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654 |
25 |
2015-12
1790654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669 |
0 |
2014-05
5265669
1 정은준1
|
101862 |
raid 오류의 원인이 무엇일까요? (12) |
김태성 |
2010-01 |
8523 |
0 |
2010-01
8523
1 김태성
|
101861 |
메인보드 질문 합니다~ (2) |
오혜성 |
2016-01 |
3586 |
0 |
2016-01
3586
1 오혜성
|
101860 |
USB 카메라 중에 정지화면 해상도 높은것 뭐가 있을까요? (2) |
미수맨 |
2014-09 |
4264 |
0 |
2014-09
4264
1 미수맨
|
101859 |
이베이 셀러와의 협상 및 저전압 메모리 질문 (6) |
한성호 |
2016-01 |
4151 |
0 |
2016-01
4151
1 한성호
|
101858 |
놋북에 윈도와기본 장착되어있는 영문판 오피스365...무료로 쓰는건가요? 아니면 유… (5) |
김건우 |
2018-02 |
3749 |
0 |
2018-02
3749
1 김건우
|
101857 |
e-atx에 쓸만한 저렴한 빅타워 케이스 추천좀 해주실수 있을까요!? (17) |
듀얼모드 |
2020-06 |
5225 |
0 |
2020-06
5225
1 듀얼모드
|
101856 |
회로 질문드립니다 : ) (2) |
Psychophysi… |
2016-12 |
3944 |
0 |
2016-12
3944
1 Psychophysi…
|
101855 |
외장하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
손상욱 |
2010-02 |
7352 |
0 |
2010-02
7352
1 손상욱
|
101854 |
VGA와 Nvme m.2 SSD 충돌 (10) |
HJaaaa |
2018-02 |
12362 |
0 |
2018-02
12362
1 HJaaaa
|
101853 |
인텔 메인보드 se7505vb2 업그레이드에 관한 질문 입니다. (2) |
옥종석 |
2010-02 |
6853 |
0 |
2010-02
6853
1 옥종석
|
101852 |
캐논 복합기 MF-4150 부품.? |
오성기 |
2013-04 |
4956 |
0 |
2013-04
4956
1 오성기
|
101851 |
베네수엘라 mercadolibre 가입방법 문의 (8) |
TRUE |
2016-12 |
5868 |
0 |
2016-12
5868
1 TRUE
|
101850 |
가정용 복합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
오티스 |
2016-12 |
5966 |
0 |
2016-12
5966
1 오티스
|
101849 |
주피터 설치는 일반 GPU 쓰는 것처럼, 앤비디아 젯슨 나노도 똑같나요? (2) |
GPGPU |
2021-11 |
1778 |
0 |
2021-11
1778
1 GPGPU
|
101848 |
강제전선관 굴곡처리 (4) |
뚜뚜김대원 |
2013-04 |
13464 |
0 |
2013-04
13464
1 뚜뚜김대원
|
101847 |
M4-0.7 x 6mm 스크류는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
천외천oo노… |
2014-10 |
4169 |
0 |
2014-10
4169
1 천외천oo노…
|
101846 |
sas cable 관련 질문입니다.. (2) |
딩굴님 |
2010-03 |
8026 |
0 |
2010-03
8026
1 딩굴님
|
101845 |
오류난 gho 파일을 다시 살려서 사용할수는 없을까요??? (4) |
병맛폰 |
2013-04 |
6519 |
0 |
2013-04
6519
1 병맛폰
|
101844 |
WAN 2개 공유기 2대에서 SAMBA, DLNA 연결 문의드립니다~ (2) |
Hyunjins |
2014-10 |
8297 |
0 |
2014-10
8297
1 Hyunjins
|
101843 |
ESXi 실행시에 이런 에러 메시지가 나오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4) |
viper9 |
2014-10 |
12400 |
0 |
2014-10
12400
1 viper9
|
직접 한번 해보세요.
글고 pwm팬을 pwm신호 없이 그냥 구동시키려면 pwm 신호쪽에 5V 전원을 인가하면 됩니다.
그럼 pwm 신호가 풀로 들어온 걸로 인식해서 최대 속도로 동작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본체 시스템 쿨러에 pwm 팬을 5V 전원 인가해서 최대로 돌린다음에 가변저항으로 전압 조절해서 조용하게 쓰고 있습니다.
연결해서 두개위 팬이 동알한 PWM 신호의 제어로 동일 RPM 으로 동작 합니다.
vdd(12v) gnd pwm sense(rpm) 4개의 단자가 있습니다
4pin fan split cable을 구입하세요
두개 커낵터중 하나는 sense(rpm) 단자가
비어 있습니다
팬 컨트롤러의 입력으로는 하나의 팬의 rpm 이 입력되고 pwm은 두개의 커넥터에 존재 합니다
따라서 두개의 팬은 동일한 pwm 에 제어를 받습니다
하나의 팬의 rpm이 팬 컨트롤러에 피드백 됩니다
이런 스플릿 하는 캐이블은 쉽게 구입 하실수 있습나다.
하지만 고온 때문 이라면 팬을 최고 속도로 회전 시키는 것이 보다 목적에 부합 합니다
rpm 단자 핀을 커넥터에서 빼서 플로팅하면 됩니다
그러면 최고 속도가 됩니다
두개의 팬을 사용해서 풍압 또는 풍향을 크게 하고 속도를 적절하게 하고 싶으시면 4pin fan split cable 을 사용 하세요.
그렇지만 90도에 이른다면. 팬을 두개 달거너
최고 속도로 한다고 해서 온도 크게 내려가지는 않습니다
그래픽 카드의 공기 흐름을 원할하도록 pc 내부의 공기 흐름 즉. 외부 공기가 그래픽 카드에 잘 도달 하도록
pc 내부를 조정하신 후에 팬의 속도를 고려 하세요
그래픽 카드 뒤에서 케이스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120mm fan을 보드 위에 3M 양면 테입을 사용해서
고정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 입니다
조그만 팬의 얇은 날개는 고속회전 해도 풍량이 커지지 않고 소음만 증가 됩니다
그러니까 4핀 스플릿 케이블을 구입하여 하나의 팬에는 RPM선을 빼고 연결하고
PWM 신호선은 두 개의 팬에 모두 연결하는 것이군요...!
(또는 케이블을 구입하면 한쪽은 RPM이 연결이 안되어 있으니 그냥 연결하면 되는거구요...)
추가적인 쿨링에 대한 조언도 감사드립니다
많이 배워갑니다
사용 하사면 됩니다
rpm 신호가 한쪽에만 연결된 상태 이기 때문 입니다
PWM 신호선 제거는 최고 속도로
하기 위한 것이구요
그리고 그래픽 카드 뒤에 커다란 팬을 달아서 케이스 바깥쪽으로 저속 구동 하는 것을 추천 합니다
그래픽 보드 전체를 냉각 하면 더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