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유난로의 완전연소 조건

Sikieiki   
   조회 3815   추천 0    

 얼마전 알리에서 등유난로를 구매했습니다

ts77 의 카피모델입니다만

이 난로를 쓰면서 의문이 드는게

완전연소는 푸른불꽃인데 연소망 안에서 붉은 불꽃은 불완전 연소인가


입니다

가운데 불꽃은 붉은색 밖으로 올라오면 푸른색으로 바뀌는 형태의 불꽃이 생성되어있습니다만

연소통 내부에서 공기가 공급되고 연소가 되므로

연소망 내부 전체에 붉은 불꽃이 나면 안된다 라는 의견과

외부로 올라올때 푸른색이면 전부 완전 연소되고 난것이니 연소망 내부의 붉은불꽃은 상관이 없다


라는 의견 2가지인데

과연 어느쪽이 Т쩝모르겠네요

가운데 산소공급부위를 좀더 크게 확관을 해볼까 고민도 중입니다....


어찌보면 목숨과 직결되는? 사항이라 찜찜하네요

Yesterday is history, tomorrow is a mystery, So Today is a present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불꽃막대 2021-11
불완전 연소든 완전 연소든 위험한것은 매한가지입니다
일산화탄소등의 유해가스가 많이 발생하느냐 아니냐의 차이일뿐입니다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환기만이 살길입니다..
추가적으로 완전연소의 이점은 높은 연비와 적은 산소의 소비입니다..
     
Sikieiki 2021-11
환기는 항상 실시합니다만 한번 신경쓰니 계속 신경쓰이게되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안형곤 2021-11
이런쪽에 관심이 많으시나보네요 ^^

얼굴함 봅시당~!
화정큐삼 2021-11
수년전 동계 캠핑을 자주갔었기에 석유난로는 필수품였습니다.
당시 캠퍼들에게 인기가 많았던 파세코 난로구요.
텐트안의 환경이라 집안과는 조금 다른 조건이긴 한데요.
외부 공기 순환에 비교적 유리한 인디언텐트라 불리는 면재질의 TP텐트에서 주로 사용했습니다.
최상단엔 굴뚝구멍이 있어서 늘상 환기가 되어 있었고
대신 중간에 석유가 다 떨어져서 불이 꺼지지 않도록만 주의 했습니다.
연로가 다되서 불이 꺼지는 시점과 불을 켜는 시점이 불완전 연소가 제일 심합니다.


QnA
제목Page 1347/5708
2015-12   1677373   백메가
2014-05   5143178   정은준1
2021-03   3683   무쏘뿔처럼
2015-01   3683   불무골
2018-12   3683   stones
2016-02   3684   이상윤SY
2020-07   3684   DDDIE
2015-04   3684   Win31
2016-10   3684   임시현
2014-05   3684   문대형
2014-03   3684   황진우
2016-01   3684   품하
2019-06   3684   땡큐베리감솨
2020-04   3684   comduck
2017-08   3684   정은준1
2019-04   3684   수퍼싸이언
2018-07   3684   Olorin
2023-04   3684   여고생이라…
2017-10   3684   루울루
2016-08   3684   패킷스트림
2018-03   3684   분당김동수
2019-12   3685   린드버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