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087 |
25 |
2015-12
178908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149 |
0 |
2014-05
5264149
1 정은준1
|
101391 |
인터넷없이 직접 제어되는 스마트스위치가 있을까요? (11) |
이영규 |
2021-03 |
4484 |
0 |
2021-03
4484
1 이영규
|
101390 |
cpu 쿨러775 771 호환 문의 (5) |
문영식 |
2014-02 |
7926 |
0 |
2014-02
7926
1 문영식
|
101389 |
거실 벽 타공방법? (4) |
susemi |
2018-10 |
6117 |
0 |
2018-10
6117
1 susemi
|
101388 |
High strength fiber를 아시거나 제작 가능한곳 있나요? (2) |
김동혁1 |
2018-10 |
3482 |
0 |
2018-10
3482
1 김동혁1
|
101387 |
DVD 여러개를 동시에 복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15) |
VSPress |
2022-11 |
2095 |
0 |
2022-11
2095
1 VSPress
|
101386 |
배정밀도 단정밀도에 대한 질문입니다. (2) |
한가한이수진 |
2015-07 |
9662 |
0 |
2015-07
9662
1 한가한이수진
|
101385 |
Sas케이블 변환 어댑터 문의 (13) |
초호기 |
2018-11 |
3849 |
0 |
2018-11
3849
1 초호기
|
101384 |
윈도우2008 네트웍 공유 관련 문의 드립니다. (8) |
날개승호 |
2012-01 |
7590 |
0 |
2012-01
7590
1 날개승호
|
101383 |
ThinkPad 노트북 키보드 트윅 문의 (3) |
DrJK |
2018-11 |
4419 |
0 |
2018-11
4419
1 DrJK
|
101382 |
[답글] pci-e 방식인가요? mvme 방식 인가요? (6) |
Sakura24 |
2024-07 |
1612 |
0 |
2024-07
1612
1 Sakura24
|
101381 |
Myricom 10GbE 써보신분 계신가요? (5) |
미수맨 |
2012-02 |
5748 |
0 |
2012-02
5748
1 미수맨
|
101380 |
엑셀파일 복구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
Carolus |
2014-03 |
6597 |
0 |
2014-03
6597
1 Carolus
|
101379 |
가스 보일러 전문가 있으신가요~? (9) |
행아범 |
2017-08 |
7114 |
0 |
2017-08
7114
1 행아범
|
101378 |
다나와 중고장터에서 파는 윈도우시디 믿을만할까요? |
로그아웃 |
2012-02 |
7193 |
0 |
2012-02
7193
1 로그아웃
|
101377 |
미크로틱 초보자도 이런 셋팅 할 수 있을까요? (3) |
나비z |
2014-03 |
3812 |
0 |
2014-03
3812
1 나비z
|
101376 |
린나이 RC31-25MFK 보일러인데...난방이 안됩니다..물보충하면 돌아가다 물세고 멈춥… (4) |
늘파란 |
2018-11 |
4624 |
0 |
2018-11
4624
1 늘파란
|
101375 |
우분투 설치 관련 질문좀 드립니다.. (9) |
FreeBSD |
2012-02 |
5266 |
0 |
2012-02
5266
1 FreeBSD
|
101374 |
서버용 PC2-6400 4GB Reg Ecc 메모리 사용 가능한 웍 알려 주세요. (2) |
실버윙 |
2015-07 |
3754 |
0 |
2015-07
3754
1 실버윙
|
101373 |
초보질문 (9) |
Nikon |
2014-03 |
3598 |
0 |
2014-03
3598
1 Nikon
|
101372 |
중고서버 관련 질문 (13) |
가상화공부중 |
2018-11 |
3198 |
0 |
2018-11
3198
1 가상화공부중
|
utp를 추가로 넣어줘야합니다.
잘모르시면 업체에 의뢰하시면됩니다
인터넷기사가 작업했으니 인터넷기사에게 옮겨달라는게 가장빠릅니다.
이미 모듈러 커넥터도 연결해놨네요.
랜선을 연결하려면 UTP 1가닥인 8가닥이 방으로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저기서 어느선이 어느 방으로 연결되었는지부터 구분해서 꼬리표 붙이시고
방에 8가닥이 다 들어 온다면 전화선 단자 빼버리고 RJ45 키스톤 잭과 LAN 월플레이트를 구입해서 설치해야 합니다..
그다음 단자함과 외부인터넷 라인쪽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전기전자쪽 작업을 못하신다면 인터넷 공급업체에 기사 출장 요구해서 방까지 인터넷선을 끌어 달라고 해야 합니다..
돈은 들겠지만 그쪽이 재일 편할 것입니다..
인터넷 업체 기사도 본인 스케쥴들이 있기에 스켸쥴 악속 잘 잡고 해야 합니다..
사용자와 기사가 함께 작업해야 작업후 문제나 아쉬운 게 확인되면 빨리 대처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해당 방에 전화선은 포기하고 단자함에 모뎀 넣으면 좋을건데 저거 선택을 하지 않으면 여러모로 피곤합니다. 그냥 선 끌어버리는게 맘편해요.
2P만 들어가게 하면 기가속도는 포기해야되고...
저번에 누가 UTP 둥근게 아닌 납작한 케이블 보여주든데 그걸로 하면 방문 닫아도 선 안낑길거 같던데 그걸로 끌어다 쓰면 어떨지?...
전 예전에 인터넷 이전하면서 기사분이 방에 유선으로 따로 쓰고 싶다고 하니 친절하게 선 끌어주더라구요.
이런 이슈때문에 건물 지을때 통신라인 두개씩 들어가야됨.
방과 통신단자함 사이에 UTP 케이블을 새로 포설해야 한다면 많이 힘들어 하시던지 못한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된다고 하시면 명확한 이유라도 말해 달라고 하세요..
본래 맨처음 전선 포설은 건물 지을때 하는 것인지라..
대부분 저런 배선은 2가닥 짜리 유선전화를 위한 것입니다. 요즘은 쓰이지 않죠.
재수가 좋아 8가닥이 전부 방마다 모두 연결되어 있기를 기도하는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인터냇 배선 재공사에 해야죠.
무선 신호 강해집니다.
방마다 안테나 단자 옆에 랜포트가 있다면
방마다 랜선이 단자함으로 들어 온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간단하게 생각해서
거실 공유기 랜선을 거실벽 랜포트에 연결하면 단자함으로 넘어갑니다. 단자함에서 거실공유기에서 넘어온 랜선을 찾아서 본인 방으로 들어가는 랜선에 연결하면 본인방 랜 콘센트에 인터넷이 들어 오게되는거죠
랜선에 노트북이나 컴퓨터에 연결하면 인터넷이 공유기에 바로 연결한거랑 같습니다.
요즘은 FTTH 써서 전화선 안쓸테고 전화선 쓴다고 해도
랜선 1236번 선만 넘겨서 100메가로 써도 무방합니다.
눈에 보이는 랜선만해도 6~7개입니다.
테스터기 부저 사용해서 방에 랜선 묶어놓고 단자함에서찍어서 찾으면 어렵지 않습니다.
저런 단자함 있다는 자체가 방마다 8가닥 랜선이 들어간다고 봐야죠~
저도 2~30년 된 빌라에서 사진과 같은 단자함에서 작업했습니다.
왼쪽 상단 8가닥 연결한거랑 파란색 터미널로 2가닥씩 찝은게 한 파이프로 넘어간걸로 봐서 거실쪽에서 넘어온거 같습니다.
방마다 랜선이 두가닥 들어갈 필요있나요?
방에서 유선 전화 쓸일 없을테고 쓴다고 해도 랜선 8가닥중 1236번 선만 연결해서 100메가 쓰고 2선은 전화라인으로 써도 무방합니다.
단자함에 전기 콘센트없이 공유기 설치방법
거실에 랜선8가닥중 4선 1236번만 쓰고 2선은 전화선 2선은 5V 아답터에 연결해서 단자함으로 넘깁니다.
단자함에서 아답터에 연결한 2선은 짹에 연결해서 공유기 전원으로 쓰고 각방 랜선RJ45찝어서 공유기에서 각방 으로 뿌려주면 전체방 다 사용 할수 있는 편법도 있었습니다.
속도는 4가닥이라 100메가만 사용
예전엔 100메가 주력이라 문제없이 사용했습니다.
ADSL 시대때 전화와 ADSL을 함께 써야했는데 그 때 초고속 인터넷 건물이라는 인증을 받으려면 아파트 호당 UTP 1가닥이면 되었기 때문입니다..
약 20여년전 옛날이죠..
현재는 아마 그 기준이 마니 올라가 있긴 할 것입니다..
그래서 20여년 전 지어진 아파트 건물 같은 곳에는 UTP 1가닥 밖에 안 들어오고 있고 (케이블 보수 공사 하는 것 쉬운 일 아닙니다..)
통신 기기는 발달하여 반기가 가 4가닥 선으로 가능해졌으며 유선전화는 사라져서 인터넷 전화로 바뀌었죠..
따라서 현재는 UTP 1가닥으로는 소비자만족을 겨우 하는 시대가 되긴 하였습니다..
저희집도 iptv 100메가로 잘 보고있습니다.
지금 사시는곳이 빌라라고 하면 광랜이 외부벽 창가쪽으로 들어와서. 모뎀으로 연결된다고 가정하면 거실은 기가광랜으로 TV랑 연결되서 문제 없을테고 벽쪽 랜선8가닥 사용해서 단자함에서 방으로 넘기면 기가광랜 쓸수 있겠죠
제 예상이지만 단자함에 랜선 2개 들어가는 파이프가 2개정도 보이는데 방이면 몰라도 거실에는 랜선이 2개 들어갈 확률이 높습니다.
확인해보면 알수있겠죠.
여기서 변수는 거실 랜소켓 커버 열어보시고 랜선 1개만 들어 온다면
요즘은 개인마다 핸드폰이 있다보니 집 유선전화 없애는 추세라 기본요금 나가는거 아까워서 저희집은 해지했습니다.
글로 쓸려니 어렵네요~
통신등급 1등급(또는 특등급)아파트는 큰 문제가 없으나,
빌라나 구축 아파트는 몇가지 제약이 있습니다. (또는 이미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한 곳도...)
한동안 이 작업으로 밥벌이를 했었고, 아파트 한동 전체를 진행한 적도 있습니다. (작업은 성공적이였지만, 제 통장 만족도는 별루였다는..ㅠㅠ)
컨넥팅블록 갯수를 세어보면 5개
그럼 최대 5군데 최소 4군데 4p가 포설되어 있단 소린데
외부에서 들어오는 인입선을 2번 컨넥팅 블록에 결선한 순서대로 해보면 본인이 원하는 방에 인터넷 신호가 들어올겁니다
한 3천원 하는 삑삑이 있으면 더 빨리 할 수도 있겠지만
저 같은 사람 부르면 20만원들어요
그냥 쿨하게 직접 공부해서 직접 직업 해보세요 큰 기술 아닙니다
4P 케이블과 컨넥팅 블록을 연결할때 칼을 뒤통수로 꾹 누르면 쑥 들어갑니다
1천원정도 하는 공구 있으면 편하긴 한데 카터 칼날로도 해결 됩니다
집전체에서 빵빵 터지고 음영지역도 없습니다.
저희집도 구축인데 전화선 배관에 케이블tv케이블까지 임의로 인입해놔서 (망해라 티브로브...) 공사가 불가능했는데..
매시wifi 구성하고 신경끄고 편하게 쓰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