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용 워크스테이션 관련 문의드립니다

precision   
   조회 3650   추천 0    

이제 막 유전체분석을 시작한, 초보연구자입니다. 

연구용 워크스테이션을 처음 구매해보고자 하는데,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해본 경험이 전무하고 구축해본 경험이 없고 주변에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사람들을 접해보지 못하여, 어떤 사양으로 어떻게 준비를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서 고심끝에 글을 올려 고견을 구해봅니다.

32G 메모리가 탑재된 데스크탑으로만 분석을 해봤고, 조립된 컴퓨터에 HDD 및 ram memeory만 추가로 달아가며 분석해봤을뿐 정도로 사양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습니다. 분석을 하다가도 메모리가 감당하지 못하며 멈추어버리거나 너무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로 고민을 하다가 최근 워크스테이션이라는 알게되어서 구축을 해보려하면서 이 사이트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주로 다루는 데이터는 human genome data이며, 유전자 분석을 주로합니다. 규모는 천명대 입니다.  

지금까지는 전처리 된 자료를 이용하여 리눅스, python, R을 사용하여 기본통계 분석을 주로 하였습니다

사양이 조금 더 나아지면, 전처리 뿐 아니라,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200여개의 feature들과 함께 고려하여 machine learning등 분석도 해보고싶습니다.

이전에 QnA 정보나 전문적인 연구자 선생님들의 언급을 보았을때, CPU power 및 Ram을 많이 확보해구축해야한다는 것을 인지하였습니다만, 비용적인 한계로 어느정도 타협을 해야할것만 같아서, 사양을 어떻게 가져가면 좋을지, 중간에 데스크탑처럼 메모리나 HDD등을 추가적으로 개인적으로 추가할수있는지가 궁굼합니다. 대략적인 초기구축 금액은 2000만원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1) 제가 지식이 부족하기때문에 벤더사의 제품으로 구축해야할 것 같다는 생각에, 메모리를 지속적으로 확보해야하겠다는 생각에 Dell precision 7920을 찾아보았습니다. 타워와 렉의 차이가 있을까요? 소음이나 확장성등등 고려해야할것들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혹시, 워크스테이션 구축을 위해 갖추어야할 연구실의 조건이 있을까요? 

2) 메모리를 1T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비용적인 한계로  당장 모든 것을 갖추고 시작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워크스테이션도 데스크탑처럼, 중간에 메모리나 HDD를 추가적으로 구입하여 개인이 설치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전체적으로 사양을 바꾸어야하는지 알수 있을까요? 추가적으로 제가 확보하고 있는 WD 10T/6T HDD가 여러개 있는데 그것을 워크스테이션에 설치할수도 있는 것인가요? 

-혹, 분석을 하다가 필요해진다면 중간에 CPU도 dual로 추가도 가능한가요? 혹시 렉으로 구성시 여러개의렉을 쌓아 CPU를 4개, 6개 이런식으로 나중에 사용할 수도 있는 건가요?

아는게 너무 없어서 무식해 보이는 질문들을 하게 됩니다만, 어떤 의견이든 주시면 감사하게 듣고 참고하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하셀호프 2021-11
우리 장터 R930 최대 메모리가 12테라입니다
메모리면에서는 좋은데 다른 것은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구차니 2021-11
어떤식으로 하는진 모르겠지만 32gb가 부족하면 최소 64gb~128gb 장착 가능한 워크로 알아 보셔야 겠네요
솔찍히 저도 워크랑 타워형 서버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만..
벤더 pc들이 그렇지만 처음에 사양을 정해야지 중간 업그레이드는 쉽지 않습니다.
특히나 cpu의 경우 메인보드와 연관이 있다 보니 2cpu 보드에 1cpu만 쓰다가 2번째 장착하고 쓸수는 있습니다.
(다만 1번 cpu쪽 ram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즉, 메모리 확장에도 한계가 생깁니다)
ocarina 2021-11
비슷한 연구를 하는 분들의 사양을 아는게 제일 중요할듯 하구요.
t7920으로 세팅한다면 천만원내로 해결할수 있을껍니다. 여기 장터에도 많이 있으니 견적 문의해보시길 바랍니다. 비슷한곳 납품한 사례도 많을테니까요.
셀러분들이 메모리 추가등등은 나중에도 잘 해주실꺼구요. 델 제품이 나중에 부품추가가 좀 까다로울수는 있지만, 딱히 안되는건 아닙니다.
타워형식의 워크들은 이제 그냥 고성능의 안정적? pc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일반pc랑 부품도 거의다 호환되구요(램은 reg를 써야 해서 안되지만)
박문형 2021-11
보통 벤더 제품을 새 것으로 구매하였을때 리테일 부품을 장착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발각이 되면 무상 AS기간이 날라가버린다 던지 기술지원이 안된다던지 합니다..

DELL은 그런 규약이 좀 약한 편이고 HPE는 세게 나갑니다..

무상 보증기간 / 유무상 AS조건 / 확장등에 대한 자세한 규약 같은 것은 해당 벤더 영업사원에게 확인해보심이 좋습니다..


워크스테이션은 보통 타워형태를 많이 사용하고 사운드포트가 있던지 사운드 카드가 달리며 랜포트는 1개 이상이고

비디오카드가 꼭 하나 혹은 그 이상 달립니다..

서버는 랙마운트 형태를 많이 사용하고 사운드 포트가 없으며 랜포트는 2개 이상이고 2D 전용인 온보드 비디오포트가 있습니다..

여러개의 GPU가 달리고 GPU를 주로 사용하여 계산하는 GPU 서버는 기본적으로는 랙마운트 형태에 사운드 포트가 없습니다..

단 타워형 워크스테이션이라도 여러개의 GPU를 달수 있는 모델이 있기는 합니다..



보통 1개의 시스템이 달릴 수 있는 CPU 최대 갯수는 2개 짜리가 재일 많이 쓰이며 DP (Dual Processer)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그 시스템이 지닐 수  있는 한계라고 봐야 합니다..

그 외 그 이상 CPU 가 설치 가능한 제품은 MP (Multi Processer) 시스템이라고 하는데 CPU가 4개 8개 정도가 최대입니다..

이런 것은 대용량 메모리 설치가 가능하기에 일반적으로는 DB 서버 같은 곳에 쓰입니다..

개인이 구매하기에는 가격이 상당히 높습니다.. (인텔 스케일러블 시스템으로 하면 대당 억단위는 쉽게 넘어가기에)



여러 대의 시스템을 묶어서 사용하는 것을 클러스터링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클러스터링 전문 구축회사들이 있습니다..

그 외에 CPU 몇십개 몇백개 단위로 가면 슈퍼컴퓨터 시스템이라고 봐야 하며 크레이라는 업체가 유명합니다..
박문형 2021-11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이 CPU클럭에 따라서 성능변화가 심한지 CPU 코어 갯수에 따라 성능변화가 심한지 정도는 알아야 합니다..

어떤 프로그램은 코어를 1개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런 경우 코어를 수십개 설치해도 단 1개만 사용합니다..

요즘 CPU는 1개의 시스템에 달리는 갯수 보다는 1개의 시스템에 어떤 클럭 속도의 코어를 최대 몇개까지 설치 가능한가가 중요합니다..

1개의 CPU도 CPU 모델에 따라 전기 먹는 양이 다르고 클럭속도도 다르며 (올코어 클럭) 코어의 갯수도 다릅니다..

보통 코어가 많으면 클럭속도는 좀 떨어지게 됩니다..
anti2cpu 2021-11
추후 한두대만 더 늘릴거라면 타워도 괜찮기는한데
저라면 렉으로 4u에 16베이 이상으로 갑니다
설치할 장소가 소음이 세더라도 괜찮은곳인지
냉방능력은 어떤지
전기시설은 어떤지
여러가지를 방문해서 실사를 하고
생각해야 합니다

실무돌리는거 보고
실무자들과 충분한 협의 과정?을 거쳐야
추후 문제가 안생깁니다
김우진 2021-11
웬지 영산회상님께서 답변해주셔야 할것 같은 느낌이군요 (저는 전사체 분석 위주라 저사양 웍스로도 가능하거든요).
저는 T7600 두대 포함 벤더 웍스, 조립 웍스 도합 4대를 집에서 돌리는데, 따로 전력 문제는 생각 안해봤습니다.
다만 여름에는 컴 옆 뚜껑 열고 선풍기 쏴줍니다. 랙 서버는 소음이 커서 연구실에서 쓰기는 좀 부담스러울거예요.
제가 쓰는 T7600은 자유롭게 부품 교환 가능하지만, 요즘 나오는 벤더 웍스 중 일부는 보드/시피유에 락이 걸려서 교체나 업글이 제한적인 경우도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트니아빠 2021-11
본인 책상 옆에 둘 것인가 별도로 둘 수 있는 곳이 있는지 확인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공랭 소음은 선생님이나 연구원에게 좋지 못합니다.

별도로 둘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전력은 안정적인지.. 몇 W정도까지는 쓸 수 있는지 알아보세요.

십중팔구 UPS가 없을텐데, 건물 소방점검에 따른 정전이 얼마나 흔한지도 확인해 보세요.
idle 상태가 아닌 것을 염두에둔다면 3~4시간의 정전에 버틸 UPS가 가격이 상당합니다.
저는 15분 정도 버틸 UPS를 구입했고, 장시간 정전이 예정되어 있으면 그냥 끕니다. ㅠ

웍스가 안정적이고 좋을 것 같습니다만..
사방에 돈 들어갈 곳이 있을텐데 웍스에 너무 올인하여 투자하면 큰일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느린 CPU이면 조금 더 시간이 걸릴 뿐이지만 메모리가 적으면 실행에 오류가 날 수 있는 경우가 많을테니 메모리를 빵빵하게 넣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분석용 PC를 조립으로 하고;
대용량 파일 저장은 NAS 껍데기를 구입하여 소장하고 있는 HDD로 하고;
분석용 PC는 원격을 다루며;
그 업무용 PC는 각종 잡무에 시달릴테니 SSD, mem 확충하고, 모니터도 좋은 것 구입하시는 것이 좋을지도 모르겠습니다.
     
precision 2021-11
많은 조언을 들으면서 새로이 알게된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제가 너무 기본 지식이 없었고, 웍스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가 많이 필요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웍스도 소음, 전력등의 문제로 별도의 공간이 있는것이 좋다는 말씀으로 이해하였는데요.
별도록 둘 공간이 없다면, 책상 옆에 타워형을 두고 쓰는 것은 어려울까요?
혹시 웍스또한  발열문제로 겨울이나 여름에 별도의 에어컨을 사용 냉방을 해주는 것이 필요한지요? , 건물이 중앙냉난방시스템인 곳이라, 에어컨도 사야하는 것인가 조금 난감합니다....
          
트니아빠 2021-11
소음이라는 것이 워낙에 개인차가 크고, 아무리 무심하다고 해도 반드시 거슬리는 때가 있습니다.
여럿이서 한 방을 이용하는 구조가 아니라면.. 멀리 두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에어컨을 별도로 구입해야 할 정도로 발열이 통제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다만, 중앙집중시스템인 곳에서는 에어컨 실외기 공사도 어려운 일일 것 같습니다.

현재 사용하시는 컴퓨터의 최대 메모리로 업그레이드부터 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박문형 2021-11
소음을 느끼는 정도는 개인차가 큽니다..

워크스테이션이 풀로드(부하 100%)로 돌아가면 펜이 100% 속도로 돌아갑니다..

결과적으로 시끄러워집니다..

대략 버스 정류장에서 많은 차들이 붕붕거리고 그랙션 소리 나는 곳보다 조금 더 시끄러운 곳에서 아무렇지 않게 일을 할 수 있거나 잠을 잘 수 있을 정도의

분이시라면 (견딜 수 있으신 분이시라면) 자기 책상위나 아래에 작업용 워크스테이션을 두어도 상관이 없을 것입니다..

전기 먹는 것은 우선 사무실에 접지가 잘되어 있어야 하고 해당 워크스테이션 파워 크기만큼 견뎌주는 전원이면 됩니다..

대략 GPU 4개가 들어가는 워크스테이션 급이 2000와트 정도의 파워를 1개 혹은 2개 (리던던트 파워 무정전)를 가지고 있고

벽의 파워 플러그 1개가  220V 15A 까지 견디기에 (독립 라인인 경우) 3300W 까지는 이래저래 벽의 파워 플러그 하나로 됩니다..

일반 사무실 환경에서 장시간으로 워크스테이션을 돌릴때 관과하는 것이 장시간 돌리면 먼지가 많이 쌓인다는 것입니다..

대략 몇 개월 단위로는 케이스 열고 먼지 털어줘야 합니다.. 먼지는 컴퓨터 펜의 수명을 갉아먹는 재일 큰 적입니다..
기본적으로 웍스의 idle시 팬소음은 매우매우 조용합니다. 조립컴보다 조용해요. 이게 100%풀로드라고 올라가는게 아니라
크게 3가지 요인에 의해 팬의 rpm이 상승하면서 소음이 느껴지게 됩니다.

1. 워크스테이션/서버는 주변온도에 맞춰서 팬rpm이 조절됩니다.

2. 워크스테이션/서버는 레이드카드/그래픽카드가 장착된 정도에 따라 팬 rpm이 조절됩니다. 예를 들어 hp z440은 평소에는 어떤 cpu를 장착하든 정숙하지만
  pcie슬롯에 레이드카드 몇개 달아주면 소음이 어마어마하게 올라갑니다.

3. 워크스테이션/서버의 소음은  cpu선택에 의해 가장 드라마틱하게 바뀝니다.
    웍스/서버는 cpu의 tj max값을 토대로 그 값에 도달하면 그 이하로 cpu표면 온도를 내리기 위해 팬의 rpm이 올라갑니다.
    (인텔이 표기하는 cpu의 tcase값은 tjmax와 10도이상 차이가 납니다. 실제 팬속 조절은 tcase가 아닌 tjmax를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tj max값은 cpu표면의 특정지점의 온도값으로 cpu마다 다르며 보통  tdp와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코어+ 고클럭일수록  tj max값은 낮아지고' 
    '적은코어+저클럭일수록 tj max값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나 제품의 특성에 따라 갈리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구하기 힘든 240w~300w대의 tdp를 가진 cpu들은 대부분 액랭서버용이라 굉장히 낮은 tj max값(60도대나 그 이하)을 가지고 있습니다.
 
 EX) gold 6149는 16코어에 기본3.1ghz tdp 205w의 제품으로 tj max값이 83도. 83도부터 팬속이 올라갑니다.
      gold 6262v는 24코어에 기본1.9ghz tdp 135w의 제품으로 tj max값이 102도. 102도부터 팬속이 올라갑니다.

이 차이가 실제로 사용해보면 굉장히 큽니다. 잠깐만 돌려도 5분만에 팬속이 확 올라가는것과 하루종일 돌려도 팬속이 그대로인 차이가 발생합니다.
결국 워크스테이션이 너무시끄럽다는 분들은 자신이 쓰는 기종이 노후화 된 것이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높은 tdp와 낮은 tj max값을 가진 cpu를 사용해서 발생되는 소음인 겁니다. 저사양 cpu로 소음이 발생될 이유가 없고 최고사양 cpu로 소음 없이 사용은 힘들다는 겁니다.


## 소음 외에 질문하신 부분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 워크스테이션 설치에 딱히 큰 제한은 없습니다. 많은 gpu장착시 2k~3k인 가정집 콘센트에는 1개의 워크스테이션만 설치해 주세요.
* 메모리는 나중에 추가해도 됩니다. cpu도 1cpu만 설치했다가 나중에 동일모델 추가해도 됩니다. 설치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 렉으로 쌓아도 됩니다. precision 7920 웍스도 타워형 T7920 렉형의 R7920이 따로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서버는 불특정한 다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기능과 데이터의 안정성 여러 서버와의 연계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웍스는 그보다는 소수의 사람만 이용하면서 1대 자체의 절대성능을 추구하는 제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QnA
제목Page 4530/5723
2015-12   1757956   백메가
2014-05   5231241   정은준1
2018-11   3571   나의정체는
2017-06   3571   블랙펄
2017-06   3571   늘파란
2016-03   3571   미수맨
2020-08   3571   Espial
2015-07   3570   voworks
2016-03   3570   lovemiai
2017-05   3570   초보IT
2017-04   3570   나파이강승훈
2015-08   3570   김건우
2018-07   3570   늘파란
2017-04   3570   LINKINPARK
2020-02   3570   검은콩
2016-04   3570   천외천oo노…
2017-08   3570   전산실짬찌
2020-09   3570   뽀뽀중
2018-11   3570   롤빵
2018-09   3570   바부팅이
2018-03   3570   패킷스트림
2019-05   3569   경이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