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7066 |
25 |
2015-12
176706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1776 |
0 |
2014-05
5241776
1 정은준1
|
102130 |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5) |
송석근 |
2009-11 |
6256 |
0 |
2009-11
6256
1 송석근
|
102129 |
windows 2012 server로 media service 사용하는법을 알고 싶습니다. |
데이비드 |
2013-01 |
4889 |
0 |
2013-01
4889
1 데이비드
|
102128 |
혹시 발맛사지 기계 쓰시는 분 계신가요? (3) |
수필처럼 |
2015-12 |
4187 |
0 |
2015-12
4187
1 수필처럼
|
102127 |
비컴인데 컴터와 관계 있읍니다. (26) |
Win31 |
2016-11 |
6478 |
0 |
2016-11
6478
1 Win31
|
102126 |
정말 DDNS 차단되었나요? (2) |
테돌아이 |
2014-08 |
4645 |
0 |
2014-08
4645
1 테돌아이
|
102125 |
이렇게 생긴 수은 밧데리 구입처는 어디에서 가능할까요? (9) |
김황중 |
2015-12 |
5906 |
0 |
2015-12
5906
1 김황중
|
102124 |
파워서플라이를 바꾸면 전력 소모량이 바뀔 수도 있나요? (4) |
이천풍 |
2013-01 |
5696 |
0 |
2013-01
5696
1 이천풍
|
102123 |
자동차 전등 교체 방법은? (5) |
머라카는데 |
2020-05 |
3398 |
0 |
2020-05
3398
1 머라카는데
|
102122 |
멀티 GPU질문 (8) |
네이쳐 |
2021-10 |
2244 |
0 |
2021-10
2244
1 네이쳐
|
102121 |
컴퓨터 업타임 5년 갈까요? (14) |
Noname1 |
2021-10 |
2726 |
0 |
2021-10
2726
1 Noname1
|
102120 |
esxi 서버의 datastore 디스크를 복사하고 싶습니다. (2) |
독서왕 |
2014-08 |
4391 |
0 |
2014-08
4391
1 독서왕
|
102119 |
2670 두개를 지르고 말았습니다.... (10) |
푸하히 |
2015-12 |
4330 |
0 |
2015-12
4330
1 푸하히
|
102118 |
회사의 이름모를 HP서버가 자꾸 다운되요.. 왜그럴까요? (12) |
이재복2 |
2013-01 |
12610 |
0 |
2013-01
12610
1 이재복2
|
102117 |
혹시 Tesla K20 미사용중인 카드를 보유중인 분이 계실까요? (7) |
Psychophysi… |
2016-12 |
5221 |
0 |
2016-12
5221
1 Psychophysi…
|
102116 |
MegaRaid 카드 사용해보신분 계신가요? (4) |
메탈포스 |
2021-10 |
2071 |
0 |
2021-10
2071
1 메탈포스
|
102115 |
프로커브 2810-24 스위치 질문입니다~ (2) |
Korokoro |
2014-09 |
4476 |
0 |
2014-09
4476
1 Korokoro
|
102114 |
아이패드 성능으로 보면 어느게 더 좋은가요? (2) |
신은왜 |
2021-10 |
1838 |
0 |
2021-10
1838
1 신은왜
|
102113 |
휴대폰 계정 동기화에대해서 질문드려봅니다. (4) |
하루카 |
2014-09 |
7298 |
0 |
2014-09
7298
1 하루카
|
102112 |
2008R2 서버 HDD Raid10에서 SSD 신규로 이전하려고 하는데요. (13) |
음허허허 |
2021-10 |
3009 |
0 |
2021-10
3009
1 음허허허
|
102111 |
hd tune 결과인데 하드가 지금 맛이 가고 있는건가요 (4) |
박상범 |
2010-01 |
7476 |
0 |
2010-01
7476
1 박상범
|
어떤 디바이스든 UTP 16포트에 한번씩 꼽아서 인식이 재대로 되나 보세요..
그리고 케이블이 손수 제작한 것이나 제작한 것이라면 불량 의심해보고 완제품 랜케이블이 있으면 바꿔 보세요..
이래도 저래도 안되면 단순 허브 불량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은 작동되지만 '식별되지 않은 네트워크'라고 이더넷이 윈도우즈10 환경에서 뜨는걸보면 이게 실마리같기도 합니다..
핑이 안나가고 ip를 다른거로 바꿔도 안나가더라고요...
15.2(6)E 까지는 정상이였는데... 늦어서 다음 주말에 해보려고요.
가능하면 1번 vlan 말고 다른 vlan 으로 사용하시구요
제가 봤을때,
레반터스님은 일반 unmanaged switch 아무것이나 인터넷 장터에서 구매해서 쓰시는 것이 오히려 맞을 듯합니다.
지금 동급의 스위치 새것도 10만원도 안되는 가격에 구매가 가능할 겁니다.
일단 해당 cisco 스위치 포트에 아무 설정이 없는 상태에서 링크가 1분(정확히는 50초) 가까이 이후에 통신이 되는 것은 매우 정상적인 상황입니다.
STP 때문에, interface 가 Forwarding 상태까지 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그리고 reload 는 컴퓨터로 이야기 하면 재부팅입니다.
웹을 띄우는 절차는 저 뒤에 있습니다. 기다리면 뜹니다.
또한 해당 펌웨어 결함으로 reload를 해서 재부팅을 해야만 웹ui가 다시 살아나는 문제가있었고, 많은 삽질로 이 기종의 vlan쪽이 맨 후단에 로드되면 웹서비스가 실행되는 부분도 알고있습니다.
STP때문에 그렇다는 이야기는 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담이지만 이미 언매니지드 스위치가 있긴합니다만 공부해보고싶은 욕심은 참기 힘드네요.
엔트리급 이상 시스코 L2 나 L3 또는 라우터 장비는 초기엔 대부분 콘솔로 기본 셋팅을 하고
이후엔 원격(텔넷 or SSH) 접속 후
CLI로 설정 변경이나 기타 작업 및 모니터링을 합니다.
시스코 장비를 웹으로 config를 하는 것은 비추합니다.
미사용시 ..
그리고 왜 장비를 대다수가 gui를 안쓰는지 생각해보시면 ^^
콘솔로 시리얼오픈해놓으면 뭔갈 할때마다 정보를 촤라락 보내줘서 참 좋은거같습니다
192.168.100.1/24 보통 이걸 사용하지 않나요? 속도도 100Mbps 이고.
그래서 확인 바랍니다.
Reload 1~2분 넘게 걸리구요..
관리형이라서 전원넣고 1분~2분정도 이후에 정상 동작 시작하구요
( 대부분 관리형 스위치가 비슷한데 시스코가 좀 오래 걸립니다.)
다만, 특별한 설정이 없는 초기설정(factory reset 상태) 상태를 기준으로
추가 장치를 붙였을때, 보통 5초 전후로 정상동작(패킷 포워딩) 시작합니다.
보통 빠르면 3초정도 후에 링크UP 상태되고(콘솔로 확인가능), 아무리 늦어도 10초이내에 패킷전송 시작됩니다.
20~30초 걸리면 문제가 있는겁니다.
펌웨어 문제이거나, 스위치 자체 불량일 수도 있구요. 케이블도 의심하시구요.
메인보드 바이오스와 마찬가지로
스위치도 특별하게 사용상 문제가 없으면 그냥 쓰시는게 좋습니다.
펌업하다가 벽돌되면 복구하기 많이 어렵습니다.
윗단 공유기 하고, 아랫단 스위치를 기본적으로 같은 대역, 으로 하고,
스위치 아이피를 아이피 타임하고 같은 고정으로 빼서 사용하시는데,
2960L이 웹 설정 들가서 보시면, 공장초기화 시 사용하기 위해, 자체 내장 Dhcp가
디폴드로 돕니다.
즉 10.0.0.1 이 초기화 관리용 아이피고, 접속용 디폴트 아이피를 설정해서 그 주소로
웹구이를 들어가지면, 접속 피씨가 아이피를 유동으로 받도록하기 위해 이렇게 설정되어있는듯.
===========
여튼 종합하면, 아이타임하고, 스위치 자체 내장 dhcp가 둘다 도니까,
자동 아이피를 두군데서 뿌려주신 식.
당근 아이피 충돌 위험이 있을 것 같네요.
==
콘솔 들가서, 스위치 dhcp를 끄고, 아이피 타임이 아이피를 뿌려주고,
스위치의 웹용 아이피는 다른 대역으로 하고= 귀찮지만, 설정 들어갈 때는,
접속피씨의 NIC 아이피를 자동말고 , 고정으로 같은 대역. 예컨대
접속 아이피(=디폴트 아이피가 10.0.0.5면) 과 같은 대역 즉 10.0.0.23 으로 변경후
10.0.0.5로 접속하면 당연히 접속 됩니다. 현재는 아이피 타임하고, 스위치가 같은 대역..
설정 마치면, 디시 아이피를 자동으로 변경하면, 10.0. 대역을 받는데,
ip를 renew/ release 해서 아이피 타임이 주는 자동 아이피를 받으시면, 인터넷
접속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피를 두군데서 뿌려줘도, 대역이 다르니
적어도 충돌은 안할듯.
=======
아마도 이런 저도 문제 때문에
그냥 시리얼 콘솔로 접속 하는 것이 편한듯 합니다.
==========
애초에 스위치의 고정 아이피와 접속아이피를 설정하는것이,
순전히 웹 GUI나 원격 관리용 접속을
위해 (즉 텔넷이나, ssh)를 설정하는 것이구요.
아이피 없이 그냥 깡통으로 쓰는 것이 제일 속편하고, 보안상 우수한듯 합니다.
가정에서는 그냥 ..콘솔케이블로만 시리얼 접속하는 것이 제일 안전하니까요..
일단 첨에 공부용으로, 웹설정이나 텔넷등.. 설정 해보고,
완전히 세팅되면, http 웹도 텔넷도 ssh도 싸그리 끄고 운용하는게 보안상 중요해 보입니다.
콘솔은 가정 유저외에는 쓸사람이 없으니까.
==> 이런식으로 설정해놓으면, 외부에서 스위치의 디폴트 아이피를 누가 알아서,
접속한다고 해도, 자동으로 끊어집니다..서비스가 없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