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8259 |
0 |
2014-05
523825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3894 |
25 |
2015-12
1763894
1 백메가
|
102694 |
구글클라우드인데 여러명이 접속가능..폴더등에암호거는법 부탁드립니다 (7) |
그린 |
2022-03 |
2124 |
0 |
2022-03
2124
1 그린
|
102693 |
스피커 병렬 연결시 저항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9) |
주먹밥 |
2022-03 |
3396 |
0 |
2022-03
3396
1 주먹밥
|
102692 |
짜잘한 배터리의 고찰 (7) |
Sikieiki |
2022-03 |
1879 |
0 |
2022-03
1879
1 Sikieiki
|
102691 |
애플컴퓨터로 캐드프로그램을? (7) |
NiteFlite9 |
2022-03 |
4486 |
0 |
2022-03
4486
1 NiteFlite9
|
102690 |
파워뱅크 만들기의 딜레마? (6) |
Sikieiki |
2022-03 |
1726 |
0 |
2022-03
1726
1 Sikieiki
|
102689 |
DELL T5820 GPU를 최대 몇 대까지 장착 가능할까요? (4) |
VSPress |
2022-03 |
2214 |
0 |
2022-03
2214
1 VSPress
|
102688 |
Cisco, Juniper L2, L3 스위치 active-standby 스위치 확인방법 문의 (2) |
집구석 |
2022-03 |
3697 |
0 |
2022-03
3697
1 집구석
|
102687 |
2690 v1 사용중인대 로드율 30~40퍼에 온도가 60~70도 가 정상일까요? (4) |
JJ시스템 |
2022-03 |
2932 |
0 |
2022-03
2932
1 JJ시스템
|
102686 |
채굴 용 파워가 정확히 뭔가요 (7) |
마지막세대 |
2022-03 |
3396 |
0 |
2022-03
3396
1 마지막세대
|
102685 |
플라베니아 (플라스틱골판지)는 어디서 구하나요? (9) |
Sikieiki |
2022-03 |
3305 |
0 |
2022-03
3305
1 Sikieiki
|
102684 |
ASUS 보드에 내장된 ASMB9-iKVM (BMC)을 사용 하시나요? (20) |
죠슈아 |
2022-03 |
6345 |
0 |
2022-03
6345
1 죠슈아
|
102683 |
at-2712fx/mt 그리고 Z440 Raid (15) |
진신두 |
2022-03 |
4769 |
0 |
2022-03
4769
1 진신두
|
102682 |
아파트형 공장 전압 오류? (6) |
링고스타 |
2022-03 |
1658 |
0 |
2022-03
1658
1 링고스타
|
102681 |
구글캘린더를 이용해서 고객 예약 관리를 하고 있는데 관련질문 (3) |
pibang |
2022-03 |
1815 |
0 |
2022-03
1815
1 pibang
|
102680 |
구글캘린더를 이용해서 고객 예약 관리를 하고 있는데 관련질문 (1) |
파피푸페 |
2022-03 |
1228 |
0 |
2022-03
1228
1 파피푸페
|
102679 |
구글캘린더를 이용해서 고객 예약 관리를 하고 있는데 관련질문 |
pibang |
2022-03 |
1533 |
0 |
2022-03
1533
1 pibang
|
102678 |
구글캘린더를 이용해서 고객 예약 관리를 하고 있는데 관련질문 |
파피푸페 |
2022-03 |
1435 |
1 |
2022-03
1435
1 파피푸페
|
102677 |
HPE vsphere 6.7버전 이미지를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1) |
2CPUI김세훈 |
2022-03 |
2288 |
0 |
2022-03
2288
1 2CPUI김세훈
|
102676 |
T3610 E5-2690 v1 설치시 별탈 없을가요? (4) |
JJ시스템 |
2022-03 |
1973 |
0 |
2022-03
1973
1 JJ시스템
|
102675 |
lenovo m73 tiny 바이오스 교체하려 합니다. (6) |
송명준 |
2022-03 |
3481 |
0 |
2022-03
3481
1 송명준
|
가벼운 사이트 정도는 e3 1280 v6 + 64gb ecc unbuffered 로 돌리는데 잘됩니다.
파일서버라고 해도 어떻게 보면 아키이빙에 가까운 io가 높지 않은 녀석이라면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오히려 ecc 지원하는 펜티엄 계열은 메리트가 없을까? 라는 의문이 생기네요
i3 들어갔으면 그냥 스토리지 서버 아닌가요!? docker까지 돌리셔도 될 사양인데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arm 코어 하나 내지 두게 뛰어서 사는 손님들도 많죠.
제온도 ecc만 필요한 초 저성능 손님들을 위한 제품부터 라인업이 쭈욱 펼처저 있습니다..
ecc만 필요한 저성능이라고 하니 웬지 와닫지 않아서 질문을 올려봤습니다.
E3 = UP
E5 중 1xxx 로 된 모델이 1CPU 만 동작하는 모델이며 이것들은 2CPU로 동작하는 같은 모델명의 CPU 모델들과 비교해볼때
E5-1650 vs E5-2650
1xxx 모델이 전반적으로 2xxx 모델보다 클럭이 높은 특성을 보입니다..
그리고 1xxx 모델의 주요 사용처는 1CPU 그래픽 워크스테이션입니다..
아마도 1xxx 모델은 그래픽 워크스테이션용으로 인텔이 특화시키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https://www.2cpu.co.kr/lec/1841?&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https://www.2cpu.co.kr/lec/2084?&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위 링크는 E5 V3/V4 듀얼 CPU 모델별로 분류해둔 것입니다..
용도가 확 와닫지 않아서 개인에게 제온쓰는 느낌을 들게 하는 라인업인가.. 라는 생각마저 들더라구요
최대 구현가능한 클럭이 낮아져 단순하게 구성한 녀석일수록 최대 클럭이 높게 나올 가능성이 높아서 그럴 것으로 생각됩니다
(FPGA 공부하다 보니 그런 내용이 나오더라구요..)
저는 당연히 마스터클럭되는 장치가 있고 cpu2개를 동시에 발진시키면 싱크가 중간중간 어긋날것을 생각했는데 고속도 동기화는 쉬운가봅니다....허호호호
그리고 1개 cpu 내에서는 클럭 동기로 가능하겠지만...
다른 외부 cpu라면 클럭 동기화가 가능할진 모르겠습니다. 어느정도는 비동기로 서로 통신을 통해 내부 클럭과 상관없이 메시지 큐로 작동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멀티cpu 구성시 cpu 갯수 만큼의 효율이 나지 않는다고 본 것 같아서요.
다만 이들 역시 기본적으로 코어 i5 이상 라인업이며 그 이하의 코어 숫자나 스레드 수를 갖는 모델은 인텔도 제온 라인업을 일부러 안 만들었으며, 그냥 코어 i3나 펜티엄, 셀러론을 쓰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제온 E3용 칩셋 메인보드의 '공식적인' 제원표를 보면 제온 E3와 코어 i3, 펜티엄, 셀러론까지는 지원하는데 코어 i5와 i7은 지원을 안 하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사실상 인텔이 그냥 돈을 더 벌기 위해(CPU 자체 가격으로 버는게 아니라 칩셋과 보드로 돈벌기) 한 것에 가깝습니다.
그냥 intel의 정책이라고 봐야만 할 것 같네요. 반대로 NAS 와 같은 저전력 서버를 위한 라인업으로 펜티엄까진 ECC를 넣는 정책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성능,확장성을 중시하지 않는 엔트리 서버라는 시장이 와닫지 않네요.
웹 호스팅에서 사용율 낮은 사용자를 몰아넣는 그런 용도가 되려나요?
서버는 성능 빵빵하게!! 풀뱅가야지 서버 취급을 해주죠! ㅋㅋ
큰 호스팅서버 회사들은 1만대가 넘어가기도 합니다..
컴퓨터나 서버쪽에서 재일 짠돌이는 호스팅 회사들입니다..
실제로 그런식으로 구동을 하는진 몰랐습니다. (소비자적인 측면에서)
아무튼 비용이 문제라면 이해가 되네요.
제조된 깡통이 비싸기에 디자인해서 중국공장에서 만들어 씁니다..
상면비 아끼기 위해 그리고 1U 서버 부품은 전반적으로 PC 부품에 비해 비싸기에
2U 반토막 케이스 (2U 인데 길이가 일반서버의 절반) 만들어서 앞뒤로 넣습니다..
신기한 정보를 알아갑니다 ㅎ
도로를 다니면 영업사원들의 차(랩핑한 것들)를 꽤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주류 영업 사원이나 과자쪽 영업 차량을 많이 볼 수 있죠. 대체로 경차~준중형급입니다. 절대 벤츠나 BMW, 페라리 안 뽑아줍니다. 그리고 현대 엑시언트도(이거 덤프트럭입니다.), 자일대우 BS110도(이거 시내버스입니다.) 안 뽑아줍니다. 과자나 술 영업하는 직원이 소표나 말표 자동차를 영업용으로 몰 필요가 없고 그러면 돈이 안 되니 안 뽑아주는 것입니다.
서버도 마찬가지 이유죠. 솔직히 집에서 가족들 영화 공유할 NAS에 제온 9282 두 개 박고 메모리 1.5TB 박는다고 거기 저장해둔 60년대 애니메이션이 2020년대 4DX로 바뀌지는 않습니다. 제온 E3가 딱 이런데 쓰라고 만들어 놓은 물건입니다. 물론 로망은 없지만 말입니다.
하나의 저가 서버에 오버부킹해서 짱박으면 돈이 되긴 하겠죠.
역설적으로 무진장 씁쓸한.. 용도라는 이야기군요 ㅠㅠ
가상서버의 2vcpu (가상 2cpu)의 실제 성능이 0.75~1.2 쓰레드 정도의 성능이 나옵니다. 즉 8코어 cpu 1개로 20~40개의 vCPU를 만드는 것이죠.
보통의 VPS들은 2~4 vCPU + 2GB ~ 8GB RAM을 사용하는 만큼 실제 서비스시에 요구사항도 생각만큼 높지 않습니다.
CPU가 상향 평준화 되면서 E3 통째 + 32GB RAM 정도만 되어도 일반 서비스용으로는 굉장히 성능 좋은 서버입니다.
물론 E3는 E5처럼 Registered ECC가 아닌 1bit 에러 정정기능을 갖는 Unbuffered ECC를 가지고 있기에 상대적으로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대신 데스크탑보다는 안정성과 신뢰성이 더 높지요. 그래서 WS 용이나 가벼운 서버용으로 사용하지요.
ecc/reg에서 reg가 unbuffered보다 더 높은(?) 에러 정정율을 가지는 기술인가요?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는 REG는 오히려 버퍼를 통한 (register) 신호 정렬(로 인한 속도 하락)과 대용량 메모리 사용에 사용되는 기술로 알고 있어서요.
ECC 는 페리티 채크를 해서 에러 검출 및 수정을 하는 것이고
REG 는 결과적으로는 1개의 메모리 모듈안에서 최대한 용량을 크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Unbuffer - Non ECC (일반 PC메모리) : 최대 8GB
Unbuffer - ECC : 최대 8GB
Reg - Non ECC : 이딴 것 안 만듬
Reg - ECC : 최대 16 or 32GB
LRDIMM : 최대 32 or 64GB
https://blog.naver.com/thirdwave/220029424653
그리고 ECC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가끔은 특정 명령어셋이 E시리즈에만 탑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 파일 서버나 GPU 서버 같은 CPU 성능이 낮아도 되는 곳에 사용이 되는 때도 있습니다..
요즘은 1개의 물리적인 CPU에 상당히 많은 코어를 넣을 수 있기에 물리적인 1/2/4 CPU의 구분이 애매해지고 있습니다..
과거 라라비 처럼 multi core가 아닌 many core라고 불러도 되지 않나 싶을 정도가 되고 있네요.
제온 phi 스펙을 다시보니 64~72core 짜리 였네요.
https://ark.intel.com/content/www/kr/ko/ark/products/codename/48999/products-formerly-knights-landing.html
도대체... 이걸 어떤 시장에서 써먹으라고 만드는걸까가 궁금했었습니다 ㅠㅠ
고성능이 아닌 서버
Xeon E3 = Core i7
지방없는 삼겹살 이런 느낌 아닌가요 ㅠㅠ
덤으로 짭제온 시절엔 시퓨 좀 싸게 팔았는데, 가격도 비싸졌죠
부족한 지식 수준에서 서버는 이래야 한다 라고 본인 생각과 맞지 않는다고. 투털대는 잡담 수준 질문에도 성실하게 답해주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사무실에 파일서버 쓸거면 더 저전력으로 가야할것이고..
싼마이 짭제온이라 불린 이유가 있죠..
집에 아직도 1270v1 으로 잘쓰고 있습니다..
저때 글카포함 세트로살때 20만원 줬던가.. 220..
요즘은.. 집에갈 시간이 없는 관계로 회사 하드웨어로 장난치며 놀.. 쿨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