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님들은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ASUS WS X299 PRO/SE 사용자 입니다.
I9-10900X
DDR4 32GB x 4
GTX660 VGA
M.2 SATA SSD
일체형 3열 라디수냉 구성 입니다.
오버는 하지 않은 상태 입니다.
M.2 SATA SSD에 Win7 이 이미 설치된 상태로 보드에 장착해서 ( 다른 PC 에서 window 7 설치된 것을 ASUS WS X299 PRO/SE에 설치 )
부팅 과정중 "Starting Window" 이후 윈도우 진입시에 마우스가 먹통 됩니다.
마우스 하단에 적색 LED가 OFF 되는 증상 입니다. 이때 키도드 같이 먹통 됩니다. USB 전원이 차단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로 다른 마우스를 연결해도 두개 마우스가 동시에 적색 LED가 OFF 되며 마찬 가지로 먹통이 됩니다.
이때 화면은 윈도우 설정 하는 처음 화면이 나온 상태로 화면 표시는 정상 입니다.
BIOS 진입 해서 설정 변경 동안에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정상 동작 합니다.
이때 CPU 온도는 40C를 나타냅니다. CPU 과열 상태가 아닌 상태 입니다.
기존 설치된 win7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현재의 마더보드의 USB와 맞지 않은 것이 의심되어
윈도우를 재설치 하기위해서 윈도우 설치를 진행하면
"Starting Window" 과정 까지는 마우스 하단에 적색 LED가 ON 상태 이었다가
윈도우를 설치 설정 옵션이 나오는맨처음 나오는 화면이 나타날때 마우스와 키보드가 동시에 먹통 되며
마우스 하단에 적색 LED가 OFF 되는 증상이 발생 됩니다.
그래서 이 증상은 기존 설치된 win7과는 상관이 업어 보입니다.
BIOS 설정 화면 , Window 부팅중에 정상 이었다가 윈도우 진입할때 USB 전원이 차단되는 증상의 원인이 뭘까요?
BIOS 설정에서 USB 관련 설정은 다수의 USB 마다 Enable/Disable 하는 옵션만 존재 합니다. 모든 USB를 Enable 한 상태이구요.
BIOS에서 모든 설정을 초기화 하는 "Default" 으로 Load 한 상태 에서 리셋후부팅때도 동일한 증상 입니다.
이상한 것은 linux 설치 할때 최대 화면 해상도가 나오는 상태에서는 키보드와 마우스 꺼짐 증상이 나오지 않는군요.
이런 증상 경험은 처음이라서 난감 하군요,...
ASUS 마더보드 관련 해서 이와 유사한 증상을 검색했지만 이런 경우는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떤 시도를 해봐야 할까요? 원인이 무얼까요?
USB 키보드 마우스 제외한 다른 USB 연결시에도 동일한가요? (휴대전화 연결이나 USB 메모리 등)
다른 USB 디바이스를 테스트 하지 못했습니다.
이 증상은 win10, redhat7.9 설치 에서는 발생 하지 않고 win7일때만 나타나는 군요.
그동안 너무 오래된 벤더(DELL) H/W 만을 사용 해왔기 때문에 ... 이런 증상을 만나지 않았던 것 같네요.
ASUS 메인보드의 USB가 win7에는 디바이스가 없나 봅니다.
그헣지만 BIOS에서 레거시 USB 지원 선택을 했기때문에 Win7도 동작해야 할 것 같은데 .. 이상 합니다.
ASUS 메인보드 레거시 USB 지원이 완전하지 않는 것 같네요.
Win10, Redhat7.9 등 최신 OS에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니 ...
Win7 USB device driver와 ASUS 메인보드 레거시 USB 2.0 port 의 조합이 문제가 되는 것 같습니다.
USB 디바이스도 특성을 타는것 같은데, 보드에 PS/3 포트도 없는것 같고, 블루투스, 마우스 키보드로 시도해 보시거나, ASUS 꺼 아니면 로지텍의 가장 유니버설한 걸로 시도해볼 필요도 있는것 같습니다.
무슨 웍스 서버급 보드에 특성 타면 PS/3 라도 만들어 놓지,,,,
7 정식되는 보드라면 Driver 제공되니 그걸 병합하세요 (원래 Server/WS경우 최저한도의 몇개는사전 병합이 기본입니다)
해결하셨기를 바랍니다.
Windows 7 pro 64bit 로 설치된 SSD를 부트 디스크로 설정해서 부팅했을때에도 윈도우 진입하자마자 USB 불능 ..
기본 Generic xHCI Driver를 추천 (이거 하나로 대부분의 컨트롤러가 다 먹음)하니 이걸 병합해두시고, 부트후 장치 관리자에서 뭔가 첨 보는 장치가 있다면 전용 설치해주세요
추신 1 : BIOS에 60/64 Emulation이나 xHCI Smart Auto 옵션이 있다면 이걸로도 임시 해결이 되므로 이걸 써서 부트후 깔아주세요
추신 2 : 혹시 7 x86이라면....Driver 있을지도 의문이네요
(그 이전의 브로드웰까지는 EHCI포트는 그나마 따로 컨트롤러 있어서 작동함)"
스카이 이상 지원보드는 Win7을 지원 하지 않는다 ? 이런 뜻인가요?
아니면 윈도우 설치 시작부터 막히는데요... xHCI용 Driver 를 설치전에 윈도우 설치용 이미지에 미리 포함 시켜야 한다는 뜻인가요?
기본 Generic xHCI Driver를 추천 (이거 하나로 대부분의 컨트롤러가 다 먹음)하니 이걸 병합해두시고,
부트후 장치 관리자에서 뭔가 첨 보는 장치가 있다면 전용 설치해주세요
==> 윈도우 진입 즉시 마우스, 키보드 중지 상태인데 드라이버를 어떻게 설치 한다는 뜻인가요?
"BIOS에 60/64 Emulation이나 xHCI Smart Auto 옵션"은 BIOS에서 설정 항목이 없군요. ㅠㅠ
~브로드웰까진 컨트롤러가 분리되어있었기땜에 3가 아닌 포트에 물리면 그만이었지만, 스카이부턴 통합되었기땜에 어디 물려도 다 똑같이 필수 작업이 되었습니다
추신 : 삽질하면 XP를 카비에 까는것도 가능하고, 7은 커피까지는 아무 문제없이 잘 깔립니다
원래 윈7은 공식적으로 스카이까지 지원이 ....
오래된 하드웨어들만 사용해서 몰랐던 내용 이었습니다.
드라이버 사전 병합을 해야 하는 것 이였군요.
위 증상만으로 볼때
해당 보드는 윈도우 7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즉 usb 드라이버 부재로 인한 설치자체를 할수 없다보니 설치할수 없는것이고요
Usb 3.0 단자만 있는 보드에서 발생되며
Usb 2.0 포트가 있다면 문제없이 설치 가능합니다
여러 자동화 시스템 마이그레이션을 해본 결과는
Pcie p/s2 보드를 추가하거나
다른보드로 교첵 사용이 답입니다
키보드 마우스 모두 여기에 연결 했어요.
드라이버 부재가 확실히 의심되는 부분인데 ..
Win10, Redhat7.9 설치 과정에서는 이런 증상이 나오지 않는 것과
설치 화면에서 키보드 마우스 모두 멈추는 증상은 Win7 드라이버 문제로 생각 됩니다만
USB2.0은 USB3.0 처럼 써드파트 칩셋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인텔 칩셋의 USB2.0 포트를 사용할텐데 ...
증상이 이해가 되지 않는군요.
USB 확장 카드를 달아 보세요..
디바이스 드라이버 부재의 원인을 DELL 사가 배포하는 Win7 이미지를 사용했기때문에 MS가 배포하는 모든 기본드라이버를 포함하지않고
DELL사 하드웨어 기준으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라고 추측 합니다. 증거는 없고 추정 입니다. ... USB2.0 드라이버가 빠져 있다는 것이 설명가능 하지는 않지만 ..
해결방법으로
1. IPMI로 접속하면 마우스 키보드 동작하므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설치 한다.
2. Win10, Win11 로 설치 ... win7은 익숙하고 가볍지만 보안 페치등등 MS 지원 중단이므로 아쉽지만 버림...
3. 원래 리눅스 W/S 전용으로 사용 ..
윈7에서 오버, 안정성등을 확인후 리눅스 설치 예정 이었는데 하는수 없이 Win10 에서 진행 ... win10은 불편한데 ..... ㅠㅠ
그냥 10보다 7 이 끌리는것은 ... 새로운 것에 쉽게 적응하기 어려운 나이가 된건가? 귀찮은건가 ? ,, 아 ~~ 그게 그건가 ??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3163625619.html?spm=a2g0o.productlist.0.0.438a5c25uvceRL&algo_pvid=8e6a9ac2-e6ca-4655-87b0-ac898b14e042&algo_exp_id=8e6a9ac2-e6ca-4655-87b0-ac898b14e042-0&pdp_ext_f=%7B%22sku_id%22%3A%2212000024436586068%22%7D&pdp_pi=-1%3B25234.0%3B-1%3B-1%40salePrice%3BKRW%3Bsearch-mainSearch
물론 지금 상황은 usb 모든포트가 불활성화된 상황이실겁니다. 저걸 써도 usb 메모리나 휴대폰같은건 사용 못합니다.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usb 2.0과 3.0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하는데, 저도 하다가 포기했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