버로, 윈도우 설치할 때 불러와서 묶었습니다.
crystaldiskmark 테스트에서는 raid 0 으로 2개, 3개, 4개 묶을 때 마다 속도 차이가 나는데, 실제 사용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아 궁금해서 질문 올려봤습니다.
아수스에 문의해보니 리눅스용 드라이버는 제공 안 하니, 윈도우를 쓰는게 어떻겠냐고 하네요.
답변을 봐서는 더 물어봐도 원하는 답이 안올거 같네요 ㅎㅎ

아 그리고
말씀해주신 하이포인트 제품은 직구로 주문 해놔서 다음 주 쯤 올거 같습니다.
박문형 2021-10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실 사용이 순차적 읽기 쓰기 작업이 1개 정도의 작업이 아니고 랜덤 읽기 쓰기 작업이 여러개  걸려 있으면 아무리 M.2 SSD가 빨라도 갤갤댈 수 있습니다..

이때는 전용 캐쉬 메모리가 큰 레이드 카드 밖에 답이 없다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리고 실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디스크 퍼포먼스를 100% 동작하도록 하는지 아닌지도 모릅니다..


좀 다른 이야기 입니다만

대략 10년도 더 된 옛날 옛적 아답텍 5805 (3G RAID CARD / No SSD support) 에 SATA SSD를 1개 달고 밴치마크 프로그램으로 성능 채크했을때와

SATA SSD 2개를 RAID 0으로 묶고 밴치마크 프로그램으로 성능채크했을때는 대략 2배의 퍼포먼스 차이가 났는데

3개랑 4개를 묶었을때는 속도가 3배 4배가 안되고 그냥 2개 단 것이랑 거의 같은 퍼포먼스가 나온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왜그런가 대략 파악해보니 레이드카드가 SSD에 최적화가 안 되었던 것입니다..

그후에 펌웨어 업데이트로 조금은 개선 되었지만 실제로는 12G 카드로 몇세대 카드가 새제품이 나왔을때 그나마 SSD가 재대로 지원되었습니다..
구차니 2021-10
간단하게 layer 하나 추가 될 때마다 오버헤드 추가로 인해, 1개로 돌릴 때보다 느려질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nvme의 경우 극한으로 레이턴시 내린거라, 중간에 버퍼가 들어 가면서 오히려 단일로 사용할 때 보다 느려질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raid 0 라고 해도 내부 cache가 있을텐데 cache hit 여부를 검색하는 시간이라던가 여러가지 과정을 거치고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니 이상적인 실험 결과라고 생각됩니다.
박문형 2021-10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pridepc_new4&no=89842

혹시나 모르니 카드가 16배속으로 재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해보세요..

https://quasarzone.com/bbs/qc_qsz/views/1123953

이것은 시스템이 비슷하니 비교해보시면 될 듯합니다..
dateno1 2021-10
RAID0의 한계입니다

예전에 메인 스트림은 SATA/SAS밖에 없던 시절에 저렇게 RAID0로 쓰다가 성능에 실망한 이후 다시는 성능때문에 저렇게 묶는일 없습니다

결론은 저런 속도인게 정상입니다
새옹지마아 2021-10
RAID의 진가는 동시에 여러 개의 디스크 작업이 걸릴 때 발휘됩니다. 작업 한 개만 걸면 RAID 안한 거와 별 차이 안나는 게 정상일겁니다.
CrystalDiskMark 테스트가 아마도 디스크 동시 액세스가 아니였을까 싶네요.
레이드의 성능 장점은 여러 개의 디스크를 동시에 액세스하는 데서 옵니다. 태스트하신 압축이나 압축해제는 아마도 단일 작업이였을텐데, 단일 작업이라면 한 순간에 한 개의 디스크만 액세스할테니 빨라질 일이 없겠죠.
여러개를 동시에 압축, 압축해제 해보세요. 개별 디스크보대 빠를겁니다.
제온프로 2021-10
SEAGATE 파이어쿠다 530 M.2 2280 NVMe 4TB

당연히 않나오죠.. SSD 4TB 이네요.. 당연히 TLC 일 것이고..
Cache양도 확인해 보시죠...

가장 좋은 거 쓰셔야되요.. 970 Pro가 그나마 속도좀 나옵니다.
980 pro 도 많이 않나올 것으로 짐작됩니다..
TLC는 자체 운영하기도 바빠요..


QnA
제목Page 677/5730
2015-12   1791400   백메가
2014-05   5266492   정은준1
2015-07   5148   방o효o문
2012-01   6188   블루영상
2018-11   3339   dotlee
2015-07   4824   전설속의미…
2015-07   3816   안주사냥꾼
2017-08   3310   삐돌이슬픔이
2015-07   4261   블랙스미스
2022-12   1706   epowergate
2012-02   5363   6툴
2017-08   4478   김건우
2014-03   3190   나비z
2018-11   3133   광주동키호테
2021-04   2473   행복하세
2012-02   13621   마이코코
2018-11   3060   임시현
2016-08   8253   나비z
2024-08   1649   콘스탄틴
2015-08   3386   전설속의미…
2012-03   6898   미수맨
2015-08   4148   잠못이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