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보니 소규모 사무실을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CCTV 3~4대, 컴퓨터 및 IP전화 4대 정도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망 구성부터 이것 저것 생각해보고 있는데,
실제 사무실을 운영하는게 처음이다보니 이것저것 신경쓰이는게 많네요.
특히 CCTV 같은 경우 NVR 자체를 훼손하면 영상기록도 다 날라가는걸 고려하면..
그냥 아예 처음부터 클라우드에 저장하는게 나을 듯 한데, 이런식으로 쓸 수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겸사겸사 NVR 장치 비용도 아끼고...ㅎㅎ)
일단 생각해본 망 구성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전체 회선은 모두 100Mbps로 구성할 생각입니다.
업무용인데 뭐 굳이 망 속도 빠를 필요 없을 것 같아서요.
2. IP전화기들은 일단 삼X와XX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SIP 계정을 준다고 하는데, 스마트폰에 박아 사용하면 외부에서도 사용하기 편할 것 같아서요.
(가만, 그럼 외부에서도 사무실 내부랑 내선통화가 가능하다는건데.. 그럼 정말 편할 것 같은데요..?)
3. CCTV들은 HIKVISION의 DS-2CV2Q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얘 조금 재미있네요. 국내에서 STCOM이 판매하는 사이트 설명에는 전부 H.265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와있는데,
정작 공식 홈페이지 스펙에는 H.264까지만 지원되는 것으로 나와있어서 뭐가 맞는지 ㅎㅎㅎ
만약 H.265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스토리지 용량상 다른 녀석으로 가는게 맞을 것 같은데.. 아예 4M CMOS인 DS-2CD1043G0로 갈까도 고민중입니다.
2M이랑 4M이랑 화질 차이가 많이 날지 모르겠네요. 돈 값만 해 준다면야 그냥 4M짜리로 가는게 맞나 싶기도 하구요.
아, HIKVISION을 고른건 다른게 아니라 좀 찾아보니 iVMS-4200 라는 소프트웨어로 데이터 영상을 스토리지용 PC에서 직접 저장할 수 있을 것 같던데,
그러면 이걸 스토리지용 PC에서 외부 클라우드 동기화 같은 거로 곧장 NVR 없이 영상 보관이 가능할 것 같아서요.
4. 스위치는 NEXT-POE910F-2TP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스펙상 2Gbps 짜리 대역폭이면 충분할 것 같다고 생각하고 있긴 한데..
NEXT POE스위치에 대한 악평이 Q&A 글에 있네요..;;
일단 제가 생각해본건 요까지...인데,
실제 구축에 들어가기 전에 망 구성이 왜 이따위냐(...) 부터 시작해서,
제품 추천에 이르기까지 여러 의견을 좀 여쭤보고 싶어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구성해도 별 문제 없으려나...요? '';;
10/100은 좀쓰다가 바로 교체실거라서, 괜히 2중으로 비용나갑니다.
PoE 스위치는 지원하는 PoE 용량이 CCTV 카메라 전력소모량을 충분히 지원하는지 확인하시구요.
POE 용량 계산은 전혀 생각하지도 않고 있었는데 큰일 날 뻔했네요.
다행히 계산해보니 가능할 것 같긴 한데.. 감사합니다.
그 부분도 잊지마세요.
10/100 스위치는 중고 같은 경우는 거의 고철 취급 수준입니다..
그나마 오래 쓰고 나중을 생각하면 기가비트급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맞고요..
(그런데 실전에서는 10/100 POE 스위치로 충분히 잘 쓰는 곳 많기는 합니다..)
그리고 NEXT 같은 회사 제품보다는 (NEXT 제품이 나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가격 차이는 있지만 스위치 전문메이커 제품이 아무래도 더 낫습니다.. (HPE /NETGEAR 등등)
개인적으로 POE 스위치는 그다지 맘에 드는 제품은 못 보았네요..
그리고 재일 중요한게 UTP 케이블 품질입니다..
POE는 전기를 UTP 에 실어보내는 것인지라 UTP 케이블이 자기 규격에 정확히 만들어진 제품이 문제를 덜 일으킵니다..
본인이 직접 케이블을 만드는 것보다는 만들어진 케이블을 구해 사용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그 외 어디 인터넷을 사용하시는지 모르겠지만 보통 3대 인터넷 제공 회사들 (KT /LG U+ /SKT) 에서는 IP 전화서비스를 하기에
거기에 문의해서 IP전화기는 랜트형식으로 해서 계약하면 설치까지 다 해줍니다.. (물론 어디까지 지원하는지는 상담해야죠..)
하드웨어는 하드웨어대로 사고 다시 소프트웨어 돈들고 하는 것보다는 한방에 몰아서 서비스 받는게 편하기도 하고
가격도 저렴해질수도 있습니다.. (실제 들어가는 비용은 고려햐봐야 하지만요..)
UTP 케이블은 만들어진걸 사서 써야겠군요.
LS것 정도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정도면 충분하겠지요?
감사합니다.
자기가 만든 것도 나쁘지는 않지만 문제가 발생하면 자기가 풀어야 하겠죠.. (시간 걸리는 문제나 못무는 문제라면 난처해질 수도 있습니다..)
LS전선이면 국내에서는 거의 최상급이고요.. 가성비 저가형으로는 랜스타 케이블 추천해 드립니다..
재고가 있길 바래야겠군요.
기가 스위치면 충분히 커버할 것 같기도 하고... 고민이네요.
으음.. 실제 망을 붙여서 테스트 해 볼 수도 없고... ㅎㅎㅎ..
말씀해주신 것처럼 망 분리를 진행하는게 가장 안전하긴 할텐데..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메니지먼트 스위치여야 하고 셋팅방법은 공부를 해야겠죠..
이거 저거 안되면 2대 써야죠..
고민 한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P카메라 하나 전송속도가1920*1080 해상도 기준 4~5M 정도인데 4~5대면 100M의 1/5 대역폭입니다.
최소 1G정도로 하심이 좋을 거 같습니다.
IP PBX는 ASTERISK로 구축하고 트렁킹 서비스 신청해서(처음*)구축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구축하면 실시간 통화 녹음, 스마트폰 앱(인터폰 기능은 기본)으로 사용,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저도 영업장 세군데 구축하여 사용 중입니다.
**넷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한번 알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 취향의 문제이겠습니다만, 저는 전화기는 전화기 다워야 한다고 봅니다. 지역번호 02,051,063 등이 있다면 SK브로드밴드 인터넷전화 추천드리고, 아니라면 KT로 유선전화번호 따고 6개월 후 해당번호 그대로 인터넷 전화로 옮기심을 추천드립니다. 070은 누구도 안받습니다.
3. 홈캠 사용하지 마시고 돔형 CCTV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말 그대로 사무실용입니다. 제대로 설비하는게 좋습니다.
또한 NVR은 PoE 되는걸로 사셔서 ipcam을 NVR에 직결하시는게 제일 편합니다. 어설픈 PoE 깡통스위치 생각보다 고장 잘납니다.
4. 무조건 기가비트. 3번에서 PoE 되는 NVR 구매하시고 PoE 스위치는 빼버리세요.
사무실 3개 운영중인 입장이고, ipcam 포함해서 직접 설비하는 입장에서 적어봅니다.
사실 PoE NVR이 가장 깔끔한 방안이긴 한데.. 금전적인 부담이...
가성비를 찾다보니 제외했던 방안인데, 역시 그냥 지르는게 맞으려나요...
향후 확장을 고려하면 적어도 8채널 이상을 사야 할텐데.. 고민이네요.
ipcam 포함해서 설비 직접하신다고 하셔서 여쭤보는건데, 혹시 실례지만 추천할만한 CCTV 모델 좀 알 수 있을까요?
사실 평소 CCTV에 관심을 가질 이유가 전혀 없었어서.. 이쪽은 문외한이거든요.
Ps. 전화번호는 당연히 070은 아닙니다.
저희는 SG300-10p 몇개 사용했었는데 현재는 NVR에 PoE 달린걸로 가는중입니다. 멀티캐스트 문제도 있고, 대역폭을 굳이 손해봐야할 이유가 없어서요.
NVR은 Dahua, ipcam은 Dahua나 Hikvision, 삼성테크윈 중 편한걸로 하시면 됩니다. 4~5년 전처럼 알리에서 사와야할 필요가 없어졌으니..
5개 이상 쓰신다면 4108HS-8p, 4개면 충분하다면 2104나 4104 구매하시면 좋습니다.
건물 안 입주거나, 자체 건물이라도 좁은 입구라면 4개로 충분히 커버 되고 주차장까지 커버해야 한다면 6~7개 정도 사용합니다.
저같은 경우 ipcam은 4mp~5mp 위주로 사용하는데, 차량번호 식별이 필요한게 아니라면 돔형으로 2mp 쓰셔도 무방합니다.
대놓고 보이는곳에 nvr을 놓는게 아니라면 솔직히 도난당할 일은 거의 없다고 보입니다.
처음에 조금 아끼려다가 1~2년 후 전체를 교체하는 분들을 많이 봐온만큼... 오래 사업을 진행하신다면 어느정도는 쓰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시스코꺼 매니지드 기가비트도 관두셨다니...
IP CCTV 얘들이 망에다 브로드캐스팅을 때리는 모양이군요...
당연히 유니캐스팅으로 날리겠거니 하고 생각했는데, 브로드캐스팅이면 말씀하신 것 같은 문제가 있겠네요..
허허... CCTV가 브로드캐스팅이라니... 이건 좀 의외의 이슈네요.
+)
사무실 내부면 굳이 4m 까지는 필요 없군요..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파일명이 계속 달라지는것도 아니고 생성된 파일명을 계속 돌려가며 사용하는듯 했습니다.
그래서 예전 영상을 찾아볼 때 파일속성(수정시간)을 보고 재생을 했었습니다.
클라우드로 동기화 할 때 고려해 봐야 할 부분인거 같아요.
만약 그렇다면 살포시 배치파일 하나 만들어야겠군요.
이렇게 또 스케쥴러를 사용할 줄이야...
한번 확인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번 그렇게 쓰고 있습니다.
가입조건은 링크게시물 보면되고요.
참고로 폰플러스(추가 계정)와 원래 계정 사이에는 동시통화도 안되고 내선통화도 안됩니다.
가능하면 KT일반전화 개통후 번호이동 하는것이 좋다고 하네요. 특정 SKB대리점은 인터넷전화 개통시부터 일반 전화번호 준다고 광고 하는데도 있긴합니다.
전화기 무상임대라니 좋네요.
휴대폰에서 SIP 통화 품질은 만족하시나요?
SIP 어플은 혹시 어떤 것이 가장 만족스러우셨는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대리점에 물어봤더니 SIP 사용이 가능하긴 할텐데, 휴대폰에서 사용은 품질이 불안정해서 추천하지 않는다 그러더라구요.
사용기 보면 대부분 Acrobits: VoIP SIP Softphone을 추천하더군요.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z.acrobits.softphone.alien
특정 신용카드 구글플레이 만원 이상 구매시 5,000원 적립되는것 때문에 같은회사 좀더 비싼 Groundwire: VoIP SIP Softphone 구입했습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z.acrobits.softphone.aliengroundwire
통화품질은 인터넷전화기보다는 좀 떨어집니다. 일반 유선전화기랑은 비슷한것 같고요.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