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266 |
0 |
2014-05
526526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256 |
25 |
2015-12
1790256
1 백메가
|
101201 |
사무실에 a3 컬러레이저 프린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
KindOfBlue |
2017-02 |
6936 |
0 |
2017-02
6936
1 KindOfBlue
|
101200 |
CloudFlare의 "윈도우용" DDNS IP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찾습니다!! (2) |
RIGIDBODY |
2020-08 |
4279 |
0 |
2020-08
4279
1 RIGIDBODY
|
101199 |
mikrotik ap poe되는지 봐주실수 있나요? (2) |
inquisitive |
2018-04 |
3762 |
0 |
2018-04
3762
1 inquisitive
|
101198 |
암드는 잘 몰라서 여쭙니다..이 제품은 인텔의 어느 레벨과 비슷하나요? (6) |
차평석 |
2016-03 |
4421 |
0 |
2016-03
4421
1 차평석
|
101197 |
증권사 api 로 프로그램 짜는 거나 배워볼까 합니다. (12) |
깜박깜박가 |
2020-09 |
4282 |
0 |
2020-09
4282
1 깜박깜박가
|
101196 |
x5460 사용중인데요 (2) |
이리컴 |
2014-12 |
8318 |
0 |
2014-12
8318
1 이리컴
|
101195 |
이런건 어디서 판매를 하는지요? (7) |
쌍cpu |
2017-02 |
5600 |
0 |
2017-02
5600
1 쌍cpu
|
101194 |
PCI 페러럴포트 문의드려봅니다. (7) |
임두환 |
2014-12 |
8074 |
0 |
2014-12
8074
1 임두환
|
101193 |
SC743TQ-865B 하드베이 뒤에 달린 백플랜 어떻게 분리하나요? (6) |
윤영돈 |
2010-09 |
7916 |
0 |
2010-09
7916
1 윤영돈
|
101192 |
장터에 광케이블 (038003740 하고 038003734) 10G 되는건가요 ? (4) |
캔위드 |
2017-02 |
5345 |
0 |
2017-02
5345
1 캔위드
|
101191 |
4bay NAS 추천해주십시요 (2) |
미수맨 |
2016-03 |
3631 |
0 |
2016-03
3631
1 미수맨
|
101190 |
강의나 상대의말을 바로 글자로 하는sound to text가 어느정도수준에서가능하나요 (8) |
slowcity |
2022-03 |
1617 |
0 |
2022-03
1617
1 slowcity
|
101189 |
아마존 직배로 직구한 Renewed HDD에 문제가 있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4) |
신우섭 |
2023-10 |
3456 |
0 |
2023-10
3456
1 신우섭
|
101188 |
산업전기 받는법? (20) |
izegtob |
2016-03 |
7874 |
0 |
2016-03
7874
1 izegtob
|
101187 |
N40L 5.25베이 (2) |
씨형 |
2015-01 |
4592 |
0 |
2015-01
4592
1 씨형
|
101186 |
인텔 제온 cpu 문의드려요, (12) |
모카모카 |
2018-05 |
4575 |
0 |
2018-05
4575
1 모카모카
|
101185 |
HP복합기 M3035 - 13.20.00 PaperJamError... (2) |
오성기 |
2016-03 |
4151 |
0 |
2016-03
4151
1 오성기
|
101184 |
적당한 가격대의 LP 케이스가 있을까요? (5) |
오이꼭지 |
2023-10 |
1485 |
0 |
2023-10
1485
1 오이꼭지
|
101183 |
3d 그래픽 (Catia ) 측정하는 프로그램이 (1) |
신은왜 |
2019-07 |
2867 |
0 |
2019-07
2867
1 신은왜
|
101182 |
Z97메인보드 결함? (5) |
뚜뚜김대원 |
2020-09 |
3829 |
0 |
2020-09
3829
1 뚜뚜김대원
|
원리는 net use 를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돌리며 연결이 되지 않으면 드라이브를 삭제 시켜 버리고 중간에 연결이 살아나면 다시 드라이브를 생성시키게..
장치이름이나 PC이름을 사용하지 말고 IP로 접근. (\\192.168.0.100\sharename)
위 2가지만 제대로 숙지하면 네트워크 액세스 늦어질일 없습니다.
그런데 연결끊긴 네트워크 드러이브 위를 지나면 빡 탐색기가 버벅거리네요.....
그래서 좀더 구글링을 해 보니,
netsh interface tcp set global InitialRto=300
netsh interface tcp set global MaxSynRetransmissions=2
이렇게 하라고 나오네요. (재부팅해도 값은 유지되는듯 합니다.)
혹시 해결하셨는지 모르겠지만, 다른분이라도 참고하시라고 늦게나마 글을 남깁니다.
윈도우7 이전에는 레지스트리에서 하는 방법이 있었는데, 윈도우10에서는 netsh 명령어를 사용하면 됐었다고 합니다.
위 명령어를 조금 더 설명 드리면,
- InitialRto는 응답대기시간인데, 밀리초 단위 입니다. 즉 300은 0.3초입니다. 그리고 300이 최소값 입니다.
- MaxSynRetransmissions는 재시도 횟수인데, 2가 최소값 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0.3초를 3번 수행하니까, 0.9초만에 응답불가가 떨어져야 하는데, 그렇지는 않더라고요. 아마 내부적으로 뭔가 다른게 더 있는듯 합니다.
그래도 시간이 줄어들기는 하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