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에 1차 백업후 자료 보관 용도로 빼놓으면 10년 정도는 문제가 없을까요?

   조회 2675   추천 0    

 10T이상 고용량 하드디스크에 1차 백업 후 자료 보관 용도로 빼놓고 보관만 잘 하면 10년 정도는 내부 파일에 문제가 없을까요?

 

kim deok-hyun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감자 2021-12
1년에 한번씩 연결해서 상태 점검만 해도
10년은 괜찮을것 같습니다
     
dateno1 2021-12
전원 연결해도 섹터 쓰기 갱신 안 되요

다 새로 써야 해결됩니다
          
김영수 2021-12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화정큐삼 2021-12
저장해 두고 10년을 그대로 두시면
디스크 자화력이 떨어진다고 했던가 하여간 데이터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디스크에 주기적으로 전기밥을 좀 주셔야 합니다.
     
김영수 2021-12
빼놓으면 괜찮을줄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엠브리오 2021-12
제일 오래 버티는 저장매체는 아마도 광자기디스크 일겁니다.

https://namu.wiki/w/%EA%B4%91%EC%9E%90%EA%B8%B0%20%EB%94%94%EC%8A%A4%ED%81%AC
     
김영수 2021-12
감사합니다  요즘도 나오는가요
dateno1 2021-12
오래 버틸려면 MO같은 내구성 중시 매체 쓰세요
     
김영수 2021-12
Mo는 첨 보는 매체네요. Dvd나 블루레이와는 다른 것인가보군요
          
박문형 2021-12
광자기디스크 = MO DISK = Magnetic optical disc
               
린드버그 2021-12
정확히는 Magneto-Optical disk죠. ^^ 진짜 비쌌던 기억이.. 어디서 버리는 디스크 기념으로 주워온 거 한 두 장 가지고 있긴 합니다. 하하
                    
박문형 2021-12
+100
     
김영수 2021-12
mo disk 8.3gb가 16 만원 하네요...와...
          
dateno1 2021-12
대신 내구성에서는 거의 최강급입니다 (폐기 처분하는게 피곤할 수준)
박문형 2021-12
MO 가 새제품이 나오는가 궁금하긴 합니다..

전에 테이프 백업(LTO)을 말씀드렸지만 이것도 장비는 계속 나오는 편이지만 시장이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개인적 경험으로 2009년산 500기가와 640기가 WD 블루 SATA HDD를 8개씩 가지고 있는데

동영상 파일들만 채운 것입니다만 500기가든 640기가든 2개씩 죽어 있습니다..

플레터 배드난 것은 아니며 기판이 죽은 것으로 판단합니다..
     
김영수 2021-12
하드가 보전성에는 떨어지는군요.
오늘 백업과  lto애 대해 회원분이 세밀히 이야기 해주셨어요.
          
박문형 2021-12
하드는 소모품입니다..

백업에도 쓰이는 이유는 속도가 빠르고 용량에 비해 가격이 싸기 때문입니다..
               
김영수 2021-12
아... 그렇군요.  lto 알아보고 있는데  기기 자체가 가격이 아주아주아주 높네요.
                    
dateno1 2021-12
대신 미디어가 상대적으로 싸게 먹히니 본체 1대 사면 이후는 좀 쌉니다
제가 아는 범위내에서만 말씀드리면

하드디스크 자기장 세기는 매년 1%씩 감소합니다

물리적으로는 50년 정도는 갑니다

문제는 그게 이론상 수치이고, 안정적으로 쓰실거라면

4년에 한번씩은 하드를 리프레시 하시는게 좋습니다

(하드 갈이를 말합니다. 4년마다 새 하드로 갈아주는 겁니다

그리고 백업은 1차 백업만 하시면 안되고 중요한 데이터라면 백업의 백업은 항상 필수입니다)

그리고 저장하실땐 그냥 저장하시면 안되고,

헬륨 충전된 하드의 경우 제전 비닐에 질소 충진으로 포장하시고

비헬륨 하드의 경우 공기를 빼서 최대한 공기와 수분을 빼서 저장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렇게 하드 리프레시로 3번 갈아주시면 10년은 갑니다

문제는 하드가 어떤 종류냐하는건데 10테라 이상이면 비용이 좀 들더라도

ST엑소스나 WD울트라스타, 도시바 MG08계 정도로 백업하시는걸 권고합니다.
     
김영수 2021-12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7년 이상된 자료 하드들 몇개 빼서 보니 에러나는게 보여서요.
          
보관 상태를 살펴보셔야합니다
하드를 제전비닐에 담아, 질소 충진이나 밀폐 진공으로 하지 않으셨으면 그럴수도 있습니다
습도도 영향을 미치거든요.
게다가 7년이면 너무 길어서요. 사견으론 4년 정도가 적당한거 같습니다
               
김영수 2021-12
와.. 습도도 영향끼치는지 첨 알았네요.
                    
플래터와 자기헤더 사이의 거리가 담배 입자 크기보다 작습니다
당연히 수분 입자도 영향을 미칩니다.
쓰던 하드를 백업용으로 쓰지 마시고 새 하드를 백업용으로 쓰시고 잘 보관하시면 10년 정도는 버틸겁니다
단 하나에만 하지 마시고 2중이나 3중으로 하시면 거의 100% 성공할겁니다
     
김영수 2021-12
감사합니다. 한동안 한개씩만 두다가 스토리지 만든후로는 개별 백업 없이 왔는데 다시 하드든 lti든 백업본을 여러게 둬야겠네요.
          
아 그리고 2중 3중백업시에 같은 제조사 동일 모델에 백업하지는 마세요 예전에 후찌스 하드에 들어가는 칩에 신기술 썼다가 세월 가면서 칩에 쓰인 고체 재료간에 화학 반응이 일어나 하드가 못 쓰게 되어서 전량 리컬한 히스토리가 있습니다 이런 건 세월 지나야 아는거라서......
그런거 생각하면 2중 3중 백업할때 하드 벤더까지도 분산 할 필요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김영수 2021-12
네 감사합니다.  하드 수십개를 장착한채 백업 할때 만 껏다 켯다 해도 되겟지요?
박문형 2021-12
https://cic.cnu.ac.kr/_common/flexer/view.jsp?articleNo=33468&attachNo=35784

https://m.blog.naver.com/didim365_/221922648205

위의 링크는 옛날 자료입니다만 일종의 표준 지침서입니다..

밑의 링크는 3차 백업에 대해 나와 있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zagatoson&logNo=221448669058

LTO 이야기 입니다..
     
김영수 2021-12
와 감사합니다 세밀하게 잘 정리되어 있네요.

lto 장기 보존에는 좋네요.
ZSNET5 2021-12
MO Disk는 신뢰성은 좋지만 속도가 느리고 용량이 적어서 지금은 그리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오래된 물건이라 드라이브 구하기도 어려울꺼구요..
저도 2001년쯤에 외장형 SCSI 타입으로 구매해서 오랫동안 가지고 있다가 다른분에게 드렸었습니다.
지금 그나마 비슷한 미디어는 M-Disk일 것이고 용량도 25기가 이상이라 그럭저럭 쓸만합니다.
테라단위 백업은 HDD가 가장 가성비가 높은 방법이고, 주기적으로 전원을 넣어서 돌려주고 + 데이터를 새로 써 주는게 가장 안전한 보관방법입니다.
     
김영수 2021-12
ZSNET5 님 감사합니다. 말씀들어보니 지금 바로는 년 단위로 주기적 하드 백업이 가장 무난하고 좋을 듯 하네요.
바로 진행가능한 부분이고
lto도 알아보고 있는데 이쪽은 처음이라 더 알아봐야 겠습니다. 미디어 용량도 높고 하네요.


QnA
제목Page 677/5706
2015-12   1666403   백메가
2014-05   5131618   정은준1
2019-12   2604   땅부자
2020-07   2604   서린이
2021-08   2604   VSPress
2023-03   2605   일반유저
2018-12   2605   이니이니
2020-03   2605   리눅서
2023-07   2605   회상2
2023-11   2605   atozztoa
2020-04   2605   캔위드
2021-09   2605   권용1
2020-06   2606   삐돌이슬픔이
2021-04   2606   TLaJ3KtYGr
2021-10   2606   ShortLJ
2021-09   2606   차넷컴퓨터
2021-11   2606   MOONL
2019-08   2606   겨울나무
2022-08   2606   sbg2005
2020-02   2607   이희주
2020-12   2607   송상병
2019-02   2607   Lan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