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3831 |
0 |
2014-05
5143831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7977 |
25 |
2015-12
1677977
1 백메가
|
61155 |
사설망 구축용 공유기로 적합한게 뭐가 있을까요?? (13) |
RealHoon |
2017-01 |
5432 |
0 |
2017-01
5432
1 RealHoon
|
61154 |
CUDA 관련 소스 공유 좀 부탁합니다. |
한경도 |
2009-03 |
5431 |
0 |
2009-03
5431
1 한경도
|
61153 |
win98... |
윤호용 |
2006-01 |
5431 |
33 |
2006-01
5431
1 윤호용
|
61152 |
네할렘 xeon이 갑자기 많이 풀리는 이유가 뭘까요? (4) |
서현석 |
2013-05 |
5431 |
0 |
2013-05
5431
1 서현석
|
61151 |
방금 한전에서 다녀갔습니다. (3) |
조명수 |
2007-06 |
5431 |
12 |
2007-06
5431
1 조명수
|
61150 |
슬림포트케이블과 mini hdmi는 다른건가요? (2) |
김건우 |
2016-01 |
5431 |
0 |
2016-01
5431
1 김건우
|
61149 |
MSI K7D MASTER-L(MPX)에 XFX 6800 DUAL-DVI 사용문제.. (5) |
한원준 |
2005-11 |
5431 |
30 |
2005-11
5431
1 한원준
|
61148 |
[추요] 접이식 자전거 추천해주세요. (1) |
한동훈 |
2008-08 |
5431 |
17 |
2008-08
5431
1 한동훈
|
61147 |
서버 세팅과 관련된 자료를 볼수 있는곳 없나요? (6) |
제로콜라 |
2013-03 |
5431 |
0 |
2013-03
5431
1 제로콜라
|
61146 |
MSI K9A2 PLATINUM+9600 Black Edition구성했는대 문제점이있어서..조언부탁드려요~ (3) |
김정수 |
2008-03 |
5431 |
14 |
2008-03
5431
1 김정수
|
61145 |
wildcat 7110 요즘 시세가 얼마나 하는지 궁금합니다. (5) |
강경덕 |
2006-06 |
5431 |
22 |
2006-06
5431
1 강경덕
|
61144 |
[질문] 인텔 945GTP 보드문의 (3) |
한동훈 |
2006-03 |
5431 |
36 |
2006-03
5431
1 한동훈
|
61143 |
[질문] win xp flp 버전은 nlite에서 사용할수없나요? (2) |
김대원 |
2008-03 |
5431 |
11 |
2008-03
5431
1 김대원
|
61142 |
텍스트 큐브질분입니다. (1) |
김상일 |
2008-07 |
5431 |
25 |
2008-07
5431
1 김상일
|
61141 |
pci 64bit슬롯에 일반pci카드가 장착가능한가요? (3) |
양경모 |
2008-11 |
5431 |
8 |
2008-11
5431
1 양경모
|
61140 |
피씨 스트레스 테스트... 질문드립니다 ^^ (10) |
브링 |
2016-12 |
5431 |
0 |
2016-12
5431
1 브링
|
61139 |
s2057t 듀얼보드 ide 몇기가까지되나요 (1) |
정영진 |
2006-02 |
5431 |
60 |
2006-02
5431
1 정영진
|
61138 |
바톤2500+ 과 노스우드 3.0c 중 (5) |
김대성 |
2005-12 |
5431 |
10 |
2005-12
5431
1 김대성
|
61137 |
스페샬포스렉에 대해 질문 좀 하고 싶습니다. (12) |
김형필 |
2005-09 |
5430 |
14 |
2005-09
5430
1 김형필
|
61136 |
혹시 ecs g31t-m7 1.0 버전 개조 바이오스 좀 보내주실 분 계신가여? 부탁드립니다.^… (5) |
컴맹지존 |
2015-08 |
5430 |
0 |
2015-08
5430
1 컴맹지존
|
즉 기업용이라 일반PC용보다는 더 튼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HDD의 rpm 이 3.5인치 7200rpm 제품군 말고 2.5인치 10K짜리와 15K 짜리 제품들이 있습니다..
SATA는 데이터전송포트가 1개지만 SAS는 데이터전송포트가 2개라서 장비에 따라서 HA구성이 가능하게 셋팅이 가능합니다..
SATA는 IDE 에서 기원한 제품이라고 봐야 하며 일반용과 기업용이 있습니다..
보통 7200 rpm 짜리가 대부분입니다..
WD의 벨로시랩터 만 10K rpm 입니다..
기본적으로 같은 회전 속도면 큰 차이 없음
그 때는 SCSI HDD면 서버혹은 고성능 워크스테이션에서만 쓰이고 거의 무적급이 였으니까요..
https://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QnA&wr_id=565960
SAS는 서버에서 많이 쓰는 하드 연결방식인 SCSI에서 온거고 SATA는 피시에서 많이 쓰는 하드 연결 방식인 ATA에서 온겁니다
과거에는 시퓨 점유율 줄이고 좀 더 신뢰성 있는 하드 단다고 피시에서 SCSI 카드를 달아 SCSI 하드를 쓰기도 했죠
신호를 보내는 물리적 버스가 패러랠 버스에서 시리얼 버스로 가면서 SCSI는 SAS로 PATA(즉IDE)는 SATA로 불림
점점 둘 사이애 관계가 애매모호 해지는 건 버전업이 될 수록 각자만의 독자적 기능들이 서로간에 믹스가 되어서 그런거죠
서버에 들어가는 SAS가 필요목적상 내구성이 더 좋긴 했는데 SATA도 24시간 돌리는 스토리즈용 제품군이 따로 있으니 지금에 와선
무얼 비교 대상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내구성 차이가 별 의미가 없어지기도 하죠
그리고 U.2나 NVMe 같은 신규격에서는 SAS나 SATA가 성장한 디스크 방식의 하드가 아니기 때문에 기존꺼와의 호환을 버리고
솔리드 스테이트 특성만의 최상의 성능 을 취하는 방식으로 가서 결국 둘 다 뒷방으로 밀려나기 시작 했다고 해야하나.....
개인 피시도 M.2 NVMe 저장장치만 달리는 추세라 스토리즈쪽에 손대지 않는다면 좀 과장하면 개인들에겐 플로피나 ODD 같은 존재가 될 수도
있죠 자식놈이 노트북으로 캐드 과제하는데 노트북은 M.2 NVMe고 외장 저장 장치는 USB 메모리니 그런거에 직접적인 접촉이 전혀 없는
세대랄까 (물론 인터넷으론 어디선가 클라우드 서버의 SAS나 SATA방식의 디스크 하드에 간접 접촉은 하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솔리드스태이트가 스토리즈쪽도 다 대체하는 날이 올까 디스크 하드가 사라지는 날이 과연 올까 궁금함이 있습니다
SAS
- 엔터프라이즈 모델만 있음
SATA
- 엔터프라이즈 (블랙)
- 미들급 (블루)
- 저품질급 (그린)
** Sata의 블랙 모델은 SaS의 엔터프라이즈 비하여 내구성이 약함
** ( WD 블랙 좋아했는데 완전 실망)
히타치 (HGST) 아주 좋구 시게이트는 SAS에서도 않좋더군요.. 완전실망.
이제 비교 되시죠.
여기에 펌웨어 도 중요한 요소인데 언급하면 복작해 지니 이정도로 하죠.
왜 2CPU에서 SAS 하드가 인기가 좋은지 아시것죠.
SAS 는 SCSI 입니다..
** 그럼 장터에 왜 SAS 하드가 더 싸요 ?? --- 개인들이 않쓰기 때문에...
** 왜 제온은 i5, i7 보다 싸요 ?? ----------- 개인들이 않쓰기 때문에...
** 아 그럼 저도 SAS 하드 쓰고 싶어요 ------ 컨트롤러와 더 많은 지식이 필요합니다.
SAS controller는 SATA 디스크를 인식해서 SATA 프로토콜로 통신이 가능 하지만
SATA controller 실제적으로는 커넥터 형상이 달라서 직접 연결이 않되지만
SAS/SATA 지원하는 멀티베이에 SATA controller가 연결되었을 경우 SAS 디스크를 인식 하지 못하여 사용 불가 합니다.
SAS의 프로톨콜상 주된 차이는 멀티 커맨드 큐잉 뎁쓰가 커서 엔터프라이즈 급에서 주로 지원 되며 SATA일때에 비해서 성능이 향샹 됩니다.
당연히 엔터프라이즈 용 디스크인경우 요구 성능때문에 고속 RPM을 적용하므로 10K , 15K를 지원 하는 것입니다.
SAS 이기때문에 10K , 15K RPM은 아닙니다.
SAS/SATA 모두 엔터프라이즈, 동일 RPM 을 비교하면 데스크탑 PC에서의 성능차이는 거의 없는데
멀티 커맨드 큐잉 뎁쓰가 큰 것을 요구하는 어프리케이션이 없기 때문 입니다.
다만 디스크 엑세스를 헤비하게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할때는 SAS HDD일때 성능차이가 있지만
디스크 엑세스를 헤비하게 요구되는 작업의 지속적인 시간이 얼마나 긴가에 따라서 체감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용도의 사용시에는 SAS/SATA 프로토콜 차이에 따른 성능 차이 체감을 느낄 수 없습니다.
다만 NAS 구성에 SAS 지원 디스크로 구성 하고 NAS에 동시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많을 경우에는 확실히 차이가 나지만
2배 또는 4배 만큼의 성능의 차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