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랙 냉방 관련

지존   
   조회 3004   추천 0    

문의 좀 드릴까 합니다.

혼자 쓰는 사무실인데, 24시간 도는 서버가 2대+ 가끔 테스트를 위해 켜는 서버 3대정도 밖에 안되는데도 시끄럽고  여름에 계속 에어컨을 켜두기가 좀 그래서 랙을 베란다로 보낼까 합니다.  

그런데, 여름엔 여기가 너무 더워 프로파일로 랙이 하나 들어갈만한 작은 룸을 만들어 에어컨을 달려고 합니다.

혹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크기는 (전면) 1000 x (깊이) 1500 x (높이)2200  정도 전면에서 양문으로 개폐가능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항온항습랙도 생각해 봤는데 부르는게 가격이더군요.

그런데, 프로파일 업체 두군데 인터넷으로 전화해서 물어 보는데 이 업체들도 견적은 안주고 실사를 해야 줄 수 있다고만 하네요.

좋은 방안 있으시면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1-10
전용으로 만드신다고 해도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일반적인 에어콘이나 서버랙을 설치하시는데는 전기비가 많이 들어도 일반적인 방의 형태가 설치나 이동 퇴거가 편합니다..
새옹지마아 2021-10
IDC 빌리는 게 더 싸게 먹히지 않으려나요?
서버호스팅 또는 코로케이션으로요.
맑은여름 2021-10
저 역시 사무실내 서버실을 만들고 벽걸이 에어컨을 달아놨지만.. 코로케이션이 가장 무난한듯 합니다.
다만 트래픽과 잦은 관리 때문이라면 어쩔수가 없지요.
그리고 밖에다 두는건 비추 합니다. 여름도 여름이지만.. 먼지때문이라도요
위에 예시하신 공간 용적에 맞는 에어컨디셔너 장비는 말그대로 부르는게 값이죠.
벽걸이 에어컨의 가동조건에 비해 너무 좁은 공간입니다.(고장의 원인입니다.)
에어콘의 냉기로 냉각하시는 것보다는 공기의 순환하는 방식을 권장해드립니다.

여름 기준 36도의 주변 온도를 굳이 낮춰서 서버를 구동시키실 필요는 없습니다.
발열부의 온도가 60도이상이라면 36도의 주변온도와 더 많이 희석시키면 되는 거죠.
서버가 있는 공간의 온도가 16~28도, 습도 40~70% 를 권장하지만,
굳이 서버 온도를 16~28도(전산실 환경조건 중 온도)로 구동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레반터스 2021-10
냉방랙 검색해보시면 답에 유사할거같습니다
민사장 2021-10
1. 풍향은 앞에서 뒤로 불어주게 배치한다.
2. 오픈 케이스보다 뚜껑이 닫혀있는 밀폐형이 냉각이 잘된다.
3. CFM (풍량) 이 클수록 좋다. 소음이 작을수록 좋다.

좋은 쿨러 찾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http://prod.danawa.com/list/?cate=112798
옵션 전체보기를 누르세요
들어가셔서 옵션에 케이스에 맞는 시스템 쿨러 mm 를 체크 (예:80mm)
최대풍량 90이상 CFM 을 체크
나온것들중에 소음도를 보고 선택

시끄러운 문제는 여기 풍량과 소음을 가지고 조절하셔서 팬 교체 하면 확실히 조용해 집니다.
rpm 은 중요한게 아닙니다. 풍량이 실제 바람의 양이라 풍량이 중요합니다.
rpm이 빨라도 조용하다면 결국 문제가 아니니 결국 소음도만 체크하면 됩니다.
최대풍량, 최대소음도(db), 가격 만 가지고 제품을 고르면 됩니다.
커넥터 모양이랑 두께(T) 가 맞는지도 체크하셔야 하고요.

팬만 교체해도 시끄러운 문제는 해결됩니다.
그리고 더운 문제도 해결할 방법이 있습니다.

서버가 여러대 있는걸 가상화해서 1대로 합치세요.
그럼 1대만 가동해도 되고, 1대만 가동해도 게스트가 아무리 많아도 신기하게 CPU 활용률은 거의 10% 미만에서 돕니다.

소음과 열 둘다 해결되는거죠.
민사장 2021-10
참고로 ESXI 에는 현재 서버들의 하드를 그대로 떠서 가상화 시스템으로 옮겨주는 툴이 있습니다.
그 툴을 사용하면 OS 다시 깔필요도 없고 프로그램들 재설치 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ESXi 설치하고 가상화 뜬 파일만 적재하면 그대로 돌아갑니다.
지존 2021-10
모든 분들의 답변에 감사합니다.
술이 2021-10
여름에 더워도 공기 흐름에 방해만 안되게 하면 됩니다. 더운 열기가 막혀서 계속 열이 오르는것만 방지하면 되거든요.
창고에 에어컨 없어도 잘만 굴리고 있습니다. 먼지는 많이 쌓일건데 1년에 두번정도 휴대용 밧데리 콤프로 쏴주면 뭐 문제없이 잘 쓸겁니다.
겨울엔 뭐 너무 추워서 열기 걱정은 안해도 될거고...
더운 여름이여도 공기흐름에 방해만 안되면 크게 걱정거리 없다가 결론입니다.


QnA
제목Page 866/5707
2015-12   1669567   백메가
2014-05   5134621   정은준1
2019-08   2947   거니스트
2020-07   2948   이희주
2017-07   2948   시도니
2023-01   2948   pumkin
2021-08   2948   꼭꼭꼭꼭꼭꼭
2021-11   2948   VSPress
2023-05   2948   무쏘뿔처럼
2020-03   2949   컴퓨터몰라…
2020-05   2949   isaiah
2019-08   2949   김제l김용환
2023-04   2949   행복하세
2022-01   2949   나요
2021-03   2949   화정큐삼
2020-09   2949   twopaik
2019-08   2949   NUXE
2017-07   2949   최시영
2023-09   2950   뭐든팔아요
2019-04   2950   미끄
2023-08   2950   변호사손군
2020-07   2950   김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