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 파워 서플라이 구입 테스트 방법 문의 드립니다.

죠슈아   
   조회 3422   추천 0    

아래 링크의 Dell Precision 875W 파워를  구입했습니다.

https://www.ebay.com/itm/185114710537


사진에는 별다른 하자가 없는 것처럼 보였는데 배송된 것은 케이스 구석이 조금 찌그러져 있고 

테스트용 푸시 버튼도 깨져 있어서 교체하고 전원이 켜지는 것까지는 확인 했습니다.

보통 중고 파워 서플라이를 구입하게되면 어떤 방식으로 동작 테스트를 할 수 있나요?

PC 보드에 연결해서 어느정도의 부하가 발생 하도록 테스트 하는 방법 이외에 어떤 다른 방법이 있나요?

문제 여부를 확인만 하려는 것일뿐 비정상 동작 한다고 해도 교환이나 환불은 생각 하지 않습니다.


실 사용 하려는 보드 구성은 XEON E5-2667 v2 dual , 256GB DDR3 , 2-3 개 HDD , 화면만 디스플레이되는 VGA를 사용 할 예정 입니다.

보드 구성하는 파트들은  배송 시간 차이로 년말이 지나서야 도착 하기 때문에 바로 테스트를 해볼 상황은 못되고

실 사용 하려는 보드 구성으로 테스트시 구성 파트들도 중고 이기 때문에 파워서플라이의 문제가 있다면 

어떤 것이 문제 인지 파악하기는 어렵고 설사 정상 동작 ??   한다고 해도 신뢰성을 갖기엔 부족 하다고 생각 됩니다.

서버 보드라서 오버 테스트 하기는 어렵고 ...  

램 테스트 (memtest86+ , TestMem5) 와 시네벤치등으로 헤비 로드 테스트시 오류 발생이 없다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도 될까요?

실 사용은  REDHAT7.9 설치에서 회로셜계 툴 을 실행할 예정인데 ... 

PC를 사무실로 옮겨서 리모트로 사용 예정이라서 문제가 발생하면  곤란해지므로

미리 파워만 이라도 안정성이나 신뢰성을 확인 하고 싶습니다.

어떤 방식의 테스트가 가능 할 까요?


글을 읽어주신 분들과 조언 주실 분들께 미리 감사 드립니다.


초보자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1-12
DELL 의 파워들 중에 ATX 표준을 안따르는 파워들이 꽤 있습니다..

파워 만으로 켜서 간단하게 돌아가는지 확인하고 그것이 안되면 우선 돌아가는 시스템에 바꿔 꼽고

시스템 돌리고

시스템 버닝 테스트 프로그램이라고 하는데

#1 : Pass mark Burn in Test : Windows 용

#2 : OCCT : Windows 용

#3 : HPL : High Performance Linpack : 리눅스용 : CPU와 메모리를 집중적으로 테스트 : 받아서 컴파일 해서 사용..
      https://www.netlib.org/benchmark/hpl/

요정도 오래 (최소 1일 이상 1주일 정도) 돌려 보면 됩니다..

중간에 에러가 나면 안되고요..

시스템의 부하를 최대로 주는 것인지라 시스템이 못 견디고 다운 되거나 고장날 수도 있습니다.. (선풍기 필수)

프로그램에 따라 상용도 있는데 크랙을 구하시던지 최대한 무료로 사용해보세요..


일반 ATX 파워는 위와 같이 시스템 단위로도 테스트 하지만 간단한 파워 테스터기를 구해서도 테스트 합니다..
     
죠슈아 2021-12
조업 감사합니다.
"간단한 파워 테스터기"를  구글 검색 해보니 단순히 전압측정만 하는 것이군요.

부하 테스트나 전압 안정성등을 확인하려면 결국 시스템에 연결한 상태에서 헤비로드를 인가 상태에서
지속적인 전압 측정을 통해서 장시간 안정되는지 여부를 보는 방법 뿐인가요?

신품을 구입해야만 ...  ㅎㅎㅎㅎ
박문형 2021-12
네 거의 그렇게 됩니다..

간단한 파워 테스터기는

http://prod.danawa.com/info/?pcode=15374711&keyword=%ED%8C%8C%EC%9B%8C%ED%85%8C%EC%8A%A4%ED%84%B0&cate=14237307

요런 것 사용하면 됩니다..

뜯어 보면 알지만 안에 사기(세라믹) 저항이 있어서 어느 정도 부하도 줍니다.. (오래 돌리면 밑이 따땃해집니다..)

헤비 로드를 만들려면 전문 장비로 가야 하는데 가격도 가격이고 저는 잘 모릅니다..

https://www.ilovep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803

https://www.ilovep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49

https://quasarzone.com/bbs/qf_power/views/51103


그리고 돌리다가 파워 태워 먹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전에 서버용 파워를 수입해 팔았었는데

제조사에서 파워 다 제조 후에 맨 마지막에 테스트 하는게 고부하로 24시간 돌려서 문제 없는 것만 출하하는 것 이였습니다..
     
죠슈아 2021-12
감사합니다.  ...
간단한 파워 테스터기는 갖고있는  FLUKE로 단자별 전압 측정으로 대신하고
부하별  리플 및  전압 안정성 측정 장비는  주객전도 상황이네요 ..ㅎㅎㅎ
          
박문형 2021-12
전기 값도 무시 못하죠..

https://m.facebook.com/1wattorg/posts

옛날에 1watt 라는 사이트의 잔재입니다..
제온프로 2021-12
꽂아 보면 바로 알아요..
BIOS가 파워를 점검합니다.
아이미 2021-12
테스트 하기 힘듭니다
다전압 기기라서 한번여 여러개의 부하를 죠서 전류량을 계산하기가 너무 힘들어요
12V 27A 사용할수 있는 모터도 비싸고 스핀들 저하를 측정할수 있는 장비도 비싸요
그래서 빵파워들 이상 유무를 확인하지 못하는거죠
전류량 돌려 막기 해버리면 300w 짜리 파워가 600w 로 뻥해도 찾기 힘들어요
     
죠슈아 2021-12
네 ...  테스트 하는 적절한 방법은 없군요.
시스템에 연결해서 고부하 인가 하면서
AC power 전력계로 소모 파워를 보면서 최대 소모 전력 상태에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느낌으로 ?  확인 하는 방법외에는 ..
파워 서플라이 제조사에서 하는 것처럼 제품테스트 하는 장비아니면  별다른 방법이 없겠어요.
이 방법은 비용 투자가 너무커서 의미가 없구요...
신뢰할만한 제조사 신품을 구입하거나 ... 중고는 실사용 방법이외엔 별 다른 방법이 없네요.

감사 합니다.


QnA
제목Page 642/5731
2015-12   1792692   백메가
2014-05   5267673   정은준1
2021-08   2755   철없다철없어
2020-04   2755   검은콩
2023-07   2755   계수나무
2020-04   2755   송진현
2021-02   2755   배고프고가…
2021-04   2756   김승현1
2018-11   2756   김건우
2023-04   2756   범이님
2021-07   2756   을지문덕
2019-04   2756   아라야
2022-02   2756   공백기
2019-09   2756   부사넷
2022-12   2756   모어쿨
2023-02   2757   민사장
2023-04   2757   HTS공부중
2022-05   2757   song05
2024-04   2757   제온프로
2021-07   2757   perls
2021-06   2757   전설속의미…
2019-03   2757   쿨쿨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