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O 테이프 관련 질문드립니다.

구고기   
   조회 3432   추천 0    

안녕하세요. 현재 나스로 100테라정도 RAID 10으로 운용 중이고 구글 드라이브에도 1대1 실시간 백업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기치 못한 사고(파일 삭제, 하드 고장 등)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수정할 일이 없는 데이터 35~40TB정도를 독립된 공간에 따로 복사하여 장기(약 10~20년) 보존하려고 합니다.

여러 군데 알아보니 LTO 테이프에 백업하는 게 가격 면에서도 안정성 면에서도 좋다고 하여 한번 알아봤는데요.

LTO 드라이브, 테이프는 들어만 봤지 직접 만져보는 게 처음이라 구매 전 확인받고 구매하려 합니다.

기업같은곳에서 하는건 아니고 개인이 하는거라 LTO5로도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이베이에서 몇 개 골라봤습니다.


테이프 : https://www.ebay.com/itm/313787034230

드라이브 : https://www.ebay.com/itm/203700803756

SAS 컨트롤러 : https://www.ebay.com/itm/153769233039


- 기타

1. 일반 PC에 윈도우 10 설치 후 LTFS로 마운트하여 사용 예정입니다.

2. LTO 테이프에 보관된 자료는 메인 스토리지 소실 시에만 열어볼 예정입니다.

3. 백업하려는 데이터의 95%가 영상 자료입니다.


이대로 진행해도 제가 생각하는 대로 가능할까요? 전문가분들의 고견이 필요합니다.

문제점이나 더 저렴하게 셋팅 가능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늦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2-01
백업소프트웨어를 구할수 있느냐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테이프 백업 장치는 말은 많지만 아직 개인이 사용하는 경우는 적은 듯 합니다..

쓰이는 곳은 관공서 정도라고 들었습니다..

사실 백업 테이프라는 것이 옛날 VHS 테이프와 비슷한 것이라서 가끔 청소도 해야 하고 테이프가 물리적으로 고장나면 복구가 거의 안된다고

봐야죠.. 그러나 보관기간은 길다고 들었습니다..


만일 백업테이프 구축하는 비용이 지금 사용하시는 스토리지 장비와 비슷하면 스토리지 장비 하나더 꾸며서 백업하는게 나을수도 있습니다..
witbox 2022-01
AWS s3 알아보시면 대략 용도가 비슷할거라 봅니다.
김현린 2022-01
LTFS에대해 자세히 알지는 못합니다만..
LTO와 같은 테이프 장치를 일반 플로피 처럼 사용할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로 보여집니다.
테이프의 장점은 소산(백업본을 저 멀리 보내놓기)이 간편하다. 테이프 가격은 정말 저렴하다. 정도.. 입니다.
느리고 중복 제거도 되지 않으며 관리가 은근 귀찮습니다.
드라이브 가격은 상상을 초월 합니다. 제가 현역으로 있을때는 LTO7이 나온지 얼마 안되었는데 벌써 9까지도 나왔나보군요.
중고로 저렴하게 구할수 있다면 나쁘진 않아 보입니다. LTO5라면 좀 오래되긴 했겠네요.. 근 10년정도 되지않았나.. 싶습니다.
테이프 보관은 습도나 온도 같은 것도 신경 써줘야 하구요. HDD보단 충격에 강하며 ODD보다 오래 보관 할 수 있습니다.
공공 기관, 금융권 같이 PTL을 사용해야만 하도록 되어있는 곳 아니면 잘 사용 안하긴 합니다.
말씀 하신 내용대로 충분히 가능해 보입니다.
크리닝 테이프도 하나 정도 구비하시면 좋아 보이는데.. 자주 안쓰신다면 애매할것 같구요.
복구가 필요할때는 쓰기는 -1까지 읽기는 -2까지 호환이 될껍니다.
LTO5테이프라면 LTO7 드라이브에서 읽기 까지는 가능 하고 LTO6드라이브에서 쓰기 까지 가능하다는 말이 됩니다.
윈도우 10에 사용할 LTFS 드라이버? 같은 프로그램만 같은 버전으로 자알 모셔두고 테이프로 복구가 필요하다면 그 버전으로 깔아서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라면 버전도 맞아야 안심 될것 같네요.
송주환 2022-01
LTO 테이프의 신뢰성은 항온항습이 되는 장소에 보관해야 보장이 됩니다. 은근히 LTO 테이프가 잘 손상되기 때문에 구글은 패리티 테이프를 추가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제가 LTO-6를 사용할 때 하드디스크 대비 비용 효율성이 확보되는 용량을 계산해 보았는데 당시 기준으로 대강 300TB 정도가 나왔습니다. 지금은 고용량 HDD들이 더 많이 나왔으므로 기준점은 더 높아졌겠지요.
마지막으로, 중고 LTO 드라이브는 고장 시 대응이 어렵습니다. LTO 드라이브가 생각보다 고장을 잘 일으키는데, 개인 사용자 수준에서는 고장났을 때 취할 수 있는 선택지가 많지 않습니다.

무작정 도입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장단점을 잘 알아본 뒤 구매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WareFree 2022-01
LTO도 백업시 1벌만 복제하는게 하니고 최소 2벌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려면 4벌 보관하라고 합니다.
장기 보관시 한번씩 리드 테스트 해서 데이터 오류난 테이프는 정상적인 복제본에서 새로 복제를 떠놔야 장기 보관됩니다.
속도때문에 백업소프트웨어를 통해서 VTL(디스크를 이용한 가상 테이프 백업) => LTO 테입 복제 이렇게 최소 2벌을 가져갑니다.
VTL을 요즘은 디스크타입으로 바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비용과 복구시간, 보관 용량 등을 고려해서 설계를 잘해야 합니다.
향후 10년 정도 데이터 증가량도 계산해 보시구요..
악마라네 2022-01
Amazon Glacier 를 써보심이. 압축하면서 화일 하나로 만들어서 던져 버리시면... 보관료만 듭니다. LTO 구축하는거 보다 비용이 쌀겁니다.
구고기 2022-01
죄송합니다. 확인이 늦었습니다. 역시나 제가 알지 못했던 단점들이 많군요.. 덕분에 많이 배워 갑니다.

결론적으로는, 클라우드에 월 요금을 내고 보관하는 것으로 정했습니다.. 경제적으로나 편리성으로나 여러모로 이게 편하겠더라고요.

조언 감사합니다. 늦었지만 행복한 새해 되세요.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081/5703
2014-05   5118998   정은준1
2015-12   1654409   백메가
2019-07   3289   호박고구마
2019-03   3289   신은왜
2018-09   3289   카탈리나
2021-06   3289   매니아1
2017-04   3290   질문학생
2019-01   3290   미스테리우스
2019-01   3290   띠로리
2018-01   3290   김동혁1
2020-09   3290   된장맛바나나
2019-02   3290   천마건빵
2023-11   3290   사장님착해요
2017-05   3290   신은왜
2020-08   3291   turtlmac
2018-09   3291   쌍cpu
2014-02   3291   룰루룰라흠
2021-03   3291   GPGPU
2018-09   3291   아름드리소…
2020-03   3291   병맛폰
2023-03   3291   삼돌군
2019-01   3291   online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