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서버 구매하려고 합니다.
가용금액은 몇년동안 영혼까지 끌어 모은 천만원입니다.
차도 없는 꾸벅이인데 모은 자금으로 서버 사려고 합니다.
총판은 비싼 거 같은데, 그럼 어디서 사야지 잘 사는건지요.
델 HP 레노버 (브랜드 상관 무) 중에 세제품 구매 하려고 합니다.
아시는 분들 쪽지 한번만 제발 부탁드리겠습니다.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너무 다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가 단순하게 작성을 하여서 구체적으로 적어 달라고 하셔서 구체적으로 적습니다. 한번만 더 읽어주세요. 감사합니다
A. 사양
본체 상관없음 (브랜드랑 모델에 따라서 가격 차이 많이 나던데 왜 그런가요. 저는 브랜드 상관없이 저렴하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CPU 2개, 골드나 플래티넘 중 현재 가성비있게 구할 수 있는 녀석 생각 중
12 코어 이상
2.3GHz 이상
램 128 이상
연구실 빈 사무실에 설치 예정 (랙형, 타워형 상관무. 사실 차이점 잘 모르겠습니다)
(연구실에 랙이 있어서 거기에 넣을 거 같은데, 1-2년 뒤에는 집으로 올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B. 사용 목적
위키피아+지식인 같은 웹 서비스 배포 (나중엔 연구용으로도 쓸 거 같습니다)
접속자 5천 ~ 1만 정도 예상 (최대 5만명 예상)
C. 새거 사려고 하는 이유
- 1인 소프트웨어 개발자고, AWS만 사용해보고, 물리서버는 처음입니다.
- 저도 원래 새제품은 가격이 높아서 손이 덜덜 떨리는데… 제가 물리 서버는 잘 몰라서, AS 같은 거 잘되는 게 중요한 거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다른 글보니, 중고는 복불복 이라고 하던데, 제가 그거 확인 잘 못할 거 같아서요… 주변에 서버 같이 사러 가 줄 사람도 없고요ㅜ
- 개봉만한 새제품 있으면, 사실 그걸 제일 구매하고 싶은데, 어디서 구매해야하나요.
D. 질문
1. 저 스펙이면, 예상 금액과 어느정도의 모델을 사는게 괜찮은가요?
2. 찰지게 서버 사는 방법 공유 부탁드립니다.
3. 브랜드 마다 AS 퀄리티가 다른가요?
4. 브랜드랑 모델에 따라서 가격 차이 많이 나던데 왜 그런가요. 저는 브랜드 상관없이 저렴하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5. 무서운데 중고 사는게 나을지요…
그리고 동시접속자수도요..
집이나 사무실에는 네트워크 대역폭 때문에 못둘 것 같고 네트워크 트래픽 가격도 꽤 나갑니다..
택스트 기반이면 네트워크 트래픽이 얼마 안되지만 사진 동영상 같은 것 걸리면 용량도 그렇고 트래픽도 장난 아니게 됩니다..
트래픽은 어느정도 나올지 예상이 잘 안되네요. 좀 나올 거 같아서 영상은 빼고 텍스트 사진 기반으로 할 예정입니다. 약간 영상 없는 인스타그램 같다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네트워크는 기업선 하나 깔려고 합니다.
네트워크 기업선도 가격이 여러가지입니다..
그리고 IP도 사야 하고 방화벽도 구축해야 하고 여러가지 많습니다..
동접 늘어나면 서버 더 구축할 예정입니다.
순수 프로그래머로써 아예 몰라도 될수도 있겠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서버 및 시스템 엔지니어가 필요한 상황인 듯 합니다..
저런 서비스 운용하려면 작더라도 거의 팀급이 필요합니다..
호스팅회사에서 호스팅 서비스를 받던지 (서버호스팅이든 가상 서버호스팅이든)
아니면 AWS 를 계속 사용하시던지 하는게 더 나아 보입니다..
구매하기로 마음 먹어서요. 혹시 조금만 도와주실 수 없으실지요.
저 성능대로 모델이나 가격이 어느정도면 괜찮은지 여쭈어 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파란컴퓨터라고 델 서버 취급 가능한 곳입니다..
R740 정도 에서 견적 받으시면 됩니다..
문제는 코로나랑 중국공장 전기부족등으로 전세계에 재고가 거의 없다 시피합니다..
견적 주면 다행입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견적서의 가격이 변해서 가격이 더 올라갈 확률이 더 높습니다.. (코로나 / 재고 부족 /공장 스탑 등등)
위의 컴퓨터 스팩으로는 견적을 내기가 거의 어려우며 얼핏 보면
제온 플레티넘 3세대 CPU 1개당 대략 2000만원
본체랑 이거저거 해서 대략 1500만원
그러면 5500만원 정도 나오는데 1대 꾸미는데 4000~5000만원 정도 되지 않을까요??
제온 플레티넘 고집하면 저렇게 됩니다..
그리고 아마도 주문해서 선금 넣고 발주 넣으면 물건 받는데 몇달 걸릴겁니다..
이게 옛날에 떠들었던 상황들입니다..
현재는 이것보다 상황이 더 안 좋습니다..
델 본사 쇼핑몰에는 팔 것이 없는지 판매 제품 리스트와 가격은 아예 없고 견적 받습니다만 있더군요..
3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모델표
https://www.cpu-world.com/CPUs/Xeon/Intel-Xeon%208280.html
CPU-WORLD 에 나오는 스케일러블 2세대 8280 자료
재일 밑에 각 모델표와 가격이 나옴
달라 가격 계산법 : 달라 x 기준환율 x 1.1(부가세) + 운송료
CPU-WORLD 에 제 3세대 스케일러블 제온이 등재가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아직 생산이 재대로 안이루어졌을수도 있네요..
즉 모델명만 잔뜩있고 판매 자체가 아직 안 될수도 있습니다..
렉 타입은 사이즈가 1U. 2U, 3U, 4U 등이 있는데 (높이 차이) 공통적으로 렉에 넣을수 있도록 모양이 얇고 넓적하게 생겼습니다. 모양이 궁금하시다면 여기 장터 판매 게시판에서 1u, 2u 등으로 검색해보세요. 전용 렉 40칸 정도에 서버들을 한꺼번에 많이 쌓을때 쓰는것이고 패시브 히트싱크에 작은 펜을 세게 돌려서 불어내야 하는 구조라서 소음이 꽤 있는 편이기에 혹시라도 집으로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면 렉 타입보다는 세워 놓을수 있는 (일반 데스크탑 컴퓨터 보다는 조금 더 큰) 타워형이 나을 것 같습니다.
필요한 사양이야 AWS 에서 쓰시던 사양과 비교해보면 되겠지만..... 서버를 무조건 1대로 구축해야 되나요? 혹시라도 서버를 돌리다가 중단될 것을 대비해서 백업 서버도 돌려야 되고.... 컴퓨터 라는 것이 가격이 2배라고 성능이 2배가 되지 않습니다. 제온 시피유의 세대 별로 성능 차이도 10프로 내외이고... 현재 반도체 수급에 문제가 있어서 구하기도 힘든 시점이라....
서비스를 분산해서 구축이 가능하다면 여러대로 세팅하는게 좋구요..... 적당한 (가능한 연식이 짧고 AS 가 남아 있는) 중고로 구해서 해보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1대 구해서 해보고 필요하면 늘려가는 식으로..... 중고라도 초기 불량만 아니면 고장이 잘 나는 편이 아니고... 어차피 새것도 제조사 AS 기간 끝나면 고장나는건 복불복으로 똑같습니다.
목사님 서버 벤치마킹 및 도움 구하시는 것도 방법인듯 합니다
전 그 돈 아끼고 중고 동일 서버 여러대 사보고 해볼꺼 다해본 후 새거 구매해도 늦지 않을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동일 서버 여러대 있으면 자체 서비스가 됩니다 ^^ 공부도 될꺼구요
골드 플래티넘 필요없구요. 동시접속자 5천명 이상 만들수 있는 능력이면 투자할 사람 널렸습니다.
일단 구형 10만원짜리 서버로도 구축가능한데 천천히 늘려도 아무 상관없고... 사이트의 질이 중요하지 하드웨어는 나중 일입니다.
이게 핵심이라고 봅니다.
고사양의 안정적인 서버는 트래픽이 는 다음에 고민해도 좋을듯합니다.
그리고 컨트롤 어려우시면 빠릿빠릿한 PC로 서비스하는것도 좋습니다.
어차피 일반사무실의 전기나 네트웍은 IDC의 안정성과 견줄 수 없습니다.
이래저래 가끔 죽을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다루기 쉬운 PC를 추천합니다.
파워와 보드만 쓸만하게 고르세요.
가끔씩 재부팅해주면 됩니다.
DELL R740
Silver 4310 (12Core, 2.1GHz) 2개, H750 Raid Controller, 480G SSD, 10/25G NIC 2개, 메모리 기본 (8G 2개), ProSupport2 (24x7x4시간 3년 짜리)
를 500에 구매하겠습니다.
여기에 SSD, Memory를 장터에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대략 700 선에서 구매하실 수 있을겁니다.
메모리, SSD 추가정도는 AS 받을때 크게 문제삼지 않습니다.
1. 저 스펙이면, 예상 금액과 어느정도의 모델을 사는게 괜찮은가요?
24Core면 Silver로 해도 괜찬을것 같구요
DELL R740 정도가 가장 무난할것 같습니다
2. 찰지게 서버 사는 방법 공유 부탁드립니다.
없습니다.
3. 브랜드 마다 AS 퀄리티가 다른가요?
HP가 가장 그지같구요, Lenovo는 그때그때 다르구요, DELL은 파트는 빨랑빨랑 가져다 줍니다.
대리점마다 좀 다르긴 한데 1대 구매하는 고객한테 신경 많이 써주는 대리점/총판은 없습니다.
4. 브랜드랑 모델에 따라서 가격 차이 많이 나던데 왜 그런가요. 저는 브랜드 상관없이 저렴하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요즘 좋은모델의 기준은 확장성입니다.
GPU가 몇개 달리는지 등
그런데 CPU등이 비싸서 모델에 따른 가격차이가 별로 없습니다.
5. 무서운데 중고 사는게 나을지요…
새것같은 중고가 가끔 올라옵니다.
그 연구실이 평소에 소음이 많은 곳 (서버 같은 장비가 많아서 원래 시끄러운 곳) 이라면 상관이 없겠지만
랙케비넷 있다고 그냥 넣었다가 연구실 사람들에게 눈총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뭐.. 연구실에 넘버 원이라면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만...
그리고 연구실이라는 것이 학교인지 기업인지 모르겠는데 (뭐 어디든)
개인 물품을 넣고 서비스를 한다는 것에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습니다. 기업 이라면 100% 문제가 되고
학교 연구실 이라고 해도 학교의 관련팀과 협의가 있어야 할 겁니다.
개인자산이라는 인정도 받아야하고 네트워크에 물리는 것이라 해킹이나 불법프로그램 감사 등등에 대한 문제가 많이 있습니다. 화재와 같은 안전 문제도 남아있고.
>> 접속자 5천 ~ 1만 정도 예상 (최대 5만명 예상)
동시 접속도 아니라면 그렇게 빵빵한 서버 필요없지 않을까요? 내부적으로 뭔가 알고리즘이 빡세게 돌아가는 것이라면 접속자 수 보다는 알고리즘의 계산량이 중요하겠죠.
일단은 저렴한 서버로 (그냥 쓰고있는 데스크탑 PC로) 베타 서비스를 돌려보고 리소스 사용량 예측을 한 후에 서버 구매를 결정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미 이 단계까지는 AWS로 테스트가 끝나신 것일지도 모르겠군요.
연구소 돈으로 산다고 말씀하시는 것과 개인 돈으로 산다고 말씀하시는 것은 답변의 차이가 극명합니다.
일단 "영혼까지 끌어모아"라고 하셔서 다들 개인 돈으로 산다고 이해하였을 껍니다.
2. 사용목적
접속자 5천 ~ 1만의 서비스는 어마어마한 겁니다. 특히 텍스트 위주라면 더 그렇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접속자가 그만큼 있나요?
장래 계획으로 투자하는 거라면 하지 말아야 합니다. 계획은 계획일 뿐입니다.
더 중요한건 "동시접속자"의 수 인데, 이건 서비스에 따라 계산방법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말씀하시는 1만, 5만이 동시접속자의 개념이고. 서비스가 텍스트라면 1일간 접속자가 수 십만 명이고 페이지 히트가 백만단위 라는 뜻입니다.
3. 지금 운영하는 AWS에 접속자가 얼마나 되고, 부하가 얼마나 되는지 모니터링 해 보셨나요?
개념만 가지고는 서버의 사이징이 불가능합니다. 된다고 하는 사람은 다 사기꾼입니다.
4. 개봉만 한 새 제품은 누가 가지고 있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그냥 중고차 시장에서 임판 기다리는게 더 빠릅니다.
5.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 네트웍에 대한 지식 기타등등이 없으면 물리서버 구매하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서버만 구매할게 아니라 백업과 복구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자금의 여유만 있다만, 2대의 동일한 장비를 구성하고 별도의 백업장치를 마련합니다.
6. 결론
- AWS가 되었든, 물리서버가 되었든 서비스는 작게 시작하세요
- 뭘 생각하시든 간에 생각대로 서비스가 빵! 하고 터지면 그때 어떻게 할 지 구상만 해 두시면 됩니다.
- 절대로, 가능하면 돈 쓰지 마세요. AWS는 좋은 서비스 입니다.
- 서비스가 진행되고 사용자가 늘어나면 거기 따라서 AWS의 좀 더 높은 스펙의 서비스로 갈아타세요.
- 5만명의 회원이 확보되면, 이런 걱정 안해도 됩니다. 투자하겠다는 사람이 줄을 섭니다.
PS. 개인적으로 돌리는 작은 커뮤니티가 있는데, 몇 년 째 달에 500원 주고 돌리고 있습니다.
ㄴ ㅔ ~ 안팔아요..... <-- 이게 정답이구요.
서버라는게 개인이 살 물건이 아닙니다.
서버가 "아~ ,,, 저기 있는 저 물건으로 주세요..." (혹은) PC 조립하듯이 ,, " 이렇게, 이렇게... 조립해주세요.. "
라고 해서 살 수 있는 물건이 아닙니다.
물론, 개인 목적 여하에 따라서 중고 서버 몇 대로 꾸며서 자기 만족으로 쓸 수는 있겠지만....
차라리 저 같으면,,,,
천만원 이면, 그 돈으로 학원을 끈어서 공부를 더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