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1108 |
0 |
2014-05
514110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762 |
25 |
2015-12
1675762
1 백메가
|
77547 |
esxi 설치디스크는 부팅 이후 전혀 쓰지 않나요? (4) |
대한민국 |
2013-11 |
4189 |
0 |
2013-11
4189
1 대한민국
|
77546 |
워크스테이션 컴퓨터 질문이 있습니다. (24) |
yiruma |
2021-03 |
4189 |
0 |
2021-03
4189
1 yiruma
|
77545 |
hp메모리인데 일반보드(z170 스카이레이크)보드에 사용가능한가요?? (3) |
jc787899 |
2016-07 |
4189 |
0 |
2016-07
4189
1 jc787899
|
77544 |
x230 usb3.0 드라이버 설치시 블루스크린. (2) |
조아 |
2017-07 |
4189 |
1 |
2017-07
4189
1 조아
|
77543 |
Windows 2008 R2 인증 풀림 (3) |
메트 |
2017-09 |
4189 |
0 |
2017-09
4189
1 메트
|
77542 |
아두이노 소스코드 질문입니다. (4) |
승준킴 |
2020-11 |
4189 |
0 |
2020-11
4189
1 승준킴
|
77541 |
리눅스 ARP 구현이 조금 이상한 것 같습니다 |
송주환 |
2018-03 |
4189 |
0 |
2018-03
4189
1 송주환
|
77540 |
ESXI 질문 드립니다.... (5) |
패킷스트림 |
2018-01 |
4189 |
0 |
2018-01
4189
1 패킷스트림
|
77539 |
혹시 사진의 제품을 구할수 있을까요? (2) |
inquisitive |
2014-08 |
4189 |
0 |
2014-08
4189
1 inquisitive
|
77538 |
[의견요청] i3+내장+ssd -> 4세대? 6세대? 슬림케이스? 미니타워? (17) |
DoubleSH |
2016-06 |
4189 |
0 |
2016-06
4189
1 DoubleSH
|
77537 |
TX100 랜카드 설치 (4) |
이해찬 |
2016-01 |
4189 |
0 |
2016-01
4189
1 이해찬
|
77536 |
HP Elite desk 800 G4 TWR 고용량 파워 설치 가능할까요? (5) |
혼자가는길 |
2020-07 |
4190 |
0 |
2020-07
4190
1 혼자가는길
|
77535 |
intel Xeon x5460 보드호환 여쭙니다. (5) |
박진형 |
2014-03 |
4190 |
0 |
2014-03
4190
1 박진형
|
77534 |
맥 미니 2012late를 무슨 용도로 사용하면 좋을까요? (4) |
엽기토끼이요 |
2015-12 |
4190 |
0 |
2015-12
4190
1 엽기토끼이요
|
77533 |
램을 얻게 되었는데 질문드립니다.. (5) |
키리 |
2015-01 |
4190 |
0 |
2015-01
4190
1 키리
|
77532 |
양자역학에 관한 초보적인 질문입니다. (7) |
장동건2014 |
2020-06 |
4190 |
0 |
2020-06
4190
1 장동건2014
|
77531 |
Windows 7 Pro 64비트에 유틸설치 가능 버젼에 관련하여 (4) |
테돌아이 |
2015-09 |
4190 |
0 |
2015-09
4190
1 테돌아이
|
77530 |
FSP 파워 직구질문 (12) |
IDC센터 |
2018-10 |
4190 |
0 |
2018-10
4190
1 IDC센터
|
77529 |
이 말이 무슨 뜻 입니까 ??? (4) |
Win31 |
2017-11 |
4190 |
0 |
2017-11
4190
1 Win31
|
77528 |
주희님표 내장DVI에 듀얼링크DVI를 연결해보신 분 계세요? (2) |
딸기대장 |
2016-05 |
4190 |
0 |
2016-05
4190
1 딸기대장
|
55" 티비를 한번 해보려고 했는데 액정을 들때 가운데로 아무리 잘든다고 들어도 금가 버리더라구요 유리가 하중을 못 버티더라구요.
그냥 버렸습니다. ㅋㅋ
수리비나, 사는거나.... 가격이 비슷해서..
(그래서 결국은 그것보다 더 큰 OLED TV를 뜯겼.. ㅜ.ㅜ)
할만합니다.
액정도 생각보다 크지 않아서요.
하지만 작업공간은 절대적으로 확보를 하시고 하시는 게 좋습니다.
먼지도 없거나 컴프가 있어야 되구요.
해보시면 알게 될겁니다..... 건승하시길..
백라이트자체를 분해하는 게 어려운게 아니고
거기까지 분해를 해서 들어가는 게 중노동입니다.
분해가 편한 TV라면 그나마 나을텐데..
이게 상당히 손이 많이가고 리스크가 큽니다.
백라이트 교체가 생각보다 힘듭니다. 일단 교체를 고려해서 만든 부품이 아니라 분해하기가 상당히 까다롭고, 설사 교체를 했다 하더라도 안에 먼지가 들어가거나, 빛샘이 생길수 있습니다.
백라이트 교체를 하려고 한다면, 일단 분해교체가 쉬운 모델로 통일하는게 좋다고 봅니다만... 그래도 노동력 대비 얻는게 미미하다고 생각합니다. 32-40인치는 중고가가 싸니까.
다시 조립할때 깔끔하게 빛이 고루 퍼지게 하는게 기술같습니다~
엣지형은 뒤집어서 패널이랑 확산아크릴판이랑 같이 들어내면 덜 위험한데...
양면테프붙여놓은건...
수리용 부품들이 보통 그 모델 전용이고 국내에 나오지 않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수리용 부품을 어떻게 잘 조달하느냐가 하나의 키포인트가 될 듯합니다..
아무래도 32인치이상 사이즈가 크면 커질수록, 어려움이 배가 되지 않을까요?
백라이트 교체 잘 하고 나서 먼지 들어가면 바로 티가 나버리기도 하고....
교체후 검은 부직포 테이프로 빛이 셀만한곳을 잘 막아 줘야 되기도 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