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끝난줄 알았는데 희한한 문제가 괴롭힙니다. (시스코 스위치)

   조회 9888   추천 0    

 [사진1]이 환경에서는 데스크탑PC에서도 192.168.0.11번 접속이 가능하고 문제가 없습니다.

[사진2]

그런데, 녹화한 노트북이 랜케이블을 뽑았다 다시 끼우던지 아래와 같이이런식으로 스위치에 신규로 랜케이블이 연결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1.  http server(WEB GUI) 서비스가 죽습니다.

2. 간단히 녹화한 노트북에서 랜선을 뽑았다가 다시 연결하는 행위만으로도 1번처럼 서비스가 죽고 이더넷 연결시간이 매우 깁니다.

3. [사진1]처럼 연결하고 reload로 재부팅하면 서비스는 살아납니다만 상기 행위를 다시 하면 다시 죽습니다.

4. 시간이 오래지나면 웹 서비스가 죽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게 해결이 안되네요 후


[00:00 ~ 01:37] 스위치 재부팅

[01:37 ~ 01:37] Vlan On(웹서비스 가동)

[02:28] NAS 랜선 시스코에 장착

[03:26] 데스크톱 랜선 시스코에 장착,Vlan ping 안감

[~ 04:34] 다시 [사진1]처럼 돌려놓음

[04:41~]노트북 랜선도 뽑았다 꽂아봤는데 5:52초가 되어야 재연결됨. WEB GUI는 죽어있음


ㅠㅠ 도통 해결방안이 안나와서 어떻게 해결할수있을지 어쭤봅니다 ㅠㅠ

그리고 원래 뽑았다가 그대로 꽂으면 다시 연결되는 시간이 1분이나 걸리는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감자 2022-01
하드웨어 불량이나 펌웨어 문제 아닐까요?
     
레반터스 2022-01
펌을 구형으로 낮추니 Web GUI가 죽는건 해결되었습니다...그런데 케이블 다시 빼었다 꽂으면 인터넷 커넥션이 되는시간이 1분정도 걸리는건 여전하긴한 상황입니다.
박문형 2022-01
우선 시스코 스위치는 초기화 시키고

어떤 디바이스든 UTP 16포트에 한번씩 꼽아서 인식이 재대로 되나 보세요..

그리고 케이블이 손수 제작한 것이나 제작한 것이라면 불량 의심해보고 완제품 랜케이블이 있으면 바꿔 보세요..

이래도 저래도 안되면 단순 허브 불량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레반터스 2022-01
펌을 구형으로 낮추니 Web GUI가 죽는건 해결되었습니다...그런데 케이블 다시 빼었다 꽂으면 인터넷 커넥션이 되는시간이 1분정도 걸리는건 여전하긴한 상황입니다.

인터넷은 작동되지만 '식별되지 않은 네트워크'라고 이더넷이 윈도우즈10 환경에서 뜨는걸보면 이게 실마리같기도 합니다..
CM10 2022-01
저는 처음에는 잘 나가다가 펌웨어 15.2(6)E3로 올리니까
핑이 안나가고 ip를  다른거로 바꿔도 안나가더라고요...
15.2(6)E 까지는 정상이였는데...  늦어서 다음 주말에 해보려고요.
     
레반터스 2022-01
저도 해당 펌웨어에서 상기 문제가 발생하여 15.2(6)E2B로 내렸습니다
파닥파닥 2022-01
portfast 쪽 찾아보고 전체 포트에 설정해 주세요
가능하면 1번 vlan 말고 다른 vlan 으로 사용하시구요
     
레반터스 2022-01
감사합니다 구글링해서 해당내용을 찾아서 적용해보겠습니다 :) 새로운걸 배우려니 쉽지않네요
시도니 2022-01
vlan 1 에 bandwidth 64000 이 무슨 뜻인지 알고 명령을 주셨는지요?

제가 봤을때,

레반터스님은 일반 unmanaged switch 아무것이나 인터넷 장터에서 구매해서 쓰시는 것이 오히려 맞을 듯합니다.

지금 동급의 스위치 새것도 10만원도 안되는 가격에 구매가 가능할 겁니다.

일단 해당 cisco 스위치 포트에 아무 설정이 없는 상태에서 링크가 1분(정확히는 50초) 가까이 이후에 통신이 되는 것은 매우 정상적인 상황입니다.

STP 때문에, interface 가 Forwarding 상태까지 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그리고 reload 는 컴퓨터로 이야기 하면 재부팅입니다.

웹을 띄우는 절차는 저 뒤에 있습니다. 기다리면 뜹니다.
     
레반터스 2022-01
예 맞습니다. 입문자기때문에 구글링에 의지하며 삽질중이라 일단 해당내용을 보고 따라하는방법과 왜 하는지는 연구단계에 있습니다. 상기 내용의 대부분은 펌웨어문제로 지금에서야 파악이 되고있고 다운그레이드로 해결이 되었습니다.
또한 해당 펌웨어 결함으로 reload를 해서 재부팅을 해야만 웹ui가 다시 살아나는 문제가있었고, 많은 삽질로 이 기종의 vlan쪽이 맨 후단에 로드되면 웹서비스가 실행되는 부분도 알고있습니다.
STP때문에 그렇다는 이야기는 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담이지만 이미 언매니지드 스위치가 있긴합니다만 공부해보고싶은 욕심은 참기 힘드네요.
새총 2022-01
소호용장비(웹기반)을 제외한
엔트리급 이상 시스코 L2 나 L3 또는 라우터 장비는 초기엔 대부분 콘솔로 기본 셋팅을 하고
이후엔 원격(텔넷 or SSH) 접속 후
CLI로 설정 변경이나 기타 작업 및 모니터링을 합니다.
시스코 장비를 웹으로 config를 하는 것은 비추합니다.
     
레반터스 2022-01
확실히 해갈수록 webUI보다 위에사용했던 콘솔통신이 더 직관적이라는걸 느껴는 가는중입니다만 둘다 잘 되어야하는게 안되는건 신경이쓰여서 뭔가 해결해보고싶은 욕심이 생깁니다
페선생 2022-01
cpu 부하 확인해보세요 web사용시와
미사용시 ..
그리고 왜 장비를 대다수가 gui를 안쓰는지 생각해보시면 ^^
     
레반터스 2022-01
6% 대의 CPU부하였습니다. 펌웨어 예전버전으로 내린다음 해결되었습니다.
콘솔로 시리얼오픈해놓으면 뭔갈 할때마다 정보를 촤라락 보내줘서 참 좋은거같습니다
술이 2022-01
관리형 스위치들이 깡통스위치와는 달리 이더넷포트 갱신될때 좀 느리긴 합니다. 30초 넘게 걸리는거 같더라구요. 깡통 스위치는 3-5초면 금방 붙는데 시스코 스위치는 한참 있어야 붙어서 답답할때가 좀 있긴 합니다.
제온프로 2022-01
보통 메니지먼트 포트는 로컬네트워크랑 기본적으로 다른데요..
192.168.100.1/24 보통 이걸 사용하지 않나요? 속도도 100Mbps 이고.
그래서 확인 바랍니다.

Reload 1~2분 넘게 걸리구요..
안철현 2022-01
예전에 해당 스위치 잠시 사용해본 경험에 의하면...
관리형이라서 전원넣고 1분~2분정도 이후에 정상 동작 시작하구요
( 대부분 관리형 스위치가 비슷한데 시스코가 좀 오래 걸립니다.)

다만, 특별한 설정이 없는 초기설정(factory reset 상태) 상태를 기준으로
추가 장치를 붙였을때, 보통 5초 전후로 정상동작(패킷 포워딩) 시작합니다.
보통 빠르면 3초정도 후에 링크UP 상태되고(콘솔로 확인가능), 아무리 늦어도 10초이내에 패킷전송 시작됩니다.
20~30초 걸리면 문제가 있는겁니다.

펌웨어 문제이거나, 스위치 자체 불량일 수도 있구요. 케이블도 의심하시구요.
메인보드 바이오스와 마찬가지로
스위치도 특별하게 사용상 문제가 없으면 그냥 쓰시는게 좋습니다.
펌업하다가 벽돌되면 복구하기 많이 어렵습니다.
소닉쿠 2022-07
장터발 2960L이 웹 GUI가 된다고 설정하다보면서 생긴 문제 같네요.
윗단 공유기 하고, 아랫단 스위치를 기본적으로 같은 대역, 으로 하고,
스위치 아이피를 아이피 타임하고 같은 고정으로 빼서 사용하시는데,
2960L이 웹 설정 들가서 보시면, 공장초기화 시 사용하기 위해, 자체 내장 Dhcp가
디폴드로 돕니다.
즉 10.0.0.1 이 초기화 관리용 아이피고, 접속용 디폴트 아이피를 설정해서 그 주소로
웹구이를 들어가지면, 접속 피씨가 아이피를 유동으로 받도록하기 위해 이렇게 설정되어있는듯.
===========
여튼 종합하면,  아이타임하고, 스위치 자체 내장 dhcp가 둘다 도니까,
자동 아이피를 두군데서 뿌려주신 식.
당근 아이피 충돌 위험이 있을 것 같네요.
==
콘솔 들가서, 스위치 dhcp를 끄고, 아이피 타임이 아이피를 뿌려주고,
스위치의 웹용 아이피는 다른 대역으로 하고= 귀찮지만, 설정 들어갈 때는,
접속피씨의 NIC 아이피를  자동말고 , 고정으로 같은 대역. 예컨대
접속 아이피(=디폴트 아이피가 10.0.0.5면) 과 같은 대역 즉 10.0.0.23 으로 변경후
10.0.0.5로 접속하면  당연히 접속 됩니다. 현재는 아이피 타임하고, 스위치가 같은 대역..
설정 마치면, 디시 아이피를 자동으로 변경하면, 10.0. 대역을 받는데,
ip를 renew/ release 해서 아이피 타임이 주는 자동 아이피를 받으시면, 인터넷
접속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피를 두군데서 뿌려줘도, 대역이 다르니
적어도 충돌은 안할듯.
=======
아마도 이런 저도 문제 때문에
그냥 시리얼 콘솔로 접속 하는 것이 편한듯 합니다.
==========
애초에 스위치의  고정 아이피와 접속아이피를 설정하는것이,
순전히 웹 GUI나 원격 관리용 접속을
위해 (즉 텔넷이나, ssh)를 설정하는 것이구요.
아이피 없이 그냥 깡통으로 쓰는 것이 제일 속편하고, 보안상 우수한듯 합니다.

가정에서는 그냥 ..콘솔케이블로만 시리얼 접속하는 것이 제일 안전하니까요..
일단 첨에 공부용으로, 웹설정이나 텔넷등.. 설정 해보고,
완전히 세팅되면, http 웹도 텔넷도 ssh도 싸그리 끄고 운용하는게 보안상 중요해 보입니다.
콘솔은 가정 유저외에는 쓸사람이 없으니까.
==> 이런식으로 설정해놓으면, 외부에서 스위치의 디폴트 아이피를 누가 알아서,
접속한다고 해도, 자동으로 끊어집니다..서비스가 없으나.


QnA
제목Page 619/5725
2015-12   1767066   백메가
2014-05   5241776   정은준1
2009-11   6256   송석근
2013-01   4889   데이비드
2015-12   4187   수필처럼
2016-11   6478   Win31
2014-08   4645   테돌아이
2015-12   5906   김황중
2013-01   5696   이천풍
2020-05   3398   머라카는데
2021-10   2244   네이쳐
2021-10   2726   Noname1
2014-08   4391   독서왕
2015-12   4330   푸하히
2013-01   12610   이재복2
2016-12   5221   Psychophysi…
2021-10   2071   메탈포스
2014-09   4476   Korokoro
2021-10   1838   신은왜
2014-09   7298   하루카
2021-10   3009   음허허허
2010-01   7476   박상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