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7791 |
25 |
2015-12
177779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2876 |
0 |
2014-05
5252876
1 정은준1
|
102655 |
삼성 OEM보드에서 하퍼타운사용문의드립니다. (3) |
치킨에콜라… |
2017-04 |
3242 |
0 |
2017-04
3242
1 치킨에콜라…
|
102654 |
폐계나 노계 (닭) 은 어디서 구매를 할 수 있나요? 당연히 손질 된 닭을 구하려고 합… (21) |
신은왜 |
2018-08 |
17091 |
0 |
2018-08
17091
1 신은왜
|
102653 |
방에 있는 기가허브가 종종 100메가로 잡혀요 (6) |
httpd |
2022-07 |
1723 |
0 |
2022-07
1723
1 httpd
|
102652 |
RAID 10만 사용한다면, 엔트리 레벨 레이드카드를 써도 별 차이가 없나요? (9) |
아마데우쓰 |
2015-03 |
4118 |
0 |
2015-03
4118
1 아마데우쓰
|
102651 |
윈도우8.1에 VMWARE 설치관련 에러 해결방법 (1) |
윈도우10 |
2013-11 |
7634 |
0 |
2013-11
7634
1 윈도우10
|
102650 |
한글에서 폰트 적용할때 바로 적용되는방법 없나요? |
행복하세 |
2021-01 |
2119 |
0 |
2021-01
2119
1 행복하세
|
102649 |
esxi 헤놀설치시 문제점... (5) |
카이제린 |
2021-01 |
4104 |
0 |
2021-01
4104
1 카이제린
|
102648 |
HP DL360 디스크 증설 관련 문의 (4) |
lenux8 |
2022-08 |
2052 |
0 |
2022-08
2052
1 lenux8
|
102647 |
노트북 전압다른 어댑터 사용? (7) |
푸른하늘아래 |
2015-04 |
13143 |
0 |
2015-04
13143
1 푸른하늘아래
|
102646 |
z820에 게임과 편집용에 좋은 듀얼 cpu 는 뭘까요...? (8) |
나몰라1 |
2021-01 |
3571 |
0 |
2021-01
3571
1 나몰라1
|
102645 |
radeon 9000 이 1900x1200 해상도가 안되네요... (1) |
김건우 |
2011-06 |
8799 |
0 |
2011-06
8799
1 김건우
|
102644 |
remotefx 말인대요 |
방o효o문 |
2011-06 |
6740 |
0 |
2011-06
6740
1 방o효o문
|
102643 |
외장 SSD 4개 케이스 만드는 방법 (12) |
교교교 |
2022-08 |
2874 |
0 |
2022-08
2874
1 교교교
|
102642 |
가상화 서버를 운영중인데 시스템이 죽는 경우가 많아져 제온으로 넘어가려 합니다. … (37) |
Andrew |
2022-08 |
3564 |
0 |
2022-08
3564
1 Andrew
|
102641 |
bio-star 945p-a7 A ver 7.2 바이오스를 업하려고 합니다. (4) |
김준유 |
2011-07 |
7512 |
0 |
2011-07
7512
1 김준유
|
102640 |
Z4G4 워크스테이션의 메인보드 호환성? (3) |
박종대 |
2021-01 |
3658 |
0 |
2021-01
3658
1 박종대
|
102639 |
타프 추천부탁드립니다. (3) |
박 |
2011-07 |
7429 |
0 |
2011-07
7429
1 박
|
102638 |
기본클럭, 올코어부스터 클럭 성능차이 (10400F, 10600KF) 및 가성비 선택 !!! (9) |
고래1006 |
2021-02 |
5986 |
0 |
2021-02
5986
1 고래1006
|
102637 |
수화기가 전파의 영향으로 볼륨이 줄어들 수 있을까요? (33) |
dragoune |
2024-04 |
2027 |
0 |
2024-04
2027
1 dragoune
|
102636 |
CPU 뒷면의 저항이라고 해야 하나요 명칭이 궁금합니다. (4) |
설영수 |
2015-05 |
6211 |
0 |
2015-05
6211
1 설영수
|
스위치 허브는 하나 따로 구하시고 그냥 KT 기사님 불러서 점검 및 작업해달라고 하는 것이 편합니다..
그것을 LAN1으로 받아서 다시 단자함으로 가게 만들때 사용합니다.. 보통 그때 단자함에는 반기가 허브가 있어서
각 방으로 가는 UTP 케이블을 4pair로 연결하게 되어 있습니다..
서비스 받는 것이 반기가 인지 기가인지도 확실히 알아보세요..
참고로 100메가만 나오는것도 문제지만, 까딱하면 간혈적 통신 불능의 원흉이 됩니다
WAN 포트 선과 LAN 포트선이 한선에 있어서 순간 어떻게 연결되는 구조일까 이해하는데 둥절 했지만 극복......ㅎ
가까운 길 밥 먹어야 해서 먼 길로 돌아왔다......ㅋ
그거로 스위칭 허브 전원선 만들어서 스위칭 허브를 단자함에 넣으면 될 거 같은데?
근데 하얀선에 전기 흐를거 같은데 저렇게 구리선 부분을 노출시켜놓아도 되나요
전기 흐르나 확인하고 고무 테이프로 마감이 필요합니다 감전이나 화재 위험도 있을거 같군요
2페어씩 나눠서 쓰는거하고 100p 200p케이블로 작업해 놓은거요
케이블에 문제있어서 보수하러가보면 답이 안나옵니다 한숨쉬다가 포기하고
그냥 외부로 선뽑아내던가 스위치허브 사서 증설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롭더라구요
저도 워낙 저런거떔에 시달려서 한숨밖에 안 나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