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18955 |
0 |
2014-05
511895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54363 |
25 |
2015-12
1654363
1 백메가
|
99851 |
옛날 KT, LG유플러스 등 통신사 장비 반납 문제 (2) |
앙끄 |
2021-06 |
2656 |
0 |
2021-06
2656
1 앙끄
|
99850 |
DL380 GEN10 전면 NIC LED 표시문제 (3) |
Chobo01 |
2023-05 |
2656 |
0 |
2023-05
2656
1 Chobo01
|
99849 |
블루스크린 발생하는데 어떤이유일지 문의드려보아요? (12) |
짱님 |
2022-01 |
2656 |
0 |
2022-01
2656
1 짱님
|
99848 |
집 네트워크 구성중 NAS 가 안보이는 문제.... (5) |
DOSS |
2021-08 |
2656 |
0 |
2021-08
2656
1 DOSS
|
99847 |
DELL R760 서버 리뷰가 나왔네요.. 구매 가능한가요?? (11) |
박문형 |
2023-04 |
2656 |
0 |
2023-04
2656
1 박문형
|
99846 |
쿨링팬에 포텐셔미터(가변저항기) 연결 질문 드립니다. (16) |
syhj |
2022-11 |
2657 |
0 |
2022-11
2657
1 syhj
|
99845 |
APC 0W7003C-001 (EL/REV-4) (3) |
삐돌이슬픔이 |
2020-05 |
2657 |
0 |
2020-05
2657
1 삐돌이슬픔이
|
99844 |
이곳 장터는 경매 방식의 판매는 불가 한가요? (12) |
Nikon |
2019-09 |
2657 |
0 |
2019-09
2657
1 Nikon
|
99843 |
아...히타치 2TB 하드디스크 인식불가,,,, (2) |
Taek |
2020-08 |
2657 |
0 |
2020-08
2657
1 Taek
|
99842 |
서버 HDD 분석문제 질문드립니다. (6) |
나라뜨 |
2022-12 |
2657 |
0 |
2022-12
2657
1 나라뜨
|
99841 |
가정용 LED조명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9) |
거니네 |
2019-12 |
2657 |
0 |
2019-12
2657
1 거니네
|
99840 |
[VMware ] PowerCLI for VM 백업 및 복원 (1) |
전설속의미… |
2020-07 |
2657 |
0 |
2020-07
2657
1 전설속의미…
|
99839 |
에어콘 벽 구멍 틈새 메꾸는 방법 (8) |
한효석 |
2023-02 |
2657 |
0 |
2023-02
2657
1 한효석
|
99838 |
RJ-45 10GbE T4면 발열 감당 못하겠죠? (7) |
김민철GC |
2023-11 |
2657 |
0 |
2023-11
2657
1 김민철GC
|
99837 |
픽셀값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4) |
의롭게살리라 |
2019-02 |
2657 |
0 |
2019-02
2657
1 의롭게살리라
|
99836 |
아이패드에서 설치된 앱에서 ipa추출 (6) |
slowcity |
2022-06 |
2658 |
0 |
2022-06
2658
1 slowcity
|
99835 |
속도 저하문제 (1) |
EYESSHOT |
2019-03 |
2658 |
0 |
2019-03
2658
1 EYESSHOT
|
99834 |
중국에서 한국으로 대용량파일을 전송할수있나요 (6) |
스무프 |
2023-05 |
2658 |
0 |
2023-05
2658
1 스무프
|
99833 |
이런 거울 어찌 만드는게 좋을까요 (6) |
가빠로구나 |
2020-07 |
2658 |
0 |
2020-07
2658
1 가빠로구나
|
99832 |
'FreeFileSync' 파일/폴더 동기화 프로그램 사용시 동기화 시간을 설정할순 없나요? (7) |
어훕 |
2022-04 |
2658 |
0 |
2022-04
2658
1 어훕
|
정식의 갖가지 공임과 수수료가 붙은 비용과 단순 교환의 비용의 차이인듯 합니다..
ISG 기능이 있다면 AGM 배터리를 확인하시고 가볍게 해도 될듯 하며
2. AGM은 몰라도 MF 타입은 방전 한번에 남은 수명의 반토막 이라고 들었습니다.. 2회 방전이면 그냥 ㄷㄷㄷㄷ
가능한 빨리 교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이브리드는 어떤지 모르겠는데..
일반차량은 차량에 따라 보통 20~30분 정도는 주행해줘야(아마 주행속도에 따라도서 다르겠죠?)
완전 충전이 된다고 합니다.
저는 몇년 전 사무실이 10분 내외의 거리라서..
게다가 수명이 다될 시기에 가까워져서.. 정말 자주 방전되더군요..
그래서 교체한 후로는 주행시간이 너무 짧다 싶으면
일부러 단 몇분이라도 공회전시키다가 끄고 했네요..
아무리 정품이라도 MF가 20만이 넘어가다니...
저는 삼성차입니다만 센터에서 타이어 얼마에요 라고 물어보면 그냥 타이어 전문점 가세요 라고 센터에서 그럽니다..
그리고 외제차니까 부품만 따로 파는 곳이 아마도 없을 듯합니다만
국산차는 인터넷이든 오픈 마켓이든 뒤지면 순정품 (요즘은 이 말 쓰면 안된다던데) 을 부품 단위로 저렴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냥 서비스센터는 인건비가 더 붙었다라고 생각하는 편이 편합니다..
배터리 교체 비용이 .... 62만원입니다...
20만원은 ...
그 곳에 연락해서 맞는 받데리 얼마나고 하고 출장 가능하다고 하면 가격 비교해보시고 교환하세요..
그리고 보통 그런 식의 교환을 하면 교체하고 나오는 받데리는 회수해갑니다..
다나와 확인하셔서 같은 급의 MF 받데리와 AGM 받데리 가격 비교해보세요..
지금 문제되는 받데리는 몇 년 사용하신 것인가요??
보통 3년 정도 사용가능하고 상황에 따라서는 (곱게 사용하면 ) 그 이상 기간도 사용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방전되어 버리면 실제 그 받데리는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한다고 보시고 새 받데리로 갈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하시는 차의 디폴트 받데리는 MF 인가요 AGM 인가요??
그리고 어떤 차종들은 배터리 탈거하고 새배터리 올리고 하면 차량 세팅을 해줘야 하는 차량들도 있어요. 카페 검색 한번 해보시고 그냥 맞교환하고 라디오나 시계 이런것만 세팅해주면 된다하면 조금 공부 해서 DIY해보시는것도 나쁘지 않아요...정 어렵다면 박문형님 글처럼 출장 교환 되는곳에 공임비 조금 주고 교환하면 훨씬 저렴하게 교환 가능합니다...전 DIY하는데 AGM 80짜리로 해서 13마논 들었어요. 폐배터리 반납 조건이었고요.
순정 AGM배터리 블랙박스 주차/상시로 3.5년정도 사용하고 교체 했습니다.
1. MF랑 AGM배터리 가격차이가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2. 제 AGM배터리도 처음 방전 한번 나고나서 부터는 충전해도 곳 방전되더라고요. 전 점프스타터를 가지고 다녀서 몇번 했는데, AGM배터리의 특성인지는 모르겠는데 나중에는 한번 타고 나면 바로 방전되더라고요. 그리고 요즘은 배터리 관리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서 배터리 충전을 상시로 하지 않고, 이 모듈이 판단해서 하는듯 한데,, 이 모듈의 신뢰성이 좀 떨어지는듯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1번 방전됐을 때 바로 교체하는게 맘 편한듯 합니다.
방전되어 시동불능인 조건에서 AGM의경우에는 그래도 힘겹게 한번은 걸려줄수 있는정도의 차이라고 보시면 좋겠네요 특히 디젤차라면 혹한기에 방전량이 좀더 좋은 AGM이 좋죠)
배터리는 굳이 정식 서비스센터에서 교체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서비스리셋이 필요한차량은 출장업체에서 진단기로 작업이 가능한지 확인한번 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리고 ISG가 아니라면 정식서비스센터에서도 MF배터리로 교체해줄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비스센터의경우 순정 배터리(라고 쓰고 양심없이 로켓트를
꽃아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 무지막지한 공임으로 비싼감이 없지않습니다
그리고 차량용 배터리의경우 잘 관리했다는 전제로 MF는 약 4~5년, AGM의경우 5~6년정도의 수명을 가집니다 절대적인것은 아니지만 연 2.5만Km정도
주행했을경우 입니다 이정도 시기를 지나간다면 수명이 다했다고 봐야하며 전압이 나오더라도 용량이 부족하여 결국에는 방전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완충전압
까지 올라가지를 않다보니 알터네이터에 부하를 많이 주게되어 알터네이터의 수명을 급격히 깎아먹기도 합니다
방문 8.5만 이라면 거기서 할꺼 같습니다.
https://kim2kjy.blogspot.com/2020/03/diy-rav4-battery-replace.html
라브4 배터리 교체 후 시동걸려면 이렇게 해야하나 보네요.
순정도 어차피 납품 받아다가 라벨만 붙여 파는거죠
기아 Q서비스 22만.. 불러서 교체 10만 나오더라구요.
개인이 직접 배터리 사서 교체하면 6만 정도 까지 떨굴수 있을 것 같던데 공임비 때문에 높게 받는 것 같기도 합니다.
아무튼 ISG 없고 블랙박스도 주차시에는 꺼놓는 편인데
5년 되니 2일전 왕복 350km 달리고도 경운기 처럼 시동 걸리더라구요 ^^;
모터 구동이 안될정도면 배터리 출력이 너무 떨어진거라 교체하시는게 속편하실 듯 합니다.
기사님에 따라 다르지만 받데리 교체 후 테스터로 찍어만 보고 그냥 가시는 분도 있고 엔진 걸고 재대로 동작하는지 일일히 체크해주고 가시는 분도 있습니다..
자가 교환하다가 자동차 동작 안하거나 받데리 쇼트 나서 혹은 떨구어서 사고 나거나 하는 것보다는 훨씬 낫습니다..
셀프교체하시고 기존배터리 반납하시면 5만5천원정도 합니다. (최저가 업체는 델코 80L이 아니므로 주의)
인터넷 검색해서 근처 카센터에서 8.5만에 델코 배터리(DF80L)로 교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