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뎀은 어떻게 광케이블로 들어오는 신호를 구분하나요?

   조회 3446   추천 0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8&docId=403870940 (242)

안녕하세요. 도저히 궁금증을 참을 수 없어 며칠을 검색해보다 결국 여기까지 오게되어 염치불구하고 질문을 남깁니다.

제가 KT 광모뎀을 사용중이고 광모뎀 포트 하나 밑에 공유기, 그 밑에 PC와 IPTV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제 네트워크엔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제가 만약 모뎀 남은 포트에 장비를 연결한다면 기존에 있는 네트워크랑 다른 네트워크가 되잖아요? 그런데 모뎀에 연결된 광케이블은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모뎀은 광케이블로 들어오는 신호를 어떻게 구분하여 각 포트로 보내나요? 링크에서 지식인에 동일한 질문을 올렸는데 답변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1. 목적지 주소를 보고 알맞은 포트를 선택하려면 라우팅이 필요하나요?
2. 그렇다면 그 장비는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하나요?
3. 모뎀이 그렇게 동작한다면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할텐데, 왜 tracert에는 찾을 수 없을까요?

  1    <1 ms    <1 ms    <1 ms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 주소 (= PC의 게이트웨이 주소))
  2     5 ms     5 ms     3 ms  (공유기가 DHCP로 받은 게이트웨이 주소)
  3     4 ms     2 ms     3 ms  (모르는 주소)

제 tracert 결과입니다. 만약 2번이 모뎀이라면 1번인 공유기와 응답시간이 왜이렇게 차이가 날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언젠가는 2021-11
많은 단어를 혼동하고 계십니다.
쨌든, "모뎀은 광케이블로 들어오는 신호를 어떻게 구분" 하느냐는 질문이 핵심인것 같은데, 멀티플렉싱 기술이고, PON이라고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수수수깡 2021-11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시 제가 어떤 단어를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ㅠ
박문형 2021-11
잘은 모릅니다만

공유기는 어떻게 광케이블로 들어오는 신호를 구분하나요?

광케이블 -- 광모뎀 --- UTP 케이블 ---- 공유기


공유기와 모뎀을 혼동하시는 듯합니다..

질문 타이틀은 공유기이고  질문내용은 광모뎀+ 공유기에 대한 것입니다..

광모뎀 잘 보시면 광모듈쪽에 맥어드레스가 아마 있을 것입니다..
     
수수수깡 2021-11
아이고 제목을 잘못썼네요..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강호 2021-11
2계층 장비니까 해당 모뎀의 IP를 찾을 수 없는 것입니다. 학부 수준의 지식을 가지고 계시니 OSI 7계층은 알고 계시겠죠?
복잡한 게 아니고.. 말씀하신 모뎀의 구조는 아마.. 실제로는 스위치의 형태인데, 그 중에 한 포트의 PHY가 광으로 되어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스위치이기 때문에 수신된 프레임의 DA - Destination (MAC) Address를 내부 forwarding table에서 찾아보고 어느 포트로 내보낼 것인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물론 결정된 포트가 수신된 포트와 다른 경우에만 내보냅니다.
엠브리오 2021-11
광케이블은 하나인데 어떻게 반대쪽에는 여러개의 IP를 사용할수 있느냐 하는 질문인듯..

어차피 데이터가 들어오고 나가는 통로는 그다지 상관 없습니다.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한꺼번에 오갈수 있느냐의 차이일 뿐이죠.

들어오는쪽이 하나여도 나누는 쪽에서는 얼마든지 여러개로 나눌수 있습니다.
다만 속도가 들어오는쪽에 의존하기 때문에 여러개로 나누면 나누는 갯수만큼 속도가 떨어질 뿐입니다.

IP를 할당 받는 것은 사실 데이터가 전송될때 어디로 갈지 인식표를 붙이고, 받는 쪽에서는 그 인식표를 찾아서 그 IP에 해당되는 데이터만 걸러내는 일종의 규칙일 뿐입니다. 규칙만 정하면 되는 것이니 IP를 여러개 할당하는 일은 아무것도 아니죠.

다만 IP도 갯수가 정해져 있어서 무제한으로 쓸수는 없습니다. 돈주고 사와야 하는 자원이라..
물론 진짜 IP가 아닌 사설 IP는 내맘대로 여러개 쓸수 있죠.
그런걸 해주는 장비가 바로 인테넷 공유기 이고요.
Th2n 2021-11
질문이 잘 이해 가 안 가지만..
1. TCP/IP 네트워크 개념을 공부 하시면 되는데...
그중에 네트워크를 보내는 기준은  IPv4 에선 (게이트웨이,  서브넷)  설정으로 내부 외부로 신호는 보낼지 결정 합니다..
네트워크 카드(광커넥터 네트워크 일종)는 고유 MAC 어드레스라는 절대 적으로 중복되서는 안되는 주소들이 있습니다. 이것도 지금은 복제 됩니다.
더 있지만 이것들이 TCP/IP 패킷에 실려 보내지면 통신이 이루어 집니다..(통신에 아주 일부분 이고. CDAM 기술 OSI7레이어 등등 알아야 하기에 이건 패스 하시고

서브넷 마스크를 공부 하시면 네트워크 경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질꺼라 봅니다.
tracert 에 주소가 안보이는 것은 보안 때분에 안보여 주기 때문입니다..


QnA
제목Page 1019/5725
2015-12   1770615   백메가
2014-05   5245203   정은준1
2016-08   3364   geniefix
2017-08   3364   깜짝
2020-06   3364   sauoory
2014-02   3364   삐돌이슬픔이
2018-11   3364   김효수
2019-05   3364   허인구마틴
2020-07   3364   정선생
2019-08   3364   e5472
2015-01   3364   잔혹한마법사
2021-06   3364   정의석
2018-07   3364   박문형
2019-03   3365   가빠로구나
2017-07   3365   나라사랑
2017-06   3365   강하게하자
2022-01   3365   가온누리I강…
2022-01   3365   서울l승용
2019-10   3365   김우진
2018-12   3365   범범이
2019-04   3365   션한맥주
2018-04   3365   Sakura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