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115 |
0 |
2014-05
526711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026 |
25 |
2015-12
1792026
1 백메가
|
101937 |
8베이 나스중에 좀 조용한 모델이 있을까요? (11) |
블루영상 |
2021-07 |
2738 |
0 |
2021-07
2738
1 블루영상
|
101936 |
RTX계열 레퍼런스 VGA 커넥터 질문드립니다. (1) |
Psychophysi… |
2020-08 |
2738 |
0 |
2020-08
2738
1 Psychophysi…
|
101935 |
UPS 관련 질문 드립니다. (5) |
레반터스 |
2021-12 |
2738 |
0 |
2021-12
2738
1 레반터스
|
101934 |
Juniper EX2200 F/W를 구해보려고 합니다. |
맨홀홍 |
2020-09 |
2738 |
0 |
2020-09
2738
1 맨홀홍
|
101933 |
인입 광케이블 시공 (15) |
이희주 |
2022-12 |
2738 |
0 |
2022-12
2738
1 이희주
|
101932 |
[ RHEL ] 3rd party 저장소 추천 문의 |
전설속의미… |
2019-05 |
2738 |
0 |
2019-05
2738
1 전설속의미…
|
101931 |
SAS카드 방열판에 맞는 나사는 어떤게 있을까요 (1) |
Lucifer |
2020-09 |
2739 |
0 |
2020-09
2739
1 Lucifer
|
101930 |
hpe dl380 gen9에 gpu 어디까지 넣을 수 있을까요? (14) |
번개곰돌 |
2023-04 |
2739 |
0 |
2023-04
2739
1 번개곰돌
|
101929 |
8베이 DAS에서 지원하는 하드웨어 레이드 믿을만 할까요? (7) |
봉래 |
2022-02 |
2739 |
0 |
2022-02
2739
1 봉래
|
101928 |
답변:z600에 확장카드를 사용해서 썬더볼트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문의 (2) |
녹야산 |
2019-07 |
2739 |
0 |
2019-07
2739
1 녹야산
|
101927 |
전자기판 땜질작업 가능한곳 없을까요? (4) |
자밀사룸 |
2019-11 |
2739 |
0 |
2019-11
2739
1 자밀사룸
|
101926 |
PCIE 사이에 있는 이 칩들의 정체를 아시는분 계실까요? (8) |
딥마인드 |
2023-02 |
2739 |
0 |
2023-02
2739
1 딥마인드
|
101925 |
APC 550 비프음 문의 |
삐돌이슬픔이 |
2018-12 |
2739 |
0 |
2018-12
2739
1 삐돌이슬픔이
|
101924 |
원문을 읽지 마세요!(광고입니다.) (4) |
김준연 |
2020-12 |
2739 |
0 |
2020-12
2739
1 김준연
|
101923 |
미크로틱 hap ac3에 갤럭시 M12 가 연결되지 않습니다. (3) |
대두강아지 |
2022-02 |
2739 |
0 |
2022-02
2739
1 대두강아지
|
101922 |
지름신 영접후 수지타산 계산중.... (6) |
원주멋진덩치 |
2019-04 |
2740 |
0 |
2019-04
2740
1 원주멋진덩치
|
101921 |
aws 인스턴스가 증발 했는,,,데,, 서버는 살아있네요???? (6) |
불고기덮밥 |
2021-08 |
2740 |
0 |
2021-08
2740
1 불고기덮밥
|
101920 |
델 서버랙 pdu?에 전원 넣는 방법 아시는 분 계실까요 (8) |
이삭의작은… |
2023-09 |
2740 |
0 |
2023-09
2740
1 이삭의작은…
|
101919 |
SATA SAS 모델 잘 이해한 것인지 궁금합니다.(사진) (25) |
Caig |
2023-11 |
2740 |
0 |
2023-11
2740
1 Caig
|
101918 |
sas hdd 관련 (19) |
주니74 |
2022-04 |
2740 |
0 |
2022-04
2740
1 주니74
|
500매가(반기가) 인터넷선은 4가닥으로 통신을 합니다..
파란 UTP 선과 회색 UTP 선이 어디서 들어오고 어디로 나가는지 알면 인터넷선이 들어오는 라인에서 원하는 방으로 4가닥만 연결해주면 됩니다..
연결은 그냥 4가닥만 연결해서는 안되고 순서가 있습니다..
저 단자함에 전용 허브가 있으면 아마모든 방과 거실에 인터넷이 연결되게 할 수는 있습니다만
사용자가 장비 구하는 법과 셋팅을 할줄 모르면 사용자가 하지는 못합니다..
KT 인터넷에 연락해서 라인의 방향을 바꾸고 싶다고 이야기 하고 작업 기사 요청하면 보통 기사가 나와서 작업을 해줍니다..
나중에 인터넷 요금에 출장비와 작업료 정도는 붙습니다..
오는 주말에 한 번 해봐야 겠네요 ㅎㅎ
커넥터 다시 물려서 모든 방에서 사용 할 수 있게 하겠읍니다.
예를 들어, ①이 외부에서 들어온 인터넷 회선, ②가 방1, ③이 거실, ④⑤가 각각 방 2, 3, ⑥이 거실에서 되돌아온 케이블..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외부에서 들어온 선①이 우선 거실③으로 바로 연결되고, 거기서 통신회사 장비를 거쳐 장비 랜단자 쪽에서 나온 회선 하나가 ⑥을 타고 다시 단자함으로 와서 ⑤번 선을 타고 방3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죠.
②와 ④에는 아무 것도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선 인터넷은 안되어야 정상입니다만..
> 방은 3개인데 각각 100mb 짜리 인터넷은 나옵니다
이렇게 쓰신 건 뭔가 착각/오해가 있거나, 무선으로 연결하셨다거나 한 상황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혹은 다른 배선이 있거나.. ^^;
⑥번선이 거실에서 되돌아온 거라는 가정이 맞다면, 그걸 한 방으로 직접 보낼 게 아니라 단자함 안에 기가비트 스위치(허브..)만 하나 넣어주고 거기에 ⑥번선을 연결한 수 스위치에서 나머지 각 방으로 배선을 연결해 주면 바로 해결될 문제입니다만.. 결국 뭐가 어느 방으로 연결된 건지 확인부터 해보셔야겠죠.
참, 연결할 때는 8가닥 다 연결을 해주셔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