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4919 |
0 |
2014-05
524491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0298 |
25 |
2015-12
1770298
1 백메가
|
101654 |
CPU다리에 써말구리스를 묻혔습니다. (5) |
김호성 |
2011-06 |
8330 |
0 |
2011-06
8330
1 김호성
|
101653 |
SSD 초기화하는데 이런문구가 나오네요 (2) |
전진 |
2019-10 |
2807 |
0 |
2019-10
2807
1 전진
|
101652 |
삼성 SSD(M.2 NVME) 980 PRO의 S.M.A.R.T 정보 (5) |
95GSR |
2021-01 |
3859 |
0 |
2021-01
3859
1 95GSR
|
101651 |
z840 에 쿼드로 m6000 은 몇개 넣을수 있을려나요 ? (7) |
승후니도쿄 |
2017-05 |
4176 |
0 |
2017-05
4176
1 승후니도쿄
|
101650 |
[문의] 브랜드 타워서버 중에 PCI-X 슬롯이 있는서버 (3) |
페르세우스 |
2018-08 |
3652 |
0 |
2018-08
3652
1 페르세우스
|
101649 |
Intel Xeon X3430 CPU 를 1156소켓 마더보드에 끼워서..인식및 오버가 가능할까요? (14) |
늘파란 |
2016-06 |
20355 |
0 |
2016-06
20355
1 늘파란
|
101648 |
윈도우업데이트후에 노트북 부팅시 멈춤현상이 있습니다. (2) |
쿨쿨쿨 |
2018-08 |
4467 |
0 |
2018-08
4467
1 쿨쿨쿨
|
101647 |
핸드폰 호환 문의드립니다. (12) |
2cpumem |
2018-08 |
3494 |
0 |
2018-08
3494
1 2cpumem
|
101646 |
시놀로지 DS218play 하나 샀습니다. 궁금한점.. 패키지 중 쓸만 한 것이 무엇이 있을… (3) |
민경열 |
2024-04 |
1493 |
0 |
2024-04
1493
1 민경열
|
101645 |
컬럼스피커 잘아시는분계신가요? (정원) (12) |
1번가 |
2011-07 |
13625 |
0 |
2011-07
13625
1 1번가
|
101644 |
하드디스크 as 정책은 다 똑같나요? (6) |
AplPEC |
2021-01 |
2121 |
0 |
2021-01
2121
1 AplPEC
|
101643 |
서버보드에 메모리를 한 슬롯에 몰아서 사용해도 되나요? (9) |
윤영돈 |
2011-07 |
10057 |
0 |
2011-07
10057
1 윤영돈
|
101642 |
집 단자함 연결이 잘 안되네요 (18) |
박성만 |
2021-01 |
4658 |
0 |
2021-01
4658
1 박성만
|
101641 |
그래픽카드좀 구매할려고 생각중인데.. (3) |
구명서 |
2011-07 |
6371 |
0 |
2011-07
6371
1 구명서
|
101640 |
AV 리시버를 사용하면 모든것이 해결되나요? (7) |
테돌아이 |
2015-04 |
5737 |
0 |
2015-04
5737
1 테돌아이
|
101639 |
디월트 밧데리 잔량 체크가 원래 2칸이 풀인가요? (2) |
인생여전 |
2016-06 |
5682 |
0 |
2016-06
5682
1 인생여전
|
101638 |
스위치와 지빅 호환성 질문드립니다 (5) |
SDG6038 |
2024-04 |
2259 |
0 |
2024-04
2259
1 SDG6038
|
101637 |
아주옜날 언제인지기억안날 펜티엄 제온이나 ODD (5) |
눈팅돌이 |
2018-09 |
3253 |
0 |
2018-09
3253
1 눈팅돌이
|
101636 |
heatsink copper pad과 효과가 있을지요 (4) |
눈팅돌이 |
2016-06 |
3583 |
0 |
2016-06
3583
1 눈팅돌이
|
101635 |
Fujitsu TX100 s3p에 최저가 SAS 컨트롤러를 추천부탁드립니다. (1) |
키르아 |
2017-06 |
3360 |
0 |
2017-06
3360
1 키르아
|
그리고 이 디스크의 제조시 수명이 이것이니 레이드 이렇게 묶으면 이렇게 수명이변한다라는 그런 자료도 없다고 봐야 합니다..
그런데 페리티체크 / 리빌딩 이거 말고 실제로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는 아무것도 없나보네요..
레이드 라는 장비는 옛날부터 단일유져가 사용하는 것보다는 멀티유져가 사용하는 장비였습니다..
1명이 접속해서 부하를 주는 것이랑 1000명이 붙어서 부하를 주는 것은 아무래도 다르고 이것은 레이드 볼륨 수명에 영향을 주겠죠..
서버를 납품 한 이후부터 4개월 ~ 1년 에 초기불량 hdd있고 ,1년 ~ 2년 사이는 디스크 거의 죽지않고, 이후 3~4년부터 디스크 교체시기 오더라구요..
다른 고객사에 raid 상태체크 한번도 안해서 5년된 44bay das에 raid50 + 핫스페어 6~8ea 인데 디스크 4개 bad떠서 핫스페어 2개남은 경우도 있더라구요
결론은 디스크 수명이 상황에 따라 케바케지만 대략 수명이 3년~5년이라고 생각합니다.
컨트롤러가 데이터 관리와 보호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중요한 관점..
1. 데이터 관리와 유지가 목적이다.
2. 하드 드라이브의 관리와 수명이 목적이다.
Raid는 고속 데이터 관리와 활용 및 운영이 목적이니..
사용자분은 하드드라이브의 수명이 목적이시라면..
레이드 구성보다는 단일 드라이브나 JBOD 같은 방식이 좋지 않을지..
RAID하던말던 죽을떄 죽습니다
뭔짓해도 초기에 죽는넘은 나오는법이고, 안 죽는넘은 10년 넘어가도 안 죽어요
해가 갈수록 성능 뒤처짐으로 신장비로 바뀌는 즉 고장나기 한참이전에 폐기가 되는 IT 기기 특성상에 죽을때까찌 써야만 나오는
실사용시 수명에 대한 통계는 거의 없을겁니다
자연 현상이 그러하듯 제조사가 보증하는 평균 수명을 중심으로 정규 분포를 따른다고 추정하지만
내가 가진 개별적 하드 하나가 거기의 어디에 분포할 것인가는 그야말로 확률의 문제죠
사실 확률에 대한 의미를 구글 검색 해보시면 우리가 늘 생각해왔던 그거와는 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