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2361 |
25 |
2015-12
178236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7571 |
0 |
2014-05
5257571
1 정은준1
|
101417 |
SSD 인식불량일때 데이터복원가능여부 (1) |
Analyst |
2021-02 |
2777 |
0 |
2021-02
2777
1 Analyst
|
101416 |
속도 저하문제 (1) |
EYESSHOT |
2019-03 |
2777 |
0 |
2019-03
2777
1 EYESSHOT
|
101415 |
HP Microserver Gen8 intelligent provisioning 오류? (3) |
붉은시월 |
2024-04 |
2777 |
0 |
2024-04
2777
1 붉은시월
|
101414 |
vmware pro 버전 업 |
무아 |
2018-11 |
2777 |
0 |
2018-11
2777
1 무아
|
101413 |
서버 첫 조립 대략난감 (1) |
박문형 |
2019-05 |
2777 |
0 |
2019-05
2777
1 박문형
|
101412 |
Ide to sata전원케이블 (3) |
ParkB7 |
2021-12 |
2777 |
0 |
2021-12
2777
1 ParkB7
|
101411 |
이어폰 블루투스는 컴과 핸폰이 동시에 연결이 어려운가요? (2) |
미수맨 |
2022-11 |
2777 |
0 |
2022-11
2777
1 미수맨
|
101410 |
병행수입 CPU 보증기간 문의 (9) |
김준유 |
2021-12 |
2777 |
0 |
2021-12
2777
1 김준유
|
101409 |
디렉터리와 디렉토리 (6) |
미나리나물 |
2018-12 |
2778 |
0 |
2018-12
2778
1 미나리나물
|
101408 |
CD DOS 부팅 (10) |
새내기 |
2024-02 |
2778 |
0 |
2024-02
2778
1 새내기
|
101407 |
어떤 노트북이 좋을까요? (가성비X, 애플 X) (10) |
nel78 |
2021-11 |
2778 |
0 |
2021-11
2778
1 nel78
|
101406 |
제온 파이 장착? (6) |
GPGPU |
2020-11 |
2778 |
0 |
2020-11
2778
1 GPGPU
|
101405 |
삼성 레이저프린터 출력 이상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8) |
박우열 |
2023-05 |
2778 |
0 |
2023-05
2778
1 박우열
|
101404 |
지상파 디지털 채널만 켜면 TV가 재부팅되는 현상. (2) |
봉래 |
2020-05 |
2778 |
1 |
2020-05
2778
1 봉래
|
101403 |
이건 무슨 현상이라고 해야하나요.. (4) |
라이젠 |
2019-03 |
2778 |
0 |
2019-03
2778
1 라이젠
|
101402 |
RTX3080, 3090 장착가능한 워크스테이션 문의드립니다. (4) |
앙드레준 |
2021-04 |
2778 |
0 |
2021-04
2778
1 앙드레준
|
101401 |
m72e DP 출력 드라이브 찾습니다. (5) |
별왕 |
2020-02 |
2778 |
0 |
2020-02
2778
1 별왕
|
101400 |
디스크 드라이브 상태가 5%인데... (2) |
모자란트 |
2019-02 |
2778 |
0 |
2019-02
2778
1 모자란트
|
101399 |
X3550 m3 ibm (6) |
배가나왔어 |
2019-07 |
2778 |
0 |
2019-07
2778
1 배가나왔어
|
101398 |
IODRIVE2 의 사용 내구도 확인할수 있는 프로그램이 따로 있을까요? (2) |
손용호 |
2019-12 |
2778 |
0 |
2019-12
2778
1 손용호
|
구리선은 노이즈에 약한게 문제여서
지금까지 광으로 구현되고 있었습니다.
가장 큰 이유가 Latency 문제 였습니다.
구리는 응답성이 느리거든요.
그래서 고급 시스템에 주가 될수 없었습니다.
울트라레이턴시 기술이 나왔다고 하는데..
언제부터 적용될지...
아직은 인피니벤드에 적수가 될수 없습니다.
cat7도 보면 케이블이 굵은게 있고 가늘거나 얇은게 있는데 성능은 같다고 하니
굵은게 좋은줄 알았던 제 생각이 헷갈려서 좀 질의드려보았습니다.
아 그런데 DAC케이블도 통구리... 도 있지 않나요? ㅎㅎ
10G UTP 제품들도 열마니 나네 / 레이턴시 늦네 / 속도가 재대로 안나오네 말들이 많은데요..
https://m.blog.naver.com/ohminy11/221774680811
https://www.youtube.com/watch?v=2HLWGlVKH-Y
cat7 보다 대역폭이 좋아졌으니 뭐 레이턴시가 좋아졌다던지.. 그런게 있어야할텐데
크게 체감올것 같진 않아서 용도가 뭔지 좀 궁금했습니다.
cat7 로 10g망 붙이면 1g망 보단 붙는 속도가 좀 느린데 이런게 좀 개선되려나요
하나 사서 테스트해봐야겠네요!
10GbE 이상에서 DAC말고는 그닥 신뢰성도 좋지 않을 듯 한데..
속도가 빨라지면 그만큼 열도 많이 나게되고, 신호 오염에 대한 문제 때문에 jiiter 값이 커져서 속도무넺보다 전송 효율에 문제가 생겨서 그리 유용할 것 같지는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