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348 |
25 |
2015-12
179134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435 |
0 |
2014-05
5266435
1 정은준1
|
101213 |
[질문] 아답터 컨넥터 연결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2선과 3선 입니다. (13) |
나너우리 |
2010-07 |
15730 |
0 |
2010-07
15730
1 나너우리
|
101212 |
사무실에 a3 컬러레이저 프린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
KindOfBlue |
2017-02 |
6939 |
0 |
2017-02
6939
1 KindOfBlue
|
101211 |
CloudFlare의 "윈도우용" DDNS IP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찾습니다!! (2) |
RIGIDBODY |
2020-08 |
4280 |
0 |
2020-08
4280
1 RIGIDBODY
|
101210 |
mikrotik ap poe되는지 봐주실수 있나요? (2) |
inquisitive |
2018-04 |
3762 |
0 |
2018-04
3762
1 inquisitive
|
101209 |
암드는 잘 몰라서 여쭙니다..이 제품은 인텔의 어느 레벨과 비슷하나요? (6) |
차평석 |
2016-03 |
4426 |
0 |
2016-03
4426
1 차평석
|
101208 |
증권사 api 로 프로그램 짜는 거나 배워볼까 합니다. (12) |
깜박깜박가 |
2020-09 |
4283 |
0 |
2020-09
4283
1 깜박깜박가
|
101207 |
x5460 사용중인데요 (2) |
이리컴 |
2014-12 |
8318 |
0 |
2014-12
8318
1 이리컴
|
101206 |
이런건 어디서 판매를 하는지요? (7) |
쌍cpu |
2017-02 |
5601 |
0 |
2017-02
5601
1 쌍cpu
|
101205 |
PCI 페러럴포트 문의드려봅니다. (7) |
임두환 |
2014-12 |
8076 |
0 |
2014-12
8076
1 임두환
|
101204 |
SC743TQ-865B 하드베이 뒤에 달린 백플랜 어떻게 분리하나요? (6) |
윤영돈 |
2010-09 |
7916 |
0 |
2010-09
7916
1 윤영돈
|
101203 |
장터에 광케이블 (038003740 하고 038003734) 10G 되는건가요 ? (4) |
캔위드 |
2017-02 |
5346 |
0 |
2017-02
5346
1 캔위드
|
101202 |
4bay NAS 추천해주십시요 (2) |
미수맨 |
2016-03 |
3632 |
0 |
2016-03
3632
1 미수맨
|
101201 |
강의나 상대의말을 바로 글자로 하는sound to text가 어느정도수준에서가능하나요 (8) |
slowcity |
2022-03 |
1620 |
0 |
2022-03
1620
1 slowcity
|
101200 |
아마존 직배로 직구한 Renewed HDD에 문제가 있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4) |
신우섭 |
2023-10 |
3459 |
0 |
2023-10
3459
1 신우섭
|
101199 |
산업전기 받는법? (20) |
izegtob |
2016-03 |
7883 |
0 |
2016-03
7883
1 izegtob
|
101198 |
N40L 5.25베이 (2) |
씨형 |
2015-01 |
4592 |
0 |
2015-01
4592
1 씨형
|
101197 |
인텔 제온 cpu 문의드려요, (12) |
모카모카 |
2018-05 |
4577 |
0 |
2018-05
4577
1 모카모카
|
101196 |
HP복합기 M3035 - 13.20.00 PaperJamError... (2) |
오성기 |
2016-03 |
4154 |
0 |
2016-03
4154
1 오성기
|
101195 |
적당한 가격대의 LP 케이스가 있을까요? (5) |
오이꼭지 |
2023-10 |
1489 |
0 |
2023-10
1489
1 오이꼭지
|
101194 |
3d 그래픽 (Catia ) 측정하는 프로그램이 (1) |
신은왜 |
2019-07 |
2868 |
0 |
2019-07
2868
1 신은왜
|
ssd 보다는 hdd에 한표 드립니다
300TB 를 구축시 SSD / HDD 각각 어느 회사의
제품이나 솔류션을 생각하시나요??
SSD로 300TB 만든다는게 HDD에 비하면 돈이 이만 저만 드는게 아니고 제조사에서도 성능및 안정성을 보장하려면 HDD보다는
쉽지 않으리라고 생각합니다..
RAID 장비에서 SSD는 아직은 HDD보다는 쉽게 사용되기는 쉽지 않다고 봅니다.. (계속 문제점을 해결해 가긴 하겠지만요..)
에러 없이 잘 기록했는데 나중에 읽어들이지 못하면 데이터가 날아갑니다.
* uncorrectable bit-error rate (UBER)
A metric for data corruption rate equal to the number of data errors per bit read after applying any specified error-correction method.
References:
JESD22-A117B, 3/09
보통의 경우 장치에 따른 UBER는
일반용 HDD : 1 sector per 10^14 bits read
기업용 SATA / NL SAS HDD : 1 sector per 10^15 bits read
기업용 SAS HDD : 1 sector per 10^16 bits read
기업용 SSD : 1 sector per 10^17 bits read
일반용 SSD는 제각각인데, specification에 UBER 표기가 안되어 있는 것들도 많습니다. 표기가 되어 있는지 찾아보고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용 HDD : 1 sector per 10^14 bits read
의미는 약 11테라바이트를 읽어들이면 한 섹터에서 에러가 날 확률이라는 의미입니다.
기업용 SSD는 11,000테라바이트를 읽어들이면 한 섹터에서 에러가 날 확률
read error 발생을 대비하는 방법은 RAID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RAID 1, RAID 5, RAID 6
RAID 10, RAID 50, RAID 60
개별 장치에서 read error가 나더라도 다른 곳에서 읽어들인 후 그 부분을 마킹하고 다시 써 놓으면 됩니다.(디스크 레벨이 아니라 raid 레벨의 마킹)
이것들 중에서 raid 5는 요즈음에는 사용하지 말라고들 권고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몇십메가바이트 혹은 몇백 메가바이트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던 때에는 별 문제가 없었는데, 요즈음은 하드디스크 용량이 워낙 커지는 바람에 하나가 탈락되어 리빌딩하는 과정에서 조질 확률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하나가 탈락되기 전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에러가 나더라도 큰 상관은 없습니다. 그냥 계속 사용할 수 있죠. 그러나 일단 하나가 탈락하여 리빌딩 과정에 들어가면 방법이 없습니다. 만약에 일반 하드디스크로 수십 수백 테라바이트의 RAID 5를 구축했다면 리빌딩시 조질 확률이 안 조질 확률보다 높습니다. 그래서 사용하지 말라는 겁니다.(리빌딩시 조질 확률은 용량에 비례) 재수 좋으면 안 조질 수도 있겠죠.
기업용 SSD의 경우에는 raid 5도 괜찮습니다. 하드디스크보다 용량도 작고 UBER 값도 훨씬 작으니까요.
raid 얘기하면 꼭 백업 얘기하는 분들이 있는데, raid는 raid이고 백업은 백업입니다. 백업은 SSD가 아닌 값 싼 하드디스크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개인적으로 저는 하드디스크를 raid 6로 묶어 놓고 거기에 백업을 합니다. 단일디스크는 불안하기도 하고 용량도 작아서요.
raid 6는 raid 5에 비해 두배 안전한 것이 아니라 보통 수십배 정도 안전합니다.
요점은 SSD에서 URE 발생은 읽는 양에 비례 한다는 가정이 틀렸다는 것이었습니다. 이후 비슷한 다른 논문들을 보지 못하여 신뢰성에는 의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초자료가 없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분석한 방법이 옳았는지 제대로 검증하기가 어렵다는 면에서 크게 신뢰하기는 어려웠습니다.
이후 ssd 콘트롤러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기 때문에 각 제품의 specification에 나오는 UBER 값을 신뢰하는 편입니다. 그것 외에 예측에 필요한 근거를 삼을만한 뭐가 없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추가로 UBER에 대한 정의는 확실하게 이해했는데 이 UBER이라는게 정확히 일반사용자들에게는 어떻게 내비춰지는지 궁금하네요
예를 들어 제가 사진을 찍어 SSD에 꽉 채워 저장했을때, 수정할수없는 오류가 발생하면 SSD 자체를 읽지 못하는건가요? 아니면 오류가 발생한 블럭의 사진만 읽어내질 못하는걸까요? 이 부분에 대해 사용자들이 확인할수있는방법들이 있을까요?
메모리셀 나가버리면 데이터는 공중분해 된다고 보셔도 됩니다..
저가형 SSD는 콘트롤러 칩 자체가 고장이 나버리는 경우가 더 많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SSD에서는 HDD와 달리 트림이란 기능이 존재하는데 이것 때문에 보통 데이터 복구하는 회사에 SSD가 문제가 생겨서
데이터 복구를 의뢰하여도 복구가 거의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하게 이야기 하면 SSD는 복구가 거의 안된다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잦은 읽고 쓰기을 물어 보셨는데.. 당연이 하드가 안정적입니다.
970 pro 1TB의 내구성이 700 TBW 쯤 될겁니다..
Raid1 으로 구성 아주빈번한 웹서버 였는데 3년 쓰니까 죽어서 사라졌습니다..
복구실패... 그냥 사라졌습니다.
일반적 개인 사용자나 가벼운 서버는 내구성 그리 중요하지 않은데요.. 3년 내구연한으로 계산..
입출력이 빈번한 서버는 고려를 해야합니다..
위의 300TB 수천개의 파일 정도면 아주 가벼운 편입니다.
SSD는 각 셀당 2만번의 수명이 있으니 고려하시고요..
안정적인? 튼튼한? 저장매체?
여전히 Hard Raid system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