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 HDD가 SATA HDD 보다 장점이 있나요?

   조회 5681   추천 0    

SAS HDD가 SATA HDD 보다 장점이 있나요?


SAS, SATA 모두 하드디스크 

기계적인 부분은(플래터 등)

거의 동일하고 

연결 인터페이스만 다르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제가 아는 것은 (틀릴수도 있습니다)

SAS HDD :

- 6GB, 12GB 있고 12GB는 더 빠름

- 서버에서만 사용 (PC는 보드에서 지원 안함)

- 10k, 15k rpm 모델도 있음


SATA HDD

- 6GB만 있음

- 서버 아닌 PC에서도 많이 사용

- 5400rpm, 7200rpm 만 사용




ㄱ... Test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epowergate 2022-01
F/W도 다릅니다
박문형 2022-01
SAS는 SCSI에서 기원한 엔터프라이즈용(기업용) HDD 인터페이스입니다..

즉 기업용이라 일반PC용보다는 더 튼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HDD의 rpm 이  3.5인치 7200rpm 제품군 말고 2.5인치 10K짜리와 15K 짜리 제품들이 있습니다..

SATA는 데이터전송포트가 1개지만 SAS는 데이터전송포트가 2개라서 장비에 따라서 HA구성이 가능하게 셋팅이 가능합니다..



SATA는 IDE 에서 기원한 제품이라고 봐야 하며 일반용과 기업용이 있습니다..

보통 7200 rpm 짜리가 대부분입니다..

WD의 벨로시랩터 만 10K rpm 입니다..
dateno1 2022-01
SAS경우 채널을 2중화하거나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게 보템된다고 느낀적 0번)

기본적으로 같은 회전 속도면 큰 차이 없음
IDE와 SCSI 개념에서 각각 발전했는데, SCSI가 별도의 컨트롤러가 있어 CPU 점유율에서 월등히 잇점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dateno1 2022-01
요즘 시퓨 성능이 깡패라서 디스크, 랜, 사운드등 자체 컨트롤러로 해봤자에요 (역으로 예뮬레이션보다 드라이버 호환성 문제만 일으킴)
박문형 2022-01
약 20년 전에 3.5인치 FH (풀하이트) 뚱땡이 치타 SCSI 하드 쓸 때가 좋았죠..

그 때는 SCSI HDD면 서버혹은 고성능 워크스테이션에서만 쓰이고 거의 무적급이 였으니까요..
그러고보니 SAS 장점 찾다가 이전 Q/A글을 봤습니다. 역시 2CPU 입니다.
https://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QnA&wr_id=565960
https://2pigfly.tistory.com/28

SAS는 서버에서 많이 쓰는 하드 연결방식인 SCSI에서 온거고 SATA는 피시에서 많이 쓰는 하드 연결 방식인 ATA에서 온겁니다
과거에는 시퓨 점유율 줄이고 좀 더 신뢰성 있는 하드 단다고 피시에서 SCSI 카드를 달아 SCSI 하드를 쓰기도 했죠
신호를 보내는 물리적 버스가 패러랠 버스에서 시리얼 버스로 가면서 SCSI는 SAS로 PATA(즉IDE)는 SATA로 불림
점점 둘 사이애 관계가 애매모호 해지는 건 버전업이 될 수록 각자만의 독자적 기능들이 서로간에 믹스가 되어서 그런거죠
서버에 들어가는 SAS가 필요목적상 내구성이 더 좋긴 했는데 SATA도 24시간 돌리는 스토리즈용 제품군이 따로 있으니 지금에 와선
무얼 비교 대상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내구성 차이가 별 의미가 없어지기도 하죠
그리고 U.2나 NVMe 같은 신규격에서는 SAS나 SATA가 성장한 디스크 방식의 하드가 아니기 때문에 기존꺼와의 호환을 버리고
솔리드 스테이트 특성만의 최상의 성능 을 취하는 방식으로 가서 결국 둘 다 뒷방으로 밀려나기 시작 했다고 해야하나.....
개인 피시도 M.2 NVMe 저장장치만 달리는 추세라 스토리즈쪽에 손대지 않는다면 좀 과장하면 개인들에겐 플로피나 ODD 같은 존재가 될 수도
있죠 자식놈이 노트북으로 캐드 과제하는데 노트북은 M.2 NVMe고 외장 저장 장치는 USB 메모리니 그런거에 직접적인 접촉이 전혀 없는
세대랄까 (물론 인터넷으론 어디선가 클라우드 서버의 SAS나 SATA방식의 디스크 하드에 간접 접촉은 하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솔리드스태이트가 스토리즈쪽도 다 대체하는 날이 올까 디스크 하드가 사라지는 날이 과연 올까 궁금함이 있습니다
제온프로 2022-01
SAS 와 SATA 하드 아주 쉽게 비교.

SAS
 -  엔터프라이즈 모델만 있음

SATA
  -  엔터프라이즈 (블랙)
  -  미들급      (블루)
  -  저품질급  (그린)

** Sata의 블랙 모델은 SaS의 엔터프라이즈 비하여 내구성이 약함
** ( WD 블랙 좋아했는데 완전 실망)

히타치 (HGST) 아주 좋구 시게이트는 SAS에서도 않좋더군요.. 완전실망.

이제 비교 되시죠.

여기에 펌웨어 도 중요한 요소인데 언급하면 복작해 지니 이정도로 하죠.

왜 2CPU에서 SAS 하드가 인기가 좋은지 아시것죠.

SAS 는 SCSI 입니다..

** 그럼 장터에 왜 SAS 하드가 더 싸요 ?? ---  개인들이 않쓰기 때문에...
** 왜 제온은  i5, i7 보다 싸요 ??  ----------- 개인들이 않쓰기 때문에...
** 아 그럼 저도 SAS 하드 쓰고 싶어요 ------ 컨트롤러와 더 많은 지식이 필요합니다.
죠슈아 2022-01
SAS 와 SATA 의 기본적인 차이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차이 입니다.
SAS controller는 SATA 디스크를 인식해서 SATA 프로토콜로 통신이 가능 하지만
SATA controller 실제적으로는 커넥터 형상이  달라서 직접 연결이 않되지만
SAS/SATA 지원하는 멀티베이에 SATA controller가 연결되었을 경우 SAS 디스크를 인식 하지 못하여 사용 불가 합니다.

SAS의 프로톨콜상 주된 차이는  멀티 커맨드 큐잉 뎁쓰가 커서 엔터프라이즈 급에서 주로 지원 되며 SATA일때에 비해서 성능이 향샹 됩니다.
당연히 엔터프라이즈 용 디스크인경우 요구 성능때문에 고속 RPM을 적용하므로 10K , 15K를 지원 하는 것입니다.
SAS 이기때문에 10K , 15K RPM은 아닙니다.

SAS/SATA 모두 엔터프라이즈, 동일 RPM 을 비교하면 데스크탑 PC에서의 성능차이는 거의 없는데
멀티 커맨드 큐잉 뎁쓰가 큰 것을 요구하는 어프리케이션이 없기 때문 입니다.
다만 디스크 엑세스를 헤비하게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할때는 SAS HDD일때 성능차이가 있지만
디스크 엑세스를 헤비하게 요구되는 작업의 지속적인 시간이 얼마나 긴가에 따라서 체감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용도의 사용시에는 SAS/SATA  프로토콜 차이에 따른  성능 차이 체감을 느낄 수 없습니다.

다만 NAS 구성에 SAS 지원 디스크로 구성 하고 NAS에 동시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많을 경우에는 확실히 차이가 나지만
2배 또는 4배 만큼의 성능의 차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QnA
제목Page 2651/5708
2014-05   5143831   정은준1
2015-12   1677977   백메가
2017-01   5432   RealHoon
2009-03   5431   한경도
2006-01   5431   윤호용
2013-05   5431   서현석
2007-06   5431   조명수
2016-01   5431   김건우
2005-11   5431   한원준
2008-08   5431   한동훈
2013-03   5431   제로콜라
2008-03   5431   김정수
2006-06   5431   강경덕
2006-03   5431   한동훈
2008-03   5431   김대원
2008-07   5431   김상일
2008-11   5431   양경모
2016-12   5431   브링
2006-02   5431   정영진
2005-12   5431   김대성
2005-09   5430   김형필
2015-08   5430   컴맹지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