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카드 고치는 중 전원부 문제

shipse   
   조회 3554   추천 0    

고장난 RX560을 10000원에 당근밭에서 뽑아왔습니다. 

이걸 한 번 고쳐보겠다는 생각으로 지금 이래 저래 보는 중인데, 

켜질 때도 있고, 안 켜질 때도 있고, 켜질 때는 잘 돌다가 죽고,  리눅스에서는 안 죽더니 윈도우에서는 죽고.

다양한 이상 현상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어디 부품 탄 곳이 있나 돋보기로 살펴보기도 했는데, 열 받거나 탄 흔적은 없네요.


지금은 전원부를 한 번 보는 중인데요.

잘 돌아갈 때와 안 돌아갈 때의 차이가 생깁니다. 


멀티테스터의 검은 선은 접지하고, 아래 사진 상의 맨 위에 있는 초크코일의 단자부분에 빨간 선을 대면 

그래픽카드가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는 테스터에서 삐이이이 하고 쇼트로 판정됩니다. 

그래픽카드가 잘 돌 때는 별 로드가 없을 때 0.91볼트 정도 나오구요.

나머지 초크에서는 언제나 전압 0.91이 잘 나오는군요.


이 초크의 바로 옆에 있는 두 Mosfet이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여기에 주파수를 공급하는 칩이 문제인지 지금은 잘 모르겠습니다. 

오실로스코프를 찍어봐야 알 수 있을까 싶은데요, 혹시 이런 거 고쳐보신 분이 있으시다면 이게 mosfet의 문제인지, 클럭칩의 문제인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 해서 질문 드립니다. 

mosfet일까요? 클럭제너레이터일까요?



Give Power to OLD COmPuter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hipse 2022-01
참고해서 공부해봐야겠군요.
고맙습니다
여기에 그렇게 물어보는거 답해드릴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칲셋명. 회사 모델명이라도 나와야 예상되는 불량 원인을 알수 있을겁니다. 기본도 않되는 질문은 지양합니다.
     
shipse 2022-01
사진이 옆으로 돌아갔네요.
지금 보니.
글 중 사진의 맨 위라 부른 곳은 맨 왼쪽의 초크코일입니다.

모델은 HIS RX560 2GB 입니다.
칩셋명은.. 어떤 칩셋을 의미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기본도 안 되게 질문했네요.
찬이 2022-01
말씀하신대로입니다. 스코프로 찍어봐야 알 수 있구요. 그 마저도 PMIC가 고장일수도 아님 다른 이유로 일부러 output가 안나올수도 있습니다.(보호회로 작동 등)
이것저것 해볼수는 있겠지만 글쎄요...
     
shipse 2022-01
보호회로가 전원부 한 부분만 멈출 수 있을까요..
컴퓨터 전원을 켜면 초크코일에 전기가 통하다 1초나 2초 뒤에 쇼트로 바뀝니다.
물론 작동되는 때는 계속 전원이 유지되구요.
이게 사진의 맨 왼쪽에 있는 초크코일과 fet에서만 일어납니다. 다른것들은 정상입니다.
신기해요.
          
찬이 2022-01
네.. 보호회로는 원래 전원부(PMIC내부)에 있습니다. 이상 전력소모가 발생하면 출력을 차단하는게 당연하구요.
그래서 단순 그 부분만 문제인게 아니라 전류를 센싱하는게 문제일수도, PMIC의 질못된 판단(고장)일수도, GPU칩이나 그 외 메모리 등 주변장치의 문제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 일수도 있겠구요.

한쪽 phase만 그렇다면 어짜피 버릴거라 생각하면 증상이 있는 phase만 MOSFET을 떼보는것도..뭐.. 추천은 안드리지만 방법둥에 하나일수도..
               
shipse 2022-01
초크코일이 출력단이라 생각되는데  초크코일만 떼어보면 해당 전원주는 차단되는 것일까요?
mosfet을 먼저 떼는 것 보다는 좀 안전할 것 같아서요.

과전류... 센싱.
알고보면 복잡한 물건이네요.
                    
찬이 2022-01
저한테 제품이 있는게 아니라 제가 알 수 있는 정보는 한정적이라 모든 판단은 직접 하셔야 힙니다. 인덕터만 때면 일단 그쪽은 차단되겠지요.
(저도 GPU를 설계해보거나 분석해본건 아니라 Phase가 병렬인진 모르겠습니다. 저게 단독으로 특정 메모리나 GPU로 간다면 아애 작동 안하겠지요)
인덕터 측정기가 있으면 땐 다음에 측정해 보시면 그게 고장인지 알 수 있고, 스코프로 인덕터 입력단을 찍어서 파형이 나오면 거의 인덕터 문제, 안나오면 그 전단에 여전히 문제가 있는거겠지요.
제가 보기엔 램BGA크랙 같고요. 저기 F1800이 휴즈이거나 폴리스위치입니다.
우선 쿨러제거후 방열판에 램이 붙는지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열화현상이 있었는지도요.
     
shipse 2022-01
이 물건은 램이나 전원부에 방열판이 붙지 않게 설계되어 있더군요.
아마 성능이 낮은 물건이라 그런 것 같은데요.
열화흔적은 보이지 않는 것 같아요.
노랗게 되거나 삭은 듯한 느낌은 전체적으로 안 보여요.

알려주신대로 1800을 찍어보겠습니다.
저게 퓨즈로 회로를 끊는다면 램도 살펴보겠습니다.


QnA
제목Page 4584/5708
2014-05   5139124   정은준1
2015-12   1673612   백메가
2019-10   3385   NeOpLE
2019-03   3385   정의석
2017-07   3385   전산oa
2022-11   3385   tantan11
2020-08   3385   vronsky
2017-07   3385   일국
2018-05   3385   pantarei
2023-09   3385   Uinx
2017-03   3385   esca
2018-04   3385   osthek83
2017-12   3384   늘파란
2019-06   3384   내복
2023-08   3384   TubeAmp
2015-07   3384   거니네
2014-04   3384   comduck
2016-03   3384   Psychophysi…
2018-01   3384   앵글러
2023-02   3384   midmid
2017-08   3384   리카라바
2019-05   3384   suse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